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國民學校 低學年에 있어서의 國民敎育에 關한 硏究

Title
國民學校 低學年에 있어서의 國民敎育에 關한 硏究
Authors
金炫希
Issue Date
197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국민학교 저학년국민교육민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Degree
Master
Advisors
한만영
Abstract
國樂敎育의 중요성은 국민학교 低학년의 기초교육부터 강조되어야 하겠다. 국민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로부터 고등학교까지의 음악교육과정은 그 대부분이 서양음악의 이해로 始終한다. 국악의 資料는 풍부하지만 교육을 어떻게 시키느냐 하는 것이 음악교육의 당면문제 중 하나가 될 것이다. 교육에서 主體性이라는 것도 우리의 것을 먼저 알고 그 土臺위에 外來的인 것을 受容시키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따라서 低학년부터 우리의 傳統音樂敎育이 교육과정 속에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本 硏究는 低학년 즉 국민학교 1·2·3학년의 음악과정을 대상으로 하고 현재 저학년 음악교육 과정과 교과서의 檢討와 아울러 우리의 傳統音樂 - 엄밀히 말하여 가장 가창하기에 손쉬운 민요 - 자료 中 一部와 그 교육방법의 試案을 제시하여 본 것이다. 음악교육 과정을 검토한 (국악 내용에 대한것) 결과 음악교육과정 일반목표 (라)항에 "우리나라와 여러나라의 음악을 이해하고 조상들이 남긴 문화 유산을 계승하여 민족문화 창달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라고 되어있다. 또한 교육과정의 가창학습 내용4항의 (5)에 의하면 1·2·3학년 모두 "다장조및 여러 장조의 노래를 부르며, 같은 조표의 우리나라 음계를 포함하도록"라고 되어있고, 4항의 (9)에 "민속적인 가락과 전설적인 가사의 노래"라고 되어있다. 그러나 실제로 교과서의 내용을 보면 그 본디의 교육과정과는 달리 가창교육에서 우리의 민속음악은 도외시되고 있다. 現行 국민학교 1·2·3학년 음악교과서 (국악 내용에 대한것)를 노래數, 調性, 拍子, 樂器使用, 鑑賞에대하여 分析해본 결과 다음과같다. 1. 노래數에 있어서는 1학년 음악교과서에 가창용 曲으로 29曲, 2학년 31曲, 3학년 32曲, 모두 92曲中 민요는 한곡도 없다. (1학년 교과서 "별하나 나하나" 제외) 2. 調性에 있어서는 92곡 거의가 장조로 되어있다. 3. 拍子에 있어서는 2박자와 4박자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있다. 4. 樂器使用에 있어서는 서양악기 (큰북, 작은북, 트라이앵글, 캐스터네츠, 탬버린, 심벌즈, 바이올린, 오르간, 실로폰, 피아노, 트럼본, 바리톤, 튜바, 트럼팻, 스자폰, 호른)의 명칭과 그림이 있고 관악기를 제외한 위의 악기들을 사용하여 연주하며 노래 부르게 하고 그 악보도 많이 例示하여 놓았다. 국악의 악기로는 교과서의 감상편에 장고, 가야금, 편종, 북, 피리, 징, 소고, 태평소의 그림만이 있을 뿐이다. 5. 鑑賞에 있어서는 1·2·3학년을 통틀어 아리랑, 도라지타령, 풍년가의 3곡만이 감상곡으로 나와있다. 여기에서의 문제점은 우리의 민요를 감상용으로만 다루어야할 것인가, 또한 3년을 통하여 3곡만을 감상하게 한 교과과정 상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우리의 음악은 우리가 사랑하고 애창하여 개발하여야 하겠다. 「짐머만」은 모든 감각이 6才-8才에 가장 많은 발전이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학교교육이 시작되는 低학년에서 우리의 민요를 가르치므로써 조상들이 남긴 문화유산을 계승하여 민족문화 창달에 기여하려느 태도의 기초가 마련될 것이다. 이에따라 민요의 자료로는 각 지방의 민요 150여曲中 25曲을 선택하여 1학년에서 2음으로된 민요곡, 2학년에서 1·음의 경과음이있는 3음으로된 민요곡, 3학년ㅇ서 5음으로된 민요곡을 지도하므로써 우리의 민요를 흥미있게 보다 빨리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교에서 오락시간 이나 혼자있을 때 가족끼리 오락을즐길때, 가정에서 혼자 놀 때, 야외 소풍이나 친구와 어울릴때 등의 어린이들이 일상생활 어디서나 명랑하고 즐겁게 민요를 부름으로써 한국인으로서의 민족적 긍지를 가지게 될 것이다. 提言 1. 전통적인 동요나 민요를 삽입하는 문제. 국민학교 음악교과서가 모두 국악으로 되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저학년의 교과서에 몇%만이라도 삽입하여 어린이드에게 민족성ㅇㄹ 강조하여야 할 것이다. 2. 전통음악에 기초를 둔 동요를 새로이 작곡하는 문제. 새로은 민족음악을 창조하기 위하여서는 전통적인 민속음계의 선율과 리듬등 固有의 음악적 素材를 바탕으로 하여 음악교육에는 물론 대중음악에도 민족적 정서감을 길러주어야 할 것이다. 3. 국악기의 실제 이용문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타악기로부터 시작하여 高학년에 가서 관악기, 현악기등을 실제 연주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어야 할 것이다. 각 국민학교 필수악기로 국악기를 준비하도록하고 현행 교과서 감상편 그림의 악기를 실제 사용할 수 있게, 가창교육에서 쓰도록 준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악기사용은 어린이들에게 새로운 악기를 만지게 함으로써 국악에 대한 취미와 흥미를 한껏 높일 수있을 것이다.;A Study of the method of instr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lower level primary school classes, with special reference to folk music.