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손미림 .-
dc.creator손미림 .-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6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3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1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3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요즈음 크게 부각되고 있는 환경문제 중의 하나인 생물다양성 보존에 대한 문제를 환경교육의 일환으로서 중학교 1학년 과학교과서, 생물분야인 "식물의 분류" 단원에서 다루고자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그리고 그 교수-학습 지도안에 들어간 생물다양성에 대한 새로운 학습 내용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지적 수준에 적합한 내용이 선택되어서 얼마나 잘 인지할 수 있는지 알아 보기위하여 실험집단을 선정하여 본 지도안이 투입된 후 지적 영역을 평가함으로서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비교집단은 환경 보전 차원에서 상식적으로 생물다양성에 대하여 약간은 알고 있었지만 생물다양성 보존의의, 보존 방법 등의 구체적인 부분까지는 모르고 있었다. 2. 본 지도안이 투입된 실험집단은 새로이 도입된 생물다양성에 관한 학습내용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또 그 내용을 인지하고 있음을 알았다. 3. 따라서 지적 평가 결과 두 집단의 평균 용량에 유의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4. 이상과 같은 평가 결과를 통하여 환경교육의 일환으로, 중학교 1학년 과학 정규 교과과정에 새로운 개념인 생물다양성 문제를 접목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5. 본 연구에서는 생물다양성에 대한 지적인 측면의 배양과 평가만을 다루었으나 전반적으로 환경보전에 관한 태도 변화까지 따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각 학년에 따르는 이 분야에 대한 교수-학습 지도안이 개발되어 반복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develop a teaching plan about the biological diversity preservation, which is now issuing seriously as one of the environmental problems. As a par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biological diversity preservation will be treated in the unit "The plant classification". It belongs properly to the domain of biology of science textbook for a junior middle school pupils. This new contents of the teaching plan were verified by evaluating controlled group consisted of juni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evaluation was to find whether the new contents is appropriate to the students' cognitive level or not, and hew well they recognized i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work. 1. The uncontrolled group regarded the biological diversity as a level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not specifically but simply, for example the importance and method of preservation of it. 2. The control led group showed much interests in this new contents of biological diversity and were able to recognized it well. 3. As a results of this cognitive evaluation, the statistical difference is significative to the mean capacity appeared between two groups. 4.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as a par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t seemed desirable to introduct the new conception of biological diversity to formal science curriculum for junior middle school pupils. 5. This work treated mainly the increase of knowledge about the biological diversity at large. But thoroughly in order to make the attitude change toward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happen, the teaching plan about the this part for each graded should be developed continuous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환경교육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동기 = 2 Ⅱ. 연구 방법 = 5 Ⅲ. 본론 = 7 A. 이론적 배경 = 7 1. 분류학과 종의 개념 = 7 2. 생물다양성 = 11 B. 연구 내용 = 14 Ⅳ. 본시 학습 진행 = 19 A. 수업 내용 = 20 1. 1차시 수업 내용 = 20 2. 2차시 수업 내용 = 26 B. 본시 교수-학습 지도안 = 32 Ⅴ. 평가 = 44 A. 평가 문항의 제작 = 44 B. 평가 과정 = 46 C. 평가 결과 = 47 Ⅵ. 결론 = 50 참고문헌 = 54 부록 = 57 1. 소단원 "식물의 분류"에 대한 기존의 수업계획 = 57 2. 평가 1 문항지 = 58 3. 평가 2 문항지 = 60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214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생물다양성-
dc.subject환경교육-
dc.subject교수-학습지도안-
dc.subject생물교육-
dc.title생물다양성 개념 도입에 따른 환경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 생물 분야에서-
dc.title.translated(The) development of teaching pla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ollowed by introduction of biological diversity conception : In the biology domain of sciences textbook for a junior middle school pupils-
dc.format.pagevi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생물교육분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