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朴美惠.-
dc.creator朴美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3Z-
dc.date.issued1980-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7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3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78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산 소나무속(Pinus) 6종의 잎과 줄기의 유관속 수와 수지도를 중심으로 내부 관찰을 하여 그 특징을 비교하였다. 잎과 줄기의 내부 관찰을 위하여 formaline acetic alcohol(f.a.a.)에 고정시킨 후 파라핀법(paraffin method)으로 영구 프레파라아트를 만든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고 현미사진을 찍었다. 여기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한국산 소나무속 중 6종은 Rehder(1956)의 분류와 갈이 단유관속 아속(Haploxylon)과 쌍유관속 아속(Diploxylon)으로 나눌 수 있고 단유관속 아속에는 P.pumila Regel, P.parviflora Sieb.et. Zucc., P.koraiensis sieb.et Zucc., P.bungeana Zucc.가 속했고 쌍유관속 아속에는 P.densiflora Sieb.et Zucc., P.thunbergii Parlatare가 속했다. 2. 줄기의 피층에 발달한 수지도의 형태는 난형과 타원형의 형태이고 그 위치에 있어서 표피에 접한 것은 P.parviflora Sieb.et Zucc.이며 사부쪽에 접한 것은 P.koraiensis Sieb.et Zucc., P.bungeana Zucc., P.densiflora Sieb.et Zucc.이고 피층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은 P.thunbergii Parlatare, P.pumila Regel로 나눌 수 있다. 줄기의 피층 수치도를 측정한 결과 P.bungeana가 가장 크고 P.koraiensis가 가장 작게 나타났다. 3. 목부의 수지도는 6종 간에 비슷한 크기를 나타냈다. 4. 한국산 소나무속(Pinus) 중 6종에 대하여 바늘잎의 수와 수지도의 위치 및 수에 따르는 종 검색표를 만들었다.;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internal relationships among the species of Pinus in Korea, based on the. number of vascular bundle and the position and shape of resin ducts in cortex and xylem. The materials used for this study are Pinus densiflora Sieb. A Zuce., P. thunbergii Parlatare, P. bungeana Zucc., P. parviflora Sieb. A Zucc., P. koreaiensis Sieb.. A Zucc., and P. pumila Regel.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re observed : 1. Six species are grouped in two; Haploxylon and Diploxylon. Those species which belong to the group of Haploxylon are P. pumila, P. parviflora, P. koreaiensis and P. bungeana, and those species which belong to the group of Diploxylon are P. densiflora and P. thunbepgii. 2. The shapes of resin ducts in stem are ovoid and ellipsoid. The positions of resin ducts are distinguish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ones. The size of duct is various among the taxa, and the largest duct is present in P. bungeana and the smallest one in P. korainensis, 3. The size and shape of resin cucts in xylem proved to be similar among the six species of Pinu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재료 및 방법 = 3 Ⅲ. 관찰 결과 = 7 Ⅳ. 고찰 및 결론 = 16 참고문헌 = 18 ABSTRACT = 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757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韓國産 소나무屬의 分類學的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taxonomic study on genus Pinus in Korea-
dc.creator.othernamevi, 20 p. : 삽도.-
dc.format.pagevi, 20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생물교육분야-
dc.date.awarded198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