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부정순.-
dc.creator부정순.-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7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7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3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733-
dc.description.abstract한국미술사에게 1900년대는 조선시대 종말을 고하고 새로운 시대가 도래하던 시기로 이러한 시대적인 혼란속에 형성된 근대 동양화단은 중국미술의 무감각한 모방에서 비롯하여 서구미술의 도입, 일본화풍의 유입 등, 민족미술의 주체성을 저해하는 요인들에 운명을 같이한 대부분의 화가들이 자의식을 상실한 채, 화단에 운집하고 있던 실정이었다. 이토록 부패하고 무기력한 미술계의 와중에서 朴 勝武는 한국 근대 미술의 초기로 일컬어지는 1893년에 태어나서 변화 많은 사회적 조류 속에 살아 오며, 잡다한 세속이나 화단의 아류에 젖지 않고 오로지 순수한 작가정신으로 자신의 예술세계를 추구했던 전통적인 南宗山水畵家이다. 朴 勝武는 그의 천성적인 화가기질과 반골정신으로 일평생 어디에 얽매이지 아니하는 자유로운 생활태도로 화단의 야인으로 존재했다. 본 연구는 朴 勝武의 예술세계를 작품상의 주제별로 山水畵와 기타 畵題로 분류하고, 다시 작품상의 양식 변화를 잘 파악할 수 있는 山水畵를 다음의 4시기 즉, 書畵美術院 시절의 수업기(1913-1920), 스승들의 영향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선전을 발판으로 그의 사실정신을 추구하던 1920·30년대의 탐구기(1921-1930년대말), 그의 독특한 관념취적인 형식미의 화면을 구성하게 되는 朴 勝武 양식의 형성(1940-1970), 만년의 예술(1971-1980)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이런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첫째, 筆法에 있어 부드러운 피마준과 米点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둘째, 구도는 三遠法의 구도를 즐겨 쓰며, 공간처리는 한쪽 면을 가득히 배치하는 充寬空間과 다른 면을 비워 두는 空虛空間으로 구분하여 배치시키고 있다. 셋째, 푸른색 옷을 입은 화보풍의 인물과 원형의 창을 뚫어 놓은 집의 형상이 朴 勝武만의 것이며, 또한, 독특한 그의 향기인 것이다. 朴 勝武는 예술의 본질을 外的인 樣式의 변화에 둔 것이 아니라 內的인 예술정신의 변모에 두고 그의 작품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그리하여 만년에는 그의 시각적 체험을 이념화시켜 조형이라는 표현형식으로 승화시킨 고차원적인 觀念山水畵를 이룩하였으며, 또한 그가 확립한 독특한 雪景의 경지는 한국 근대 미술사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In Korean art history, 18th was the period of having ruined the Cho Sun Dynasty and having opened anew coming era. Oriental artistic circle in these ages of confusion kept actual condition that most artists swarmed without self-conciousness and brought the factors of obstructing the national art's subjectivity, that is to say, the insensible immitation of Chinese arts as well as inflows of Japanese arts and Western arts. Park, Seoung-moo was born under these rotten and enervated circumstances in 1893 (this period was so-called "the biginning stage of Korean modern art"). He, a traditional artist, lived pursuing his artistic world of Southern School of Chinese painting with the pure spirit. In addition, he didn't participate in the artistic circle of speedily changing society. He only existed as a restic of Oriental artistic field with his born artistic temper, self-defence and free life attitude which was not bounded by a rule. In this research, I divided Park's artistic world into the landscape paintings and the other sort of paintings by his subject. And the landscape paintings in which we can best find the changing of artistic modality,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periods; A term of student at Su-Wha art academy (1913 to 1920) A term of escaping boldly from his teachers and pursuing his real spirit with the stepping-stone of Korean Artistic Exhibition (1921 to the end of 1930) A term of Park's pecurial style, that means the method of experssing his own conceptional beauty (1940 to 1970) A term of his old ages (1971 to 1980). Through this above analysis and comparison, it can be the following synthesis; First, He used the combination of Mi-Jeom(making with a dot) and Pi-Ma-Joon(drawing the shapes of mountains and rocks with the direction of soft shaded line). Second, in the composition, he enjoyed using the three perspective representations. In the handling space, he classified the complete space to be fully arranged in one side from the empty space to be vacant in the other. Third, he described the person's shape of copy style with blue wear and the house's shape of circular window with his own peculiarity. Finally, Park had his visible experience idealized in his latter days, achieved the high leveled notional lendscpae painting with the method of expression called the formative arts. In addition, his unique technique of snow covered scene made him keep the unequalled position in korean modern art histo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 2 C. 연구방법 = 2 Ⅱ. 근대 동양화의 흐름 = 3 A. 근대의 미술사적 개념 = 3 B. 근대 동양화의 흐름 = 6 Ⅲ. 朴 勝武의 생애 = 18 Ⅳ. 朴 勝武의 예술세계 = 26 A. 山水畵 = 27 B. 基他 畵題 = 55 Ⅴ. 李 象範, 卞 寬植과의 比較 = 58 Ⅵ. 結論 = 62 參考文獻 = 66 年譜 = 69 深香 朴勝武 作品目錄 = 73 圖版 = 78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204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박승무-
dc.subject근대동양화단-
dc.subject동양화-
dc.title朴勝武論-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근대동양화단의 흐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Research of Park, Seoung-Moo : Emphasis on korean modern oriental artistic circles-
dc.format.page90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8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