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resent music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text book for use in the lower level classes of the primary school. It has presented suggestions for a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method", by introducing traditional music materials, especially folk songs, which can be sung most easily. The aim of the present music education curriculum is purported to include an understanding of our own music, our traditional modes and folk songs, However, such folk music materials are not included in the present text book. Upon analyzing the present music text book for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of the primary school,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resulted; 1. In the music text book for all three grades, only three folk music pieces are included for music appreciation. No folk music for singing exists in any of these books. 2. Tonalities are mostly in major keys. 3. Time signatures are mostly simple quadruple(2/4, 4/4). 4. Our folk music instruments are represented only with an illustration in the "music Appreciatin" Section. We feel, therefore, that it is very necessary to teach our traditiional music in the primary school. Zimmerman pointed out that all musical senses may be most effectively developed between the ages of six to eight years. Because of this theory, it is most important that traditional music be taught in the lower level primary school classes. The suggested teaching method for our folk music is as follows: From a collection of 150songs. 25 were selected and arranged to be taught, starting from the lowest grade. For first year classes, two or three tone folksongs may be taught, songs which have three tones and one or two additional tones may be taught in grade two; and songs which have five tones may be taught in grade three. By such a gradual method of teaching folk music, effective results may be achieved. For actual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has shown details of teaching methods adpted from the Richard's method, which is, in turn, based on Koda´ly's educational concept. From the outcom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success of Korean music education, are derived. 1. By including traditional folk songs, instruments, modes, rhythms and melodic patterns of Korean folk music in the primary school text book, the national spirit can be perpetuated, thereby assisting int he basic education of our independence. 2. Exanples of our folk music for singing should be developed and created. 3. The skill of playing musical instruments should progresaively advance from percussion instruments, which may be handled relatively easily (Puk, Changgo, Ching, So-go etc.), to wind and string instruments, and the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many opportunities to perform them. As a result, every primary school should be required to have a wide variety of our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