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단위체 안에서의 점증에 의한 기하학적 구성을 이용한 도벽

Title
단위체 안에서의 점증에 의한 기하학적 구성을 이용한 도벽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eramic Wall(Wall Decoration) Applied by the Gradation
Authors
박성미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Keywords
단위체점증기하학적 구성도벽공간예술환경도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고도의 산업발달로 인한 과학의 발전으로 우리가 영유하고 있는 생활공간이 엄청난 변화를 갖게 되고, 다양화 개성화를 추구하게 되면서 우리환경의 미적 순화를 이루는 한 방편으로 환경예술이 대두되게 되었다. 도벽은 도자예술에서 시각적 환경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과거의 구조적인 벽이란 단순한 개념을 넘어서, 미술적 조형감각을 수반하여 환경예술로써 적극적인 참여를 하고 있다. 이에 공감하여 본 연구자는 공간예술을 위한 환경도예의 일환으로 도벽을 제작함에 있어 단위체 안에서의 점증(漸增, Gradation)에 의한 기하학적 구성을 통해 조형미를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기하학적 구성의 일반적인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고, 그 표현수단으로 선택한 조형요소로서 구성원리인 점증에 대해 살펴 표현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점증은 스텝의 일연으로서 연결된 하나의 계속된 순서로써, 평면적 점증, 공간적 점증, 형태적 점증으로 구분된다. 평면적 점증에는 방향전환과 위치이동을 가리키는 평면의 회연과 평면의 점증이 있고, 공간적 점증에는 모양과 크기가 변화하는 공간의 점증과 공간의 점진이 있고, 형태적 점증에는 위치의 변화와 모양의 변화를 가리키는 통합과 공제와 신장과 압축이 있다. 또한 점증은 힘의 점증대, 점증소의 두 방향성에 의해 경쾌한 리듬감을 부여하며, 등차적인 구성보다는 등비적인 구성에 더 큰 효과를 보이며, 반복보다 더욱 동적인 표정을 지니고 있어 보는 사람에게 풍족한 형의 감정을 준다. 점증에 의한 기하학적 구성은 변화, 운동, 생명을 내포하고 있으며 도벽에 있어서 평면에서 벗어나 입체적인 표현을 통하여 새로운 조형감각으로 시각적 효과를 다양하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벽의 역사적 배경과 특성 및 유형별 분류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점증에 의한 기하학적 구성의 조형작품 사례와 도벽의 사례를 고찰하여 작품제작에 참고가 되고자 하였다. 단위체 안에서의 기하학적 구성은 직선과 곡선을 사용하였는데 「작품1, 2, 3, 4, 5, 7」은 직선으로 「작품 6, 10」은 사각의 단위체 안에서 곡선으로 구성하였고 「작품 8, 9」는 직선과 곡선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각 단위체는 반복적이고 연속적인 배열을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집중시켜 변화, 운동, 생명, 점이를 내포하는 점증의 효과를 더욱 강조하여 나타낼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작품제작 방법에 있어서는 단위체의 반복성형과 점증을 위한 선의 세밀한 부분의 표현이 용이하도록 석고형을 이용한 이장주입성형을 하였다. 태토는 백색도가 높은 고려도토를 사용하였고, 각 작품형태의 특징에 맞게 이장에 현대화학에서 구입한 안료 Green M-55, Blue M-1350, Gray M-252, Pink M-450, Brown -9, Yellow M-120를 혼합하여 색의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유약은 투명유를 분무법으로 시유하였다. 소성은 가스를 연료로 하는 0.5㎥가마에서 7시간 동안 소요하여 마침온도는 900℃로 1차 소성한 뒤, 2차소성은 9시간 동안 산화소성하였는데 마침온도는 1,240℃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작과정을 통해 평면에서 벗어나 입체적인 표현으로 불륨감과 시각의 만족감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고, 단위형태위에 점증에 의한 기하학적 구성으로 평면에서의 입체적효과와 빛에 의한 음영의 변화와 시각적 집중에 의한 정돈된 분위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도벽이 조형적 공간을 구성하는데 있어 환경예술로서 새로운 창작적 요소로 광범위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도벽에 대한 관심이 좀 더 확대되어 지고 개발 연구되는 계기가 되고자 하였다.;Because of highly developing industry and science as well, our living space meets significant changers and its transformation, and therefore with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pursued, environmental art is introduced, as a means for the aesthical sublimation of our environment, into our society. The ceramic wall(wall decoration) is recognized as a way to making visually beautiful environment in ceramic art, and thereby the ceramic wall, breaking the simple concept of 'the structural wall', is taking a signigicant role contributive to environmental art, accompanied by artistic, plastic sense. Sympathized by tha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in producing the ceramic wall as a part of environmental ceramics for spatial art, to abundantly express plastic beauty through the geometrical composition applied by 'gradation'. As a theoretical context in the study, the general concept of geometical composition was reviewed, and 'gradation', a principle of composition as a plastic element selected as an expressional means, was reviewed so that the result from such views may help some in artistic expression or at least be referred. In the present study, with three-dimensional expression, breaking from the plane through such kind of production process, various effect such as the sense of volume, visual satisfaction, etc. could be achieved, and with the geometrical composition applied by 'gradation' on a from of units, three-dimensional effect on the plane, change of shadow, and the well arranged environment by visual concentration could be more effectively expressed. Therefore, through the present study,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the potential that the ceramic wall(wall decoration) can be extensively utilized as a new creative element in environmental art for taking a part of the plastic space, and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study, more concorn about wall decoration be spreaded and extended, thereby giving the motive of its research and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