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6 Download: 0

실내 장식 도벽에 관한 연구

Title
실내 장식 도벽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Wall-Plastering of Interior Decoration : By Application of Odds end Pieces of cloth & Jangsuk
Authors
이성민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Keywords
실내 장식도벽장석조각보도예벽장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erms of ratio of space in which man lives, he spends much more time in the interior space than in the exterior space. then, the functional and aethetical treatment of the interior space could become largely influential not only in the creation of comfortable environment of life but also in cultivation of emotion and formation of character. In this respect, decoration of interior space which give functional and visual pleasure, has become indispensable and formative senses attendant on it turn out to be a must. Thus, ceramic art with several thousands years of history can meet our requirements in the light of emotion and as time goes on, it has taken root firmly as ceramic art with basic symbolism of earth. Accordingly, while corresponding to the refinement of emotion and asethetial requirement of the public, the purpose of the study is set as follows. First, to search for new course for improvement of interionment and harmony with architectural fine arts through suggestion of new area for interior decoration with decorative plastering of wall and extensive application of it to the interior space and second, to suggest a new way by combining the traditional image of Korea with modern ones. The study inquires into the history of biography, tile, plate.etc that are said to be historical background of ceramic decoration of wall. And it classifys the ceramic decorations of wall in U.S.A. Japan with which we have much cultural exchanges largely into plane type and relief tupe according to type of ceramic decoration of wall classified by creation of a aesthetical environment in line with the accelerated urbanization. And, it examines the decorating techniques and style of exprssion of them by subdividing them into mosaic type, plane tile, wall-painting type, terra-cotta type and reliaf type. In our country, most of them are plane type of decorating techiqures and in Japan, the cooperation between architectures and ceramic art seems to be remarkable while the Western including U.S.A. show that the approached to the works that contain the psychological and visual consideration. In style of expression, abstract expressionism that was the first fine arts movement since the World War Ⅱ, was most frequent in the expression of ceramic decoration of wall and realistic expression and geometrical expression were the second and the third. The emerging ceramic decortion of wall has the four aspects as followes. Symbolic aspect in which the intention of object can be inferred by image through symbolism, aesthetic aspect characteristic of visual and tactile softness shown by the harmony between earth and glaze, practical aspect accompanied by the trend of making art a life and aspect of public art in accordance with social demand for public character. For the future for ceramic decoration of wall. Subject matters are designed on the basis of formative consciousness available from the traditional figures of our country. Prior to practice, the present researcher try to suggest a new way for the present design' of wall-plastering by making the most use of Jang-suk patterns, being decorative articles of wooden furniture among the conventional figures of Korea, partition of plans surface of odds end piece of cloth and the traditional colors shown in the odds end piece of cloth, transforming them into the modernistic taste and applying them to wall-plastering. Then, I will make efforts in order for ceramic art to play a role of enhancing the sense of beauty in living space and giving decorative effect to it through decorative plate. In style of expression, I am going to give solid sense to plane surface by adopting depressed and embossed style of expression. Thus, I expect that the wall-plastering of interior decoration without being limited to plain decoration could shorten the separation between man and nature by supplying mental and physical rest to the simple and uniform atmosphere of the interior space in the modern society.;인간이 생활하는 공간 비율을 보면 건축의 외부에서 보다 내부공간에서 지내는 시간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내부 공간을 기능적, 미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물론 쾌적한 생활환경의 조성뿐 아니라 정서 함양과 성격 형성에도 미치는 바가 크다. 이러한 의미에서 기능적이고, 시각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실내공간의 장식이 점차 필수로 등장하게 되었고 이에 따른 새로운 조형감각이 필요하게 된것은 당연하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수 천년의 역사를 가진 도예가 정서적인 면에서 우리에게 많은 만족감을 충족 시켜 줄 수 있으며 시대가 거듭될수록 흙이라는 원초적 상징성을 가진 도자예술로서의 위치가 점차 확고히 자리잡게 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의 정서순화 및 미적요구에 대한 대응책이 하나로 부합되면서, 첫째 장식도벽으로 실내장식의 또 다른 영역을 제시하고 실내공간에 광범위하게 적용시켜 건축미술과의 조화는 물론 실내환경 개선에도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함이고, 둘째, 한국의 전통적 이미지를 현대와 조화시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급속한 도시화 진행에 따른 미적 환경 조성에 의한 도예벽장식의 유형별 분류에 따라 우리나라 도예벽장식을 크게 평면형과 부조형으로 분류하고 모자이크형, 평면타일형, 벽화형, 테라-코타형, 부조형으로 세분하여 장식기법과 표현양식을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의 도예벽장식은 평면형의 장식 기법이 가장 많았다. 표현방법은 후기 현대 미술에서 전후 최초의 미술운동이었던 추상표현주의가 도예벽장식 표현에서도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이며 그다음이 사실적 표현, 기하학적 표현 순의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실내 도벽 연구를 통한 현황 조사 결과에서 안타깝게도 본연구의 대상이 되는 전통 장석 형태와 조각보를 응용한 실내 장식 도벽을 찾을 수 가 없었으므로 비슷한 예를 가진 작품들을 제시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는 본 연구자는 더욱더 우리 전통적인 것을 채창조하여 현대적인 것에 활용하여 우리만의 독창적인 실내 도벽을 제작해 나가야 겠다고 생각했다. 도예벽장식이 건물에 부착 되었을때는 단순히 장식만의 의미가 아니라 우리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정서감을 함양시키는 것이며 나아가 대중의 상징언어로 표현해 공공사회의 유대감을 유지 시켜주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대감과 상징성을 우리의 것 즉 잊혀져 가는 전통적인 것들에서 찾아 보았다. 그중에서 장석 문양과 조각보를 현대적인 것에 도입시켜서 우리 선조들의 미의식을 재조명 해보고자 하였다. 도예벽장식의 새로운 부각은 상징을 통한 이미지(image)를 통해서 대상물의 의도를 추론할 수 있는 상징적 측면과 흙과 유약의 조화에 의해서 나타나는 시각, 촉각적 부드러움의 특성을 지닌 심미적 측면, 예술의 생활화추세에 따른 실용적 측면, 공공적 성격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른 공공미술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그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 작품제작은 소재를 우리 전통 문양에서 얻을 수 있는 조형의식에 근거해 디자인 하였다. 그 실천에 앞서 본 연구자는 한국의 전통문양 중 목가구의 장식품인 장석문양과 조각보의 면분할, 또한 조각보에 나타나는 전통적 색상을 활용하여 현대적인 분위기로 변형시켜 도벽에 도입시킴으로서 현대 도벽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표현 방법은 음(陰), 양각문(陽刻紋) 기법을 써서 평면에 입체감을 주고자한다. 작품제작방법은 반복적 효과를 위하여 이장용 백색 점토를 사용하여 형태와 크기에 따른 석고틀을 이용하여 이장 주입 성형을 하였다. 또한 작품 특성에 따라 안료와 유약을 적절히 사용하여 시유 하였으며 1차 소성후에 2차 소성은 모두 산화 소성하였다. 실내장식 도벽은 현대의 단조롭고 획일화 된 실내 분위기에 정신적.육체적 휴식을 제공하여, 장식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의 유리감을 조금이나마 해소시킬 수 있기를 기대 한다. 그리하여 장식도판을 통하여 주거 생활공간에 미감을 높여 주고 동시에 장식적 효과를 줄 수 있는 도자예술로서의 역할을 기대해 나갈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