View : 5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康子.-
dc.creator李康子.-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4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5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4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512-
dc.description.abstract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藝術과 社會는 밀접한 關聯性을 갖는다. Pop Art는 현대에 들어와서 Dada 이후에 또다시 美術이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야기시킨 예술형태이다. 뿐만아니라 지금까지 Pop Art에 대해서는 그 배경과 개념의 미학적 특징에 관하여 一部 연구되어졌으나, 대부분 Pop Art 예술가들의 작품과 미학적 관련성에 대해서만 다루어졌으며 社會的 關聯性에 관해서는 다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本 硏究에서는 Pop Art와 大衆消費 社會와의 關聯性을 찾아 보는데 그 目的이 있다. 그리고 本 硏究의 內容으로는 Pop Art의 發生과 狀況을 고찰하고 日常的 消費 娛樂社會를 主題로 한 작품의 특성, 機械文明時代의 人間과 環境을 主題로 한 作品의 特性을 분석하였다. 또한 硏究의 分析方法으로는 Erwin Panofsky의 圖像學的 解說法을 적용시켜 분석하였으며 작품의 分析對象은 1950년대말부터 1960년대의 가장 활발히 전개된 歐美社會에서의 Pop Art 예술가들의 主要作品들을 주로 하여, 122작품을 미술사적인 입장에서 任意表集하였다. 表集된 작품의 내용별로는 日常的 消費, 娛樂社會를 主題로 한 것과 現代機械 文明時代의 人間과 環境을 主題로 한 것이다. 本 硏究에서 발견된 작품의 특성은 大衆消費社會가 발달할수록 object에 대한 槪念이 重要視되었다. 현대주의의 조상들이 그들의 예술속에 도시와 기계의 활력을 도입하려고 시도했었다면 Pop Art의 작가들은 한 걸음 더 나아가 도시 속에 있는 object를 하나의 예술처럼 간주하려고 있다. 消費될 object가 여가 혹은 상업을 위한 선전용 그림은 Pop Art에 사용되어서 마치 消費社會의 象徵처럼 보였다. 기계문명이 發達하면 할수록 인간에게 더 많은 利益을 주고 또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는데, Pop Art의 特徵은 否定的인 眼目과 肯定的인 眼目으로 표현되었다. 그들이 하고자 하는 태도는 사회현상을 그대로 收用하는 態度로서 現實을 그대로 反映하였다. 또한 작품표현에 있어서 地理的으로는 다른 位置에 있어도 같은 大衆消費社會에서의 文明 속에 사는 藝術家들 사이에 같은 精神과 藝術의 우연한 일치로 作品에 차이가 없었다. Pop Art는 1950~60년대 이래로 발전한 大衆消費社會 속에 위치했다. Pop Art양식은 外部 혹은 內部世界의 再現에 基礎를 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예술을 찾고 있던 시기에 外部世界의 現實이라는 주제에 기초를 둔 것이었다.;Art and society maintains very close relation ships in any period of time. Pop art is an art form which raised a new question about what art is, following the Dadaism in modern era. And also until recently, Pop art has not been studied in relation to society but only in relation to its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background and concepts. This study ahls at review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op art and the mass consuming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and status of pop art.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pop art works which dealt with the routine modern society of consumption and recreation. In its analysis, this study employed Erwin Panofsky's Iconographic Interpretation of Paintings. From an historic viewpoint of arts, 122 pieces of work of the most active pop artists of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between the late 1950s and the 1960s were selected freely for analysis. Major themes of these chosen works included daily consumption, recreational society and human being and environment in the modern mechanical civilization era. Pop art works examined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ncept about the object was stressed more in porportion to the development of mass consumption society. If the ancestors of modernism tried to introduce the vitality of cities and machines into their works, pop artists advanced further by taking the objects in the cities as pieces of art. Objects for consumption were employed in pop art works such as advertisement for commercial and recreational purpeses, thus symbolizing the consuming society. Mechanical civilization accompanied negative effects as well as many benefits to human life. Pop art works expressed these characteristics both from a positive and a negative viewpoint. They tried to accept all social phenomena as they were and reflected the reality in their works. In their expression, pop artists showed little difference because of their common living environment in the modern consuming society, although they lived apart from one another. Pop art exists in the modern popular consuming society which has developed since the 1950-19605. Pop art does not base itself on realizing the inner or outer world but on the reality of the outside world, at a time when artists were trying to find a new world of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次 = ⅲ 論文槪要 = xx Ⅰ. 序論 = 1 Ⅱ. Pop Art의 發生과 背景 = 3 A. 1945年 以後 美術의 槪觀 = 3 B. Abstract Expressionism의 쇠퇴 = 4 C. Assemblage의 등장 = 6 Ⅲ. Pop Art의 狀況 = 8 A. Pop Art의 展開 = 8 B. Pop Art의 地域的 狀況 = 10 Ⅳ. 日常的 消費娛樂社會와 作品의 特性 = 12 A. 음식물을 주제로 한 것 = 12 B. 주거, 일상용품과 복식을 주제로 한 것 = 25 C. 性을 주제로 한 것 = 36 D. 오락을 주제로 한 것 = 50 Ⅴ. 機械文明時代의 人間과 環境을 主題로 한 것 = 54 A. 스타를 主題로 한 것 = 54 B. 人間像을 주제로 한 것 = 57 C. 현대 기계문명시대의 위기를 주제로 한 것 = 64 Ⅵ. 結論 = 74 參考文獻 = 76 圖版 = 83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066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Pop art-
dc.subject도상학-
dc.subject미술교육-
dc.titlePop art의 圖象學的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Inconographic research of pop art-
dc.format.pagexix, 106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8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