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0 Download: 0

고등학교 미술과 자화상 학습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Title
고등학교 미술과 자화상 학습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ethod of teaching of Self-portrait in fine arts of a highschool
Authors
노금란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고등학교미술과자화상학습지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청소년기는 자아 의식이 강해져 자기에 대한 욕구와 관심이 증대되는 시기이다. 따라서 획일적이고 답습적인 기능주의적 표현 활동에서 벗어나 청소년의 욕구와 관심을 수용할 수 있는 미술과 표현 학습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1학년 미술과 자화상 학습시 발상 과정과 표현방법의 변화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흥미도를 알아보고, 학생들의 자화상 작품에 나타난 자기 표현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Brainstorming을 이용한 발상 작업과 확대·축소·생략·대치 방법에 의란 자화상 학습 후, 작품 내용과 실험 학습 전반에 관한 학생들의 의견을 질문지를 통하여 알아보고 자화상 작품을 대상으로 구도, 인물 표현, 배경 처리 등에 나타난 남·여에 따른 표현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 방법에서 사용된 도구는 문헌, 질문지, 학생 작품, 학습 지도안 등이다. 대상은 서울 시내 강북 지역 중심에 위치한 인문계 고둥학교를 성별에 따라 한 학교씩 목적표출 하여 1학년 학생을 각각 250명씩 500명을 표집하였다. 자료 처리는 실험 학습 전반에 관한 학생들의 의견을 묻는 질문지와 학생작품을 관점별로 분석하고 백분율과 Chi Square(X^(2)) 분석 방법으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질문지 분석 자화상 작품에서 사용된 표현 방법은 확대 표현이 가장 많았고 특히 얼굴과 머리카락에서 확대 표현이 높게 나타났다 축소 표현은 몸전체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고 확대 표현과 축소 표현의 이유로는, 남학생은 외모의 특징을 강조하고, 여학생은 자기가 바라던 모습으로 고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에 청소년들의 자기 표현에 대한 기회는 낮게 나타났고, 표현 기회의 필요성은 높게 나타났다. 실험 학습에 대한 흥미도는 남·여 학생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있었던 점으로는 바라는 대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었다는 점이, 흥미 없었던 이유로는 묘사력이 부족하다는 점이 높게 나타났다. 2. 작품 분석 구도는 안정된 구도(삼각형 구도)가 가장 많았고, 역삼각형 구도는 여학생 작품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삼각형 구도를 제외한 여러 구도에 고른 분포를 보였다. 인물 표현에서 머리 표현은 자신의 머리 모양에 비해 길게 표현한 머리 표현이 남·여 학생 모두에게 높게 나타났고, 얼굴 표현은 인체 전체 비례에 비해 크게 표현한 얼굴 표현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몸 표현에서는 여학생은 의상 표현이, 남학생은 근육을 강조한 표현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배경은 공백 처리가 78.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제와 관련된 여러 내용을 표현한 배경 처리는 남학생 작품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Adolescent period is when their self-consciousness becomes stronger and the desire of and interest in themselves are increasing. Therefore this period needs researching for a new expressive learning of fine art which can accept the desire and interest of the youth, free from the uniform, treaded, and functionalistic activity of ex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interest of first grade students of highschool by the change of way of expressing and thinking in their lessons on self-portrait, and to analyzed their individual self-expression shown in their works of self-portraits.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nsists of learning about self-portrait through the work of thinking using Brainstorming, and ways of magnifying, contracting, omitting, and symmetrizing, and examining the students' opinion on the content of their works and experimental lessons through questionnaire and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mode by girls and boys students in the composition, expression of character painting, and treatment of background. References, questionnaires, works of students and teaching plan were the tools used for this study. A highschool located in the center of north area of Seoul was selected objectively and then each 250 students of two sexes, total 500 1st grade students were sampled. As data treatment, I analyzed, by points of views, questionnaire asking the students opinion on the whole experimental teaching, and their works, and then verified its probability with percentage and Chi Square(X^(2)), the analyzing method. The results are arranged as follows. 1. Questionnaire Analysis In the works, magnifying expression was most frequently used method, especially magnifying their faces and hairs. Contracting expression showed relatively high percentage in the whole body. The reasons of using above expression methods were placing emphasis on the features of appearances and correcting some features with their desired ones. The opportunities that they can express themselves ordinally were low while need for the opportunity high. The degree of their interest in experimental teaching was high both in boys and girls students. The reason of having interest was for that they could express themselves as they want, that of having no interest was for that they didn't have enough capacity of expression. 2. Works Analysis As for composition, stable composition (triangle shaped) was most common, and unstable composition (reverse triangle) showed high percentage in the works of girls students white variefy of compositions except for the triangle showed ever percentage in those of boys students. Both students in high percentage express longer hair than their real haris and bigger faces in proportion to their bodies. In the expression of the bodies, girls stressed their costumes and boys stressed their muscle. 78.8percent of the students treated the background of the works as empty, and the treatment of the background as expressing some contents related to the subject was highly shown in the works of bo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