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2 Download: 0

면담사태와 토의사태에서 분석된 도덕성 발달수준의 차이

Title
면담사태와 토의사태에서 분석된 도덕성 발달수준의 차이
Authors
許敬賢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Keywords
면담사태토의사태도덕성발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硏究는 道德敎育의 프로그램을 計劃하기 위한 基礎資料로서 個人面談事態에서 나타나는 道德性 發達水準과 集團 討議事態에서 나타나는 道德性 發達水準을 分析 比較하여 그 결과가 道德科 指導方法에 어떤 유용한 시사를 줄 수 있는가를 밝히려는데 그 目的이 있다. 따라서 한 個人의 道德性은 個人 面談事態에서 보다 集團 討議事態에서 높은 發達水準을 보인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Piaget와 Kohlberg에 의한 道德性의 認知發達 理論과 Bernstein의 社會的 學習理論 그리고 Oliver와 Shaver에 의한 價値敎育 方案에서 시사받은 것이다. 認知發達 理論에 의하면 兒童의 道德性 發達水準은 한 個人이 世界를 보는 全體的 관점, 또는 인지구조를 반영하는 것으로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에로의 이행은 個人 內部의 인지구조와 環境 사이의 相互作用으로 이루어지며 個人의 道德的(및 지적)發達은 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점점 더 安定된 인지구조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다. 이 발달과정에는 특히 兒童과 父母, 兒童 상호간의 社會的 相互作用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Piaget와 Kohlberg의 理論的 假定으로 道德敎育에 시사하는 바 크다. 道德性 發達水準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Kohlberg가 제시한 인간 生命의 價値에 관한 道德性 問題를 담은 딜레머 이야기를 사용하였으며, 국민학교 4학년, 6학년 및 중학교 2학년의 3개 학년 아동을 학년별로 각각 20명씩 도합 60명을 표집하였다. 硏究方法은 1) 個人 面談事態에서 나타나는 道德性 發達水準을 分析하고 2) 5명을 단위로 토론을 시키면서 그 進行過程을 錄音記錄하여 個人別로 道德性 發達水準을 分析하여 1)과 2)의 結果를 比較하는 方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資料를 分析한 결과 個人 面談事態에서는 학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道德性 發達水準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각 학년 모두 1단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全體的으로는 표집 아동의 37%에 해당하는 22명이 3단계에 속하였고 4단계가 19명(32%)으로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다. 이로서 약 70%에 해당하는 아동이 인습수준에 머물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인습이후 수준인 5단계와 6단계에는 전체아동 중 불과 12명의 아동만이 反應하였고 4학년에서는 6단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同一한 학년에 있어서도 판단근거 內容과 發達水準은 매우 多樣하게 나타났다. 학년별로 살펴보면 4학년과 6학년의 경우 판단근거 內容이 상투어와 단순히 具體的 예로 사용된 가상적 사례를 기술하고 있고 狀況的 요인을 잘 考慮하지 못한 반면 중학교 2학년은 비교적 높은 수준의 규범적 知識을 판단근거로 제시하고 있었다. 이를 集團 討議事態와 比較해 보면 個人 面談事態에서 나타난 道德性 發達水準은 집단 相互作用의 결과로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4학년의 경우 65%에 해당하는 13명의 아동이, 6학년을 11명(55%)이 중학교 2학년은 50%에 해당하는 10명의 아동이 1~2단계씩 向上되어 道德性 發達水準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全體的으로는 57%의 아동이 수준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고 道德性 發達水準이 하강된 아동은 한명도 나타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集團 討議事態에서는 個人 面談事態에 비하여 각학년 모두 道德的 판단에 사용된 규범적 지식이 多樣하고 水準이 높아졌으며 適合한 판단근거를 제시하는 등 Kohlberg의 統合과 分化의 原理가 그대로 적용되어 나타났다. 이같은 結果는 集團 討議事態가 道德的 판단능력을 伸張시킬 수 있는 方法의 하나임을 입증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道德敎育 方法改善에 매우 具體的이고 실제적인 시사를 주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동들의 대부분이 討議과정에서 T·V의 수사물 프로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하고 이와 관련된 思考를 하고 있어 視聽覺 媒體가 어린이의 思考活動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시청각 매체가 어린이외 道德的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硏究도 시도되어야 할 것 같다. 앞으로 道德敎育 方法에 대한 理論的인 硏究와 아울러 實證的인 硏究가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道德과 敎育課程에 있어서도 德目 中心의 배열에 그치기 보다는 德目간의 갈등을 포함하는 實際的인 價値葛藤事態로 재조직하여 완전한 道德的 思考에 가까워지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그리고 토론하는 모습에서 兒童은 어떤 具體的인 사례에 고착되어 관계가 없는 사례를 장황하게 기술할 뿐 일반적인 명제를 찾아내지 못하고 있어 言語表現 기술에 대한 관심도 요청되며 抽象的 言語로 論議할 수 있는 수준에 까지 이끌어야 될 것이다.;This study is an attempt to compare the level of moral development as measur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 to that manifested by the same individuals in the group discussion situation. This line of investigation is suggested from the cognitive-development approach to moral development by Piaget and Kohlberg, the theory of social learning by Bernstein, and value education program proposed by Oliver and Shaver. This study is expected to reveal whether or not the discussion can be a useful method of enhancing moral development level defined in the cognitive-developmental perspective. According the cognitive-developmental theory, the level of moral development of an individual is a reflection of his total framework of perceiving the world, or "cognitive structure." The transition from one stage of development to the next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s existing cognitive structure and environment, and the process of moral(or cognitive) development is construed as a process in which the individual attains a more stable cognitive structur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And in this process, the social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nd among children themselves plays a very important part. The sample consists of 60 students, 20 students each from elementary 4th, 6th and secondary 2nd grades. To each student the moral dilemma test by Kohlberg was administered in individual interview situation, and then the students were grouped by 5 to discuss the same dilemma problem. Then the moral development level was assessed with the data from both the interview situation and group discussion. The analysis of data revealed that in the interview situation about 70% of the students, regardless of the grade level, show the "conventional morality," even though there is a variation in the "stages" within the same grade level. About 60% of the sample(34 students of 60) showed higher stage of moral development in the group discussion situation as compared to the individual interview,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he effect of peer interaction. Also, in the group discussion, as compared to the individual interview, the students use a wider varieties of reasons for moral judgment and use those reasons more adequately. The above results seem. to suggest that the group discussion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enhancing the level of moral development. It is felt necessary to examine more throughly the idea of teaching values through "value conflict situ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