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國民學校 2學年 學生들의 社會科 內容에 關한 學習前 知識

Title
國民學校 2學年 學生들의 社會科 內容에 關한 學習前 知識
Authors
金三子
Issue Date
197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Keywords
사회과사회지식사실영역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Ⅰ. Prefa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clear that how much know the pupils newly promoted to second year of the priamry school about the contents of social knowledge in the test book of society of the second school year, and how much more they know about the facts(Knowledge) of the two sphere of facts and of the coneptional, thirdly, which of them they know more about the contents of knowledge between the contents of th knowledge concerning their everyday life and that of unconcerned, fourthly, to know how much effected the sex, background of their homes, and chronological age in the process of acguring the knowledge. Ⅱ. Method of Resarch The object of this reaearch is the two hundred and seventy seven pupils of the C and H Primary School in Seoul. They are male and female of the second school year. They were examined by forth items selected from the society text book of the second year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table of dual classification. Ⅲ. Result THE first main supposition, the newly promoted pupils of the second year would know the social knowledge above 50 percent in the text book of society was proved by the result they had got near the points of 50 with their average points 49.91. The second main supposition, the newly promoted pupils of the second year would know more the knowledge concerning the sphere of their eeryday life than that of the unconcerned was also proved. The first sub supposition, the newly promoted male pupils would know more about the knowledge in thir society text books than that of the female was proved to be negative. The second sub supposition, the newly promoted second year pupils who are chronolgically older ones would know more about the knowledge in the society text book than the younger ones wsa also proved to be negative. The third sub suposition, the same second year pupils whose parents' status were higher socially and economically than the lower ones would know more about their social knowledge in their text book was proved meaningful in their points as one percent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 ones. Ⅳ. Conclusion and Proposition 1. It is urgently necessary to publish complementry text book to help the pupils understand the social informations as the text book now we wse were edited without considertion of the intellectual background of the pupils. 2. Pupils could learn much social knowledge from their surroundings but their unconceptionized knowledge remains in their perception as a knowledge of factual sphere. Therefore,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f the subject of society of the second year must be emphsized tho make more higher educational program to acguire conceptionied knowledge rather than that of the actual. 3. Since the pupils acguire much knowledge and informations out of their school concerning everyday life their social environment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t is advisable in school curriculum to give them oportunity as possible as we can for exploration and investigation and travel to understand society. By such a program the pupils would surely widen and deepen their experinences. 4. The pupils who are of good background socially and economically, know more about social knowledge than that of lower ones. Therefore, it would be more desirable in the learning process of the subject of society for the second year to make group-tea-ching according to their ability and each subject, otherwise we shall make a great error for the lower levelled pupils on account of the higher levelled ones.;Ⅰ. 緖論 本 硏究의 目的은 2學年에 바로 進級한 어린이들이 2學年 社會科 敎科書에 提示되어 있는 社會知識 內容을 얼마나 많이 理解하고 있느냐, 2學年 어린이들이 事實領域에 關한 內容의 知識 內容과 槪念領域에 關한 知識 內容 中에서 어느 것을 더 많이 理解하고 있느냐, 또 어린이들의 生活과 關係가 密接해 있는 知識 內容과 關係가 密接해 있지 않은 知識 內容 가운데서 어느 것을 더 많이 理解하고 있느냐를 밝히려는 것과 함께 이와 같은 知識 獲得의 過程에서 性, 家庭背景, 時間順, 年齡(Chronological age)이 얼마만한 影響을 미치느냐를 알아 보는데 있다. Ⅱ. 硏究方法 硏究 對象은 C 國民學校와 H 國民學校의 2學年 各各 2, 3班의 男·女 어린이 277名이며 二元分類表에 基準하여 2學年 社會科 敎科書에서 뽑은 40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評價紙를 앞의 277名 어린이들에게 投入시켜 評價를 치르게 했다. Ⅲ. 結果 主 가설 1인, 2학년에 바로 진급한 어린이들은 2학년 사회과 교과서에 나오는 사회지식 내용의 50% 이상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는 實際 나온 점수가 50점에 아주 가까운 49.91점이었으므로 立證이 되었다. 主 가설 2인, 2학년에 바로 진급한 어린이들은 2학년 사회과 교과서에 제시된 사실 영역에 관한 지식을 개념 영역에 관한 지식보다 더 많이 이해할 것이다. 도 5%의 水準에서 意味 있음이 밝혀져 立證이 되었다. 主 가설 3인, 2학년에 바로 진급한 어린이들은 2학년 사회과 교과서에 제시된 그들의 생활 관계가 밀접해 있는 사회 지식을 관계가 밀접해 있지 않은 사회 지식보다 더 많이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도 5%의 水準에서 意味 있음이 밝혀져 立證이 되었다. 副 가설 1인 2학년에 바로 진급한 남자 어린이들은 2학년에 바로 진급한 여자 어린이들 보다 2학년 사회과 교과서에 제시된 지식을 더 많이 이해할 것이다. 는 拒否되었다. 副 가설 2인, 2학년에 바로 진급한 어린이들 중에서 시간순 연령이 많은 어린이들은 시간순 연령이 적은 어린이들 보다 2학년 사회과 교과서에 제시된 사회 지식을 더 많이 이해할 것이다. 도 拒否되었다. 副 가설 3인, 2학년에 바로 진급한 어린이들 중에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가정 배경을 가진 어린이들이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가정 배경을 가진 어린이들 보다 2학년 사회과 교과서에 제시된 사회 지식을 더 많이 이해할 것이다. 는 1%의 水準에서 意味있음이 나타나 立證이 되었다. Ⅳ. 結論 및 提言 1. 2學年 社會科 敎科書의 知識 內容의 選擇은 어린이들의 智的 背景을 考慮해 보지 않고 이루어 졌으므로 補充敎材의 편찬이 시급히 이루어 져야 하겠다. 2. 어린이들은 그들의 周圍에서 많은 社會 知識을 習得할 수 있는 데 그 知識들은 개념화 되지 않은 사실 領域의 知識으로서 어린이들의 知覺 속에 남아 있다. 그러므로 學校에서 이루어 지는 2學年 社會科 敎授學習의 內容들은 여러 가지의 知識을 事實로써 어린이들에게 知覺시키는 것만을 强調하기보다는 좀 더 개념的인 知識을 習得시키기 위한 높은 水準의 敎授學習計劃을 세워야 할 것이다. 3. 어린이들은 學校 學習 外에서도 意識的 無意識的으로 周圍의 生活에 關한 知識을 많이 習得하고 있으므로 學校學習의 過程에서는 可及的이면 어린이들의 經驗 밖에 있었던 知識 內容들인 踏査, 旅行을 많이 하게 하여 어린이들의 經驗의 範圍를 넓히는 作業이 필요할 듯 하다. 4. 社會·經濟的 水準이 높은 어린이는 社會知識을 많이 알고 있고, 社會·經濟的 水準이 낮은 어린이는 社會知識을 적게 알고 있으므로 學校에서 이루어지는 2學年 社會科 學習過程에서는 一定한 水準의 家庭背景에 속하는 어린이들 만을 위한 授業을 해서는 아니되겠고 이와 관련해서 主題別로 集團 學習의 方法을 試圖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