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1 Download: 0

웹디자인에서 감성요인과 조형요소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Title
웹디자인에서 감성요인과 조형요소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Authors
신은주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정보과학대학원 멀티미디어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들어 '감성브랜딩'(Emotional Branding), '감성 공학'(Human Sensibility Ergonomics)등이 대두되면서, 그 영역은 감성 디자인으로 까지 확산되었다.'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로 대표되던 기능주의 디자인에서, 이제는 감성에 호소하고 경험을 중시하는 디자인이 주목을 받게 된 것이다. 이는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매체로 자리 잡은 웹의 영역에서도 예외가 아니며, 최근 웹에서의 감성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웹이라는 환경에서의 감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즉, 이는 웹에서의 사용자 감성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함이며, 감성요인과 웹디자인의 조형요소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성공적인 감성디자인 구현에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크게 두가지의 연구 주제를 가지며, 그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에서의 감성요인과 감성구조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의미분별법(Semantic Deferential Method)을 통해 웹 디자인이 갖는 감성어휘을 도출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감성평가를 하였으며, 요인분석과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가 갖는 웹 디자인에서의 감성요인은 크게 4가지 요인에 의해 구성되며, 그 요인으로는 심미적인 요인(대표감성어휘: 화려하다/ 세련되다), 기능적인 요인(실용적이다/ 편리하다), 정적인 요인(안정되어있다/ 깨끗하다), 동적인 요인(재미있다/ 흥미롭다)이 나타났다. 이 4가지 기준 요인을 축으로 하는 의미공간 안에, 추출된 감성어휘들을 배치시킴으로서 감성에 대한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예가 되는 사이트들을 배치시킴으로써 감성구조에 대한 예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위 연구를 바탕으로 웹 디자인에서의 감성요인과 조형요소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우선 감성구조모형 내에서 4가지 요인별로 그 특성이 두드러지는 그룹을 선정하였으며, 그 그룹에서 각각 4개의 표본 사이트를 선정하였다. 이는 감성이 다른 이 4가지 사이트가 조형요소의 변형을 통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조사 함으로써 감성요인과 조형요소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함 이었다. 웹 디자인에 있어서 시각적 자극을 중심으로 그 구성 조형요소를 색채, 레이아웃, 그래픽이미지, 타이포그라피로 보았으며. 각각 이 4가지 구성요소를 변형시켜 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때 감성평가는 이미 선 연구에서 알아본 각 요인별로 설명력이 높고, 의미구별이 분명한 8개의 감성어휘를 선택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원본의 감성수치와 각각의 변형을 거친 표본의 감성수치를 비교하여 각각의 조형요소에 대한 감성기여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심미적인 요인인 화려하고 세련된 감성에는 [색체42%- 레이아웃23%- 그래픽이미지18%- 타이포그라피17%] 순의 조형요소가 이 감성에 기여하였으며, 기능적인 요인인 실용적이고, 편리한 감성에는 [레이아웃68%- 타이포그라피13% - 색채10% - 그래픽 이미지9%] 순으로, 정적인 요인인 안정되어있고, 깨끗한 감성에는 [레이아웃56% - 색채22% - 그래픽이미지14% - 타이포그라피8%] 순이, 그리고, 동적인 요인인 재미있고, 흥미로운 감성에는 [그래픽이미지39% - 레이아웃32% - 색채17% - 타이포그라피12%] 순으로, 이 감성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아내었다. 반대로 조형요소 별로 상관성이 높은 감성요인을 해석해 보자면, 색체는 심미적인 요인(화려하다, 세련되다)에 큰 영향을 미치며, 레이아웃은 기능적인 요인(편리하다, 실용적이다)과 정적인요인(안정되어있다, 깨끗하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래픽이미지는 동적인 요인(재미있다, 흥미있다)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웹 디자인에서의 감성구조모형을 알아 보았으며, 감성요인과 조형요소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 볼 수 있었다. 감성어휘에 대한 감성평가를 통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것은 감성을 수량화하려는 감성공학적 방법론을 가져온 것이고, 이를 디자인적 견해에서 조형요소와 관련하여 그 상관관계를 알아내고자 했다. 이는 감성공학적 방법론으로 얻은 결과에 대해, 보다 디자인적 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과정이었다. 감성은 다분히 추상적인 것에서 출발하여, 매우 복합적으로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이런 감성에 대한 연구의 방법론과 해석은 절대적인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연구 주제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이를 위해선 다양한 시각에서의 접근과 방법론이 필요하며,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요소와 조형요소간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서, 웹 디자인에서의 성공적인 감성디자인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는 감성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식 중 하나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며, 결국 이러한 연구는 감성적 디자인의 객관적 기준을 마련하는 노력의 과정으로, 디자이너가 감성적 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제작과 평가에 보다 이성적인 가이드 라인을 제시, 성공적인 감성디자인 구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emotional branding and human sensibility appeared, their range has been expanding influences to emotional design these days. Design that stimulates emotions and respects experiences has been paid attention instead of the functionalism represented by "form follows function." There is no exception to this tendency in the web playing a main role as the new medium in the digital era. Therefore, recently lots of researches on sensitivity in the web have been studied. This study is the research on sensitivity in the web. The main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present the objective criteria on sensitivity of web users and to help embodiment of successful design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sensitivity and figurative factors in the web design. The study has overall two main subjects, which are the contents and results.