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0 Download: 0

여중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수업에서의 목표지향성과의 관계

Title
여중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수업에서의 목표지향성과의 관계
Authors
최제희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신체적 자기개념이 체육수업에 있어서 학습자의 목표지향성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아 체육교사에게 학습자의 심리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적절한 수업분위기를 조성하여 체육수업에 있어서 긍정적인 동기유발을 하고, 학습자와 적절한 상호작용을 하는 것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여자중학교 1, 2 학년 학생 500명으로 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451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신체적 자기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체육수업에 있어서의 목표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스포츠과제 및 자아지향성질문지(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s Question- naire)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여중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목표지향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방법으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신체적 자기개념과 목표지향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중생이 지각한 신체적 자기개념은 자기존중감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건강, 체지방(날씬함), 근력, 외모, 유연성, 신체전반, 스포츠유능감, 지구력, 신체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중생이 체육수업에서 설정하는 목표지향성은 자아지향이 과제지향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전체적으로 신체적 자기개념과 목표지향성은 0.1% 수준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과 목표지향성과의 관계분석에서 외모, 스포츠유능감, 자기존중감, 유연성 순으로 정적인 유의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개념은 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인 자아지향과 과제지향 모두에 0.1%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자아지향보다 과제지향과의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들과 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모, 자기존중감, 유연성, 신체활동 순으로 자아지향에 영향을 미치며, 스포츠유능감, 신체활동, 외모 순으로 과제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goal orientation of middle school girls in PE classes, to understand learners' psychological status better for instructors, and to stimulate students positively, thereby creating proper interaction in the class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00 girls in 7th and 8th grade in junior high school, and the data of 451 students were collected. To estimate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goal orientation,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and 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s Questionnaire were used for each estimation.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SPSSWIN 10.0 program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mong the physical self-concept the self-esteem was marked the highest point and health, body fat(slimness), strength, physical appearance, flexibility, general condition, sports skill, endurance, physical performance were followed. 2. The goal orientation was the highest in ego orientation and task orientation. 3. As a whole, physical self-concept and goal orientation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at the p<.001 level.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