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세계 박람회 한국관 전시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세계 박람회 한국관 전시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XHIBITION ENVIRONMENT DESIGN OF KOREA PAVILION IN THE WORLD EXPOSITION
Authors
김은주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세계 박람회한국관전시 디자인실내환경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Exposition, Cleat Exhibition등으로 표현되는 세계박람회는 인류의 발달과 함께 인류가 이룰 수 있었던 성취상을 한 시점, 한 장소에 집약 전시하는 문화와 정보의 교류장이다. 1851년 런던 세계박람회를 시초로 박람회'는 세계 각 곳에서 개최 되었으며, 과거의 박람회가 과학기술 무역에 대한 과시와 홍보를 위한 것이였다면, 20세기 박람회는 문화와 정보의 교류, 휴머니즘의 인간중심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한국의 세계박람회 참가는 1893년에 최초로 참가하였으며 다른나라에 비해 그역사와 경험이 짧고 미약하다. 그러나 산업구조의 고도화 추구와 과학기술 개발에 목표를 두고 국제 사회에서의 우리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자 정보교환, 문화교류, 국력과시의 수단으로 박람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그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에 박람회 참가는 필요하며 당연한 것으로서 세계속에 한국의 이해와 유대강화를 위한 방법으로 박람회디자인은 중요하다. 그러나 박람회 디자인은 방대하고 총체적인 것으로서 유사영역에서 다루어 왔지만 집중적으로 연구한 분야가 미약하기에 연구대상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박람회 디자인을 위한 구체적 과정과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박람회의 역사와 최근 경향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디자인의 필요성과 가치를 인식하려고 하였다. 1-1. 역사적 과정을 통해 변화되어온 박람회의 개념을 살펴보면 19세기의 박람회가 과학, 기술을 강조한 것이었다면 20세기의 박람회는 문화와 정보의 교류장으로서 인간의 미래와 행복, 조화등의 인간 중심의 휴머니즘 강조로 바뀌게 되었다. 1-2. 세계박람회는 박람회 협약에 따라 종합 세계박람회와 전문 세계박람회로 나눈다. 종합 세계박람회는 일반적 의미의 주제를 가지고 참가국 부담으로 독립관을 건축하며 전문 세계박람회는 한정된 주제와 주체국이 전시관을 건축하고 임대한다. 1-3. 세계박람회는 인류에 대한 기여와 국제적 정보교류를 이룸과 동시에 일반 대중의 계몽을 목적으로 하는 전시회로서 무역박람회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파악했다. 2. 세계박람회 디자인을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학제적 접근방법을 도입하여 구체적 디자인 과정과 결과를 위한 체계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2-1. 전시환경은 물리적 환경으로서 인간과 환경, 환경과 인간의 커뮤니케션 유도과정이며 인간과 환경은 상호관계로서 인식하여 인간 스스로 환경을 조정, 형성, 선택할 수 있는 가변적인 환경으로서 디자인 되어야 한다. 2-2. 물리적 환경으로서 전시디자인은 환경지각과 인지를 고려한 식별성을 높여 조형적 가치와 커뮤니케이션의 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2-3. 전시는 인간과 전시물, 인간과 전시환경과의 케뮤니케이션 유도과정으로서 커뮤니케이터가 메시지를 기호화하여 매체를 통한 관람객에게 보내져 나타나는 효과라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커뮤니케이션은 시공간언어로서 모든이에게 받아들여 질 수있는 보편성을 형성하며, 한국이미지 개선 및 미래지향적인 전시공간에 궁극적인 효과를 창출한다. 3. 역대 주요 박람회의 국제관과 한국관의 전시디자인에 관한 사례분석을 통해 전시 경향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4. 조사된 문헌 및 자료와 학제적 접근을 토대로 전시환경 디자인의 개념적 틀을 마련하고 구체적 과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4-1. 문화와 정보의 교류장으로서 과거, 현재, 미래에 이르기까지의 인간의 모든영역에 있어서의 노력에 대한 발견을 제시하고자 "발견의 시대"라는 가상의 주제를 설정하였다. 4-2. 전시디자인의 과정을 케뮤니케이션 체계로 보아 케뮤니케이션의 강화를 위한 방법으로서 하이테크, 하이센스, 하이미디어를 통한 시청각적 전시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4-3. 인간의 태도에 의한 공간계획으로 관람자와 사용자의 쾌적한 전시환경이 되게 전시의 질적 차원을 높이고, 국제적 정보교류를 이룸과 동시에 나아가서는 인류에 기여하고자 한다. 4-4. 전시디자인을 케뮤니케이션 활동으로 인식하여 전시디자인의 문제점을 보안하는 기초자료로 발전시켜, 바람직한 환경이 되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5. 박람회디자인은 방대하고 총체적인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연구는 다음 과제로 한정된 영역에서 보다는 보다 넓은 영역간의 연속적인 연구로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The world Esposition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The world's fair" or "Great Exhibition" is a spot of interchanging cutural and informational accumulations of manking in a given time and space. The practice dates from the Rondon World Exposition in 1851. And, if we might say the past exhibitions as those for display and publication of matters of science, technology and trade, now we must say expositions of the 20th century has come under variations on cultural and informational interchange and humanism. 'Korea's participation in the world exposition, started from 1893, has gradually gathered more general interests and demands concerned about her firmer status-establishment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eventhough it has relatively short history and experience when compared with other developed countries. Thus, a design of the exposition emerges an important method for Korea's concern and reinforcement of both commercial and cultural ties with worldwide countries, from the aspect that her participation in the world exposition is necessary and a matter of course. Also the design is worthy of study since there scaree fields of intensive-studies, though some domains with history have dealt with it as a matter of extensive and general concern. Therefore, concrete processes and fact-findings for the design may be summed up as follows: The necessity value of the design were perceiv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recent tendencies and the History of the world exposition. A systematic approach as the basic theoretical study for the design of the world exposition fair was introduced in this study to provide with concrete design process and outcomes. Exhibition tendency and problems were examined through a process of case analysis of the exhibition designs in the historically international pavilion and Korea pavilion of important exposition. Based on the observed literaries and materials, and, also, upon the systematic approach, a conceptual frame of exhibition environments was provided with; and, a proposal about the concrete processes was prese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