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高等學校 國史』敎科書의 體制와 內容分析 硏究

Title
『高等學校 國史』敎科書의 體制와 內容分析 硏究
Other Titles
(THE) STUDY OF THE SYSTEM AND CONTENT ANALYSIS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OF HIGH SCHOOL
Authors
宋貞雅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역사교육분야
Keywords
국사교과서현대사고등학교교과서체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의 역사 교육은 과거뿐만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알고자 하는 데에 있으므로 현재의 요구와 상황이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오늘날 현대사 교육에 대한 강화가 요청되고 있다. 현대사 교육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에 현대사에 관한 내용이 올바로 제시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해방 이후부터 현행 교육 과정 시기까지의 국사 교과서 중 10종의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현대사 부분에 관한 외형 분석과 내용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현대사 교육이 요청되고 있는 배경을 살펴 보고 현대사 교육을 이해하기 위해서 교과서의 기능과 해방 이후 국사 교육과 현대사 인식의 문제를 살펴 보았다. 그리고 교과서에서의 현대사 교육 실태 분석을 하였다. 먼저 교과서의 외형 분석으로 (1)시대별 비중도 분석 (2)소항목 영역별 분석 (3)주요 사항별 내용 분석 (4)학습 보조 자료 분석을 하였고, 서술 내용 분석으로는 (1)미군정 시기와 정부 수립 (2) 6.25전쟁 (3)제 1공화국 (4)제 2공화국 (5)제 3 공화국 (6)제 4 공화국에 대해서 각 교과서의 서술 내용을 학계의 기준 자료와 비교 분석 하였다. 그 결과로 우리나라 국사 교과서에서 현대사가 차지하는 비중도는 매우 낮았고, 현대사 내용 서술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주로 현대사 내용이 정치에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었고, 각 시기의 교과서마다 내용상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학계의 자료와 교과서 서술 내용에 있어서도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어 객관적이지 못하고 당시의 정권과 밀착된 형태의 서술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현대사 교육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과감하게 현대사의 내용이 교과서에 제시되어야 하고 그것이 솔직하게 교육되어야 한다. 그리고 현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대의 세계 정세와 연관된 내용이 서술되어야 할 것이다. 현대사 교육이 요청되고 있는 이 시기에 본 연구가 미흡하지만 교과서에서의 현대사 교육을 올바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리라고 생각된다.;The modern history education, which let us know present and future as well as past, should reflect the present requirements and conditions. So the reinforcement of modern history education is requested today, and the content of modern history should be properly suggested in the textbooks used in educational field for a desirable modern history education. This thesis, centering around 10 sorts of history textbooks of high school from the Liberation up to the current curriculum period, dealt with both external and content analysis. For this, the background to the purpose of modern histery education was investigated into and then the problems such as functions of textbook and history education and modern history recognition after the Liberation were considered for a understanding of modern history education in textbooks. And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was made in the modern history education in textbooks. First, external analysis of textbook was made vided into the fields such as (1) gravity of respective period, (2) minor items, (3) content of essential particulars, (4) supplementary learning data. As for the analysis of content description, each textbook was referred to the standard data from the academic world , in the spheres of (1)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and Establishment of Government , (2) the Korean War, (3) the 1st Republic , (4) the 2nd Republic , (5) the 3rd Republic , (6) the 4th Republic. As a result, the low gravity given to modern history in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seen and plenty of problems were exposed in the content desciption of modern history. The content of modern story was mostly related with politics and each textbook of each period had some different contents. Also,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data of academic world and the content description of textbook, which proves that the description in those days was made in a from that was not object and closely contacted with the political regime. Therefore, we should take a bold step to provide the textbooks with the content of modern history and educate them without conceal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sent age, we should describe the content concerned with modern world situation. May this study, though has shortcomings, contribute to a correct understanding of modern history education in textbooks in this period that modern history education is highly reques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