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정화-
dc.creator이정화-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2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3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2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393-
dc.description.abstractHuman is the creature being changed at every time, not the fixed one. Children is sensitive to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f circumstances and the development of sense and perception influences greatly to the perfection of ego when they become adult. It is well known that there is close relation between the formation of one's personality and the one's conduct pattern and especially, the circumstance in earlier stage given to human life, that is the circumstance of childhood which has the most rapid development process is very important. The creativeness and the imaginative power occur on the basis of the circumstances in which children play and experience. All the circumstances and things in childrens' lives are the objects of their study, perception and play and the picture book among their circumstances as the medium by which various experience and feelings can be possible influences children's emotion greatly as an intended study circumstance. Therefore, the picture book is the strong basis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in this stage. The picture book as the medium of information by human visual sense make the concrete visual experience possible and at the same time, it develops and enriches children's immature imaginative power and helps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houghts. This thesis centered on making the new visual experience possible by partial compositive change of a book escaping from the uniform and plane compositions of books in flooding picture books and the picture book as visual perceptional medium should be the motive which develops more creative and desirable thinking power and enriches unique visual experience and should help to wake up the various formative sense by being shown, being read and making children contact with the new form and space.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process of this work pursuing the various visual change the children's development of sensitivity and the reception of information and the role of a picture book as the visual experience and children's visual characteristic and three dimensional perception were examined and arranged in their order for the first in chapter Ⅱ. The real work was manufactured through various expression and it was analyzed in chapter Ⅲ. The more effective expression was pursued through this study on the basis of manufacturing the work with the interest in the illustration of picture book in usual time and this study was started in the point that three dimension is more effective on inducing the interest and the development of imaginative power and creativeness than plane surface to children and I attended with the attitude developing the re-creative power through my own new work.;어린이의 창조력과 상상력은 그들이 놀고, 경험하는 그 주위 환경을 토대로 발생하고 어린이들에게 있어서 생활 주변의 모든 환경과 사물은 학습과 지각과 놀이의 대상이 된다. 간접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그림책은 의도적 학습 환경 자료로서 어린이의 정서에 미치는 효과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고 시각에 의한 정보 전달 매체로서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은 구체적인 시각 경험을 가능하게 해주는 동시에 어린이에게 아직 미발달된 상상력을 키워주고 풍부하게 하며 창조적 사고 발달에 도움을 준다. 또한 어린이들에게는 문자보다 그림을 통한 시각효과가 크다는 사실에서 볼 때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은 내용 전달이나 정서 함양에 효과적이고 그에 따른 미적 체험으로 더욱 다양한 조형 감각을 일깨우게 된다. 일러스트레이터의 독특한 조형 의식을 통한 새로운 시각이미지의 표현은 다양한 시각 경험의 계기를 마련 해준다는 측면에서 원할히 전개되어야 하며 일러스트레이션의 변화있는 표현에 의한 새로운 시각 요소는 어린이들에게 지속적인 흥미와 시각적 자극을 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은 각기 독립된 단일 화면을 기초로 구성되는데 일러스트레이션에 의한 내용의 전달과 시각의 흐름으로 각 화면간의 긴밀한 연속성을 유지해야 한다. 시각 경험을 통한 흥미와 놀이의 수단이 되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을 보다 주제 전달에 효과적인 시각 표현이 되도록 노력하고 그에 알맞는 이미지의 연결에 적합한 표현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했고 구체적인 이론 즉 그림책에서의 일러스트레이션의 역할과 어린이의 시각, 그리고 지각 발달에 관한 이론 또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연결 표현에 대해 알아보았고 개인의 시각과 감성에 의한 작품을 표현하고 전개시키고자 하였다. 완성된 일러스트레이션의 역할을 확대하는 의미에서 부분 커팅을 보조 수단으로 사용해서 작품을 진행하고 그로인한 화면간의 연결과 연속성에 대해서도 다루어 보고자 한다. 이번 연구는 평소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한 관심과 실질적 작업의 경험을 토대로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하므로서 보다 효과적인 표현 추구에 도움이 되게 하고 스스로의 표현 세계를 확장시키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5 A. 그림책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의 역할 = 5 B. 어린이의 지각 발달과 정보 수용 방법 = 6 C. 어린이의 시지각 특성과 시각 경험으로서의 그림책 = 11 1. 어린이의 시지각 특성 = 11 2. 시각적 경험으로서의 그림책 = 13 D.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연결 표현 = 16 Ⅲ. 나의 일러스트레이션 표현 = 19 Ⅳ. 작품 전개 및 분석 = 29 A. 표현의 목적 = 29 B. 작품의 전개 = 31 Ⅴ. 결론 = 51 참고문헌 = 53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125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그림책-
dc.subject일러스트레이션-
dc.subject광고디자인-
dc.title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ression of Picture Book Illustration-
dc.format.pagevi, 54p. : 도판(일부색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광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