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4 Download: 0

學校保健 授業實態에 關한 調査 硏究

Title
學校保健 授業實態에 關한 調査 硏究
Other Titles
(A) the Study on status of health educationin junior high school
Authors
高昇德.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학교보건교육수업실태보건의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敎育이란 하나의 藝術인 동시에 기술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敎育이란 바로 生活 그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敎師가 學生들에게 敎育을 통하여 건강관리를 가르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지만 學生들의 健康은 學校敎育을 效果的으로 達成할 수 있는 基本的인 條件이기 때문에, 學校에서의 健康敎育은 필수적인 것이라고 생각된다. 個人生活에서 健康維持와 增進에 가장 重要한 效果的인 접근 方法은 保健敎育이다. Biggs도 공중보건 사업에 있어서 첫째도 保健敎育이고, 둘째도, 셋째도 保健敎育이라고 말했으며, Anderson은 공중보건 사업을 보건봉사, 보건법규의 집행, 보건교육으로 크게 나누고 그중에서도 保健敎育이 가장 重要하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保健敎育은 個人이나 地域社會 주민의 健康을 좌우하는 敎育이므로 知識 및 技術의 전달에 그치지 말고 生活 態度 및 行動의 변화 일으켜 實踐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장 감수성이 강한 靑少年期에 保健敎育을 시행함은 문제해결의 경험을 예견시킴으로 사전에 대비할 능력을 새롭게 형성할 수 있는 自我를 지니게 하여 問題에 봉착할 때 문제해결 능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敎育熱이 왕성한 시기이므로 效果가 빨리 나타나며 일찍부터 습득된 知識을 生活化하고 습관화하기가 용이한 것이다. 더욱이 다른 보건기관과는 달리 學校에서는 미리 짜여진 計劃에 따라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학습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成果面에서 신속 능률적인 강점이 있다. 本 硏究의 目的은 中學校의 학생과 교사의 健康維持와 增進을 도모하고 保健敎育이 效果的인 成果를 거두기 위해선 현장 授業實態에 대한 調査가 分明히 이루어져야 하는 바 體育時間에 실시되어지는 保健授業의 實態와 效果를 調査하여 보다 나은 保健授業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硏究內容은 中學校의 保健授業이 규칙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 또한 授業은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敎師가 保健時間에 특히 강조한 것이 무엇이며, 앞으로 學生들이 保健授業을 통하여 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를 조사하였다. 또한 中學生들의 保健授業의 效果를 保健敎育 테스트를 통하여 調査하였다. 硏究方法은 日本 高等學校 1學年 學生에게 실시하였던 授業實態調査 설문지를 利用하였으며 保健知識 검사지는 윤남식 교수님의 Test and Measurment in Physical Education과 체육 교과서 교사용 지침서중에서 保健知識의 知識에 관한 筆答檢査 설문지에 의한 調査方法을 택하였다. 그러므로 여기서 얻은 硏究效果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에서는 體育時間중의 保健授業이 대체로 행하여지고 있지 않으며, 效果的인 保健敎育을 하기 위하여서는 지도교사들의 保健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야하며 주어진 保健時間만이라도 잘 이행되어야 한다. 2. 韓國은 日本보다 授業에 대한 충실도가 훨씬 떨어지며 體育교과서내의 보건편은 많이 남아서 끝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3. 보건수업시에 敎師들의 주로 강조한 것은 예방의학 측면으로 나타났다. 4. 앞으로 保健授業을 통해서 알고 싶은 內容은 健康한 生活을 위하여 구체적인 行動이나 習慣을 몸에 베게하고 싶은 습관화와 性敎育에 대한 항목에 큰 관심을 표명하였다. 습관화를 위해선 國民學校 시절부터 철저한 지도가 必要하겠으며, 性敎育의 항목은 이 문제에 대하여 論議되어지고 있는 즈음 조속한 시기에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5. 保健知識 테스트 결과 학생들이 내용의 반 정도는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more desirable situation of health deucation course through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efficiency of health education classes in school. This purpose may be understood by the fact that the most effective way to promote the health of middle-school students and to accomplish the aim of health education is to be find through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health education classes. As the method of study, the questionnaires used for health education for the Japanese students were chosen. Also the manual of Test and Measurement in Physical Education written by professor Yun Nam-sik and the teacher's guide book of Physical Education text were available for the method of this research.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921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health education through physical education was not effected. The teacher's concernments on effective health education should be raised and planned health education classes should be faithfully carried out. 2) Korean health education had low integrity in comparison with Japan's. On the whole, the health education part of the physical education text had not been taught to the end. 3) In the class of health education, the teacher's emphasis had mainly been put on preventive medicine. 4)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had taken great interests in sex education and habituation of good behavior. For the habituation of behavior, the thorough teaching was needed from the primary Schools. 5)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proved that students had more knowledge of health than they had learned, in spite of the imperfectness of health education in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