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鄭昌珍-
dc.creator鄭昌珍-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6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6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1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65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공립유치원과 국민학교 1학년의 음악교육에 관한 조사연구로 공립유치원 교사와 국민학교 1학년 교사의 인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내의 12개 시·군에 설립된 총 302개 공립유치원 교사와 국민학교 1학년 교사 각각 1명씩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립유치원 교사와 국민학교 1학년 교사는 음악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2. 공립유치원 교사와 국민학교 1학년 교사는 음악교육목표에 대하여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 3. 공립유치원 교사와 국민학교 1학년 교사는 음악교육과정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4. 공립유치원 교사와 국민학교 1학년 교사는 음악교수방법에 대하여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 5. 공립유치원 교실과 국민학교 1학년 교실의 물리적 환경은 어떤차이를 나타내는가? 6. 공립유치원 교사와 국민학교 1학년 교사는 음악교육의 개념에 대하여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가? 7. 공립유치원 교사와 국민학교 1학년 교사는 음악교육의 연계성에 대한 관점에서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 처리는 빈도수에 의한 백분율 처리와 유치원과 국민학교 1학년 교사간에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음악교육의 중요성에서 합주합창의 경우 유치원과 국민학교 1학년 교사 모두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리듬악기에에 있어서는 유치원 교사보다 국민학교 1학년 교사가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2. 음악교육목표 설정에 대하여는 유치원 교사보다 국민학교 1학년 교사가 고시된 문교부 음악교육과정의 목표를 고려하였고, 음악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이 아동의 발달수준의 적합성에 대해서도 국민학교 1학년 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였다. 3. 상호간의 음악교육과정에 대해서는 유치원 교사가 더 많이 알고있었고, 교육과정 공동개발의 필요성은 유치원과 국민학교 모두 인식하였다 4. 교수자료에 있어서는 국민학교 교사 거의가 문교부에서 나온 교사용 지침서를 사용하였으며, 악기사용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건반악기를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교실환경을 유치원과 국민학교 모두 음악감상의 공간이 절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6. 음악교육의 개념에 대하여는 유치원, 국민학교 모두 박자개념을 많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악양식에 관한 개념을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유치원과 국민학교 1학년의 음악교육의 연계성은 모두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무엇보다도 교육내용이 연계되는 것이 중요하대고 인식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differences of understanding remain in the investigation between the teachers of public kindergarten and first year of elementary school. As study objects, each one teacher of total 302 public kindergarten and first year of elementary school which founded in twelve cities and districts in Chunla-Nam Do, was choosed. Questionnaire was used as a study tool. As data teating method, percentile according to frequency and Chi-square (χ^(2))-inspection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the first yea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practiced.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ings: 1. 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music education, all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command interest to body expression activity and rhythm sense training, as the importance of ensemble and chorus, all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 perceived them as important, and as the importance of rhythmic instrument, first year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perceived it more important than kindergarten teacher. 2. As goal establishment of music education, first year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considered more the purpos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announced music education course than kindergarten teachers, and also in appropriatability of music education course's purpose and contents to the development level of children, first year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perceived highly. 3. In perception degree between kindergarten and first year of elementary school to music education course, kindergarten teachers knew more about the music education course of elementary school, and in comnon development, kindergarten and elementary teachers all perceived it's necessity. 4. As teaching materials, almost all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d the teacher's guide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in kindergarten used the guide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all music related books sold in the bookstore. In instrument using, all group mainly used keyboard instrument. 5. As classroom environments, the music hall were insufficient in all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6. In perception of music education, all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rained more rhythm conception and hardly trained for the conception of music mode. 7. All perceived the necessity of articula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first year of elementary school's music education, most of all, they perceived it important as articulation of education cont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목적 및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유아기 음악교육의 중요성 및 목표 = 5 B. 유아 음악교육의 교수내용과 방법 = 9 C. 유치원과 국민학교 1학년의 음악교육목표 및 내용 = 17 D. 유아 음악교육의 환경 = 21 E. 선행연구 = 24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대상 = 25 B. 연구도구 = 26 C. 연구절차 = 27 D. 자료처리 = 27 Ⅳ. 결과 및 해석 = 28 A. 음악교육의 중요성 = 28 B. 교육 목표 = 31 C. 음악교육과정 = 34 D. 교수방법 = 36 E. 물리적 환경 = 42 F. 음악교육의 개념 = 44 G. 연계성에 대한 관점 = 44 Ⅴ. 요약 및 결론 = 47 A. 요약 = 47 B. 결론 = 50 참고문헌 = 54 부록 = 57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029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공립유치원-
dc.subject국민학교-
dc.subject1학년-
dc.subject유아기-
dc.subject음악교육-
dc.title공립유치원과 국민학교 1학년의 음악교육에 관한 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전라도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rticulation of Music Educa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First Year of Elementary School-
dc.format.pageviii,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