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8 Download: 0

읽기 障碍兒의 視知覺力과 學習 Program의 效果

Title
읽기 障碍兒의 視知覺力과 學習 Program의 效果
Authors
李金鎭
Issue Date
1979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읽기 장애아시지각학력학습프로그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준만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widen understanding about the importance of visual perception in reading and to groping for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improvement in reading ability i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in the second grade of o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subjects were enforced Bender Visual Motor Gestalt Test, Intelligence Test, Completion of Drawing Test, Word Recognition Test, and Teaching Program. In teaching Program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 two groups. The first group was taught in visual learning method and the second group in visual-motor learning metho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I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isual perceptibility of the Reading Disability and visual perceptibility of the Normality. 2. These is no clos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erceptibility and intelligence quotient of Reading disabilities. 3. There is no clos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erceptibility and learning effictivencess of reading disabilities. 4.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visual learning method, visual-motor learning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ies. 5. Word recognition ability of the reading disabilities is found having been improved significantly by perceptual learning. 6. Visual-concentration ability, visual-analysis ability, perceptual-recognition ability is not having been improved significantly by perceptual learning for improvement of the reading ability.;本 硏究는 읽기學習에서 視知覺力의 重要性에 대한 認識을 넓히고, 視知覺에 障碍가 있는 읽기障碍兒들의 읽기能力向上을 위한 效果的인 學習方法을 摸索하고자 하였다. 一般的으로 初期의 읽기學習에 있어서 읽기障碍는 文字나 單語에 대한 識別力 혹은 認知力의 障碍를 가져오므로서 읽기學習에 失敗를 하게 된다. 그러므로 視知覺力은 읽기學習에 있어서 매우 重要한 읽기 學習의 準備要素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視覺的要因으로 인한 읽기의 失敗나 읽기障碍는 兒童의 읽기에 對한 準備狀態를 視知覺的인 면에서 고려하고 未成熟된 부분에 對해서 적절한 조치와 적절한 指導를 함으로서 읽기가 원만히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읽기障碍의 豫防도 될 수 있다. 그러므로 本 硏究에서는 읽기障碍兒들의 視知覺力과 視知覺力이 읽기 學習에 미치는 影響을 살펴보고, 여러 硏究者들의 學習理論中에서 Wepman(1968)의 理論과 Smith 또는 Lerner(1971)의 學習理論을 根據로하여 읽기障碍兒의 知覺力 發達과 동시에 읽기學習에 맞는 學習方法을 摸索하고자 한다. 이에따라 本 硏究에서 살피고자 하는 問題들은 다음과 같다. 1. 읽기障碍兒의 視知覺力과 正常兒의 視知覺力間에는 差異가 나타나는가? 2. 읽기障碍兒의 視知覺力은 知能과 어느 정도의 相關이 있는가? 3. 읽기障碍兒의 視知覺力은 學習프로그램의 效果에 影響을 끼치는가? 4. 읽기障碍兒의 읽기能力向上을 위한 學習프로그램에서 視覺的 方法과 視覺-運動的 方法中 어느 方法이 더 效率的인가? 5. 學習프로그램은 읽기障碍兒의 單語認知能力 向上에 效果를 가져올 수 있는가? 6. 學習프로그램후 兒童의 그림완성력은 向上될 것인가? 이와같은 硏究를 위해서 서울特別市 K公立國民學校 二學年 全兒童 對象으로하여 本 硏究에 해당되는 초기의 읽기學習에 障碍가 있는 兒童 29명을 選定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各各 視知覺力檢査와 知能檢査, 그림완성력檢査, 그리고 學習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硏究에 使用된 檢査道具는 視知覺力檢査로서 Bender Visual Motor Gestalt Test를 사용했으며, 知覺檢査로는 김 호권의 一般知能檢査 라형을 使用하였다. 그리고 그림완성력은 Nebraska Learning Aptitude Test의 下位檢査中의 하나를 使用하였다. 硏究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읽기障碍兒의 視知覺力은 正常兒의 視知覺力보다 큰 差異로 뒤떨어지고 있다. 2. 읽기障碍兒의 視知覺力은 知能과 有意한 關係가 없었다. 3. 읽기障碍兒의 視知覺力은 學習效果에는 큰 影響을 미치지는 않는다. 4. 읽기障碍兒의 읽기向上을 위한 知覺學習에서 視覺的方法과 視覺-運動的方法間에는 有意한 差가 없었다. 5. 읽기障碍兒의 읽기向上을 위한 單語認知能力은 知覺學習에 의해 向上될 수 있었다. 6. 單語認知를 위한 知覺學習 後에 視覺的 集中的, 分析的, 知覺的 認知能力은 向上되지 못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