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s going to develop sensibility factors and the sensitivity structure model. It conducts to induce sensitivity vocabularies on web design with semantic deferential method, to evaluate sensitivity on web samples through survey and to analyze the results facto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As a result, sensitivity factors of the web users consist of mainly four, which are aesthetic factor, functional factor, passive factor and dynamic factor. It's possible to recognize the sensitivity structure by placing selected sensitivity vocabularies to the semantic space with these four factors. And also it gives a chance to check up the sample of the sensitivity structure by investigating sample sites. Second, based on the study above, the further stage focus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nsibility and figurative factors in the web design. The study selects groups with their own outstanding characters on each factor of sensitivity structure model. After that, four sample sites are selected from the groups. The purpose is to check up the correlation between sensibility and figurative factors by investigating how different these four sample sites depending on transformation of figurative factors. In terms of web design, figurative factors with the visual stimulus as the central character might be divided into color, layout, graphic image and typography. Then, sensitivity evaluation is performed through transformation of each factor. The evaluation is conducted according to eight sensitivity vocabularies which are representative and persuasive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with comparison between the original sensitivity values and the sensitivity values of samples through transformation of each factor, contribution level of each figurative factor is researched. The results shows contribution level of figurative factors under each sensitivity factor; Aesthetic factor with this order (color 42%- layout 23%- graphic image18%- typography 17%), Functional factor with this order (layout 68%- typography 13%- color 10%- graphic image 9%), Passive factor with this order (layout 56%- color 22%- graphic image 14%- typography 8%) and Dynamic factor with this order (graphic image 39%- layout 32%- color 17%- typography 12%).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show the interpretation on sensitivity factors in terms of the correlation with figurative factors; Color has a great effect on Aesthetic factor, Layout on both Functional and Passive factors and lastly Graphic image on Dynamic factor. The study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research the sensitivity structure model in the web design at the same time the correlation between sensitivity and figurative factors in the web design. Conducting the factor analysis through sensitivity evaluation on sensitivity vocabularies brings a methodology of human sensitivity ergonomics to measuring sensitivity. The purpose is to check up the correlation between sensitivity and figurative factors in the eyes of design. And it facilitates the process to apply design to the results with the methodology of human sensitivity ergonomics. Sensitivity consists of not only something abstract but also something complicated. Therefore, it doesn’t seem to have absolute research methodology and interpretation on human sensitivity. In this condition, research subjects have to reflect various approaches and methodology on this sort of stud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present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sensitivity and figurative factors and the embodiment of successful sensitivity design. And it shows one of the various approaches to sensitivity. In the end, it can be considered as a process to make an objective criteria on sensitivity design at the same time expected to play a role providing designers with rational guideline on work and evaluation and helping the presentation of successful sensitivity design.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보과학대학원 > 멀티미디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