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선희-
dc.creator김선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2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1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0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106-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커피문화가 시작한 것은 조선말기 고종때이고 개화기를 통하여 서양문물이 급격하게 들어오면서 대중화되기 시작하였다. 현대에 이르러 커피는 기호식품으로서 소비량이 증가하면서 커피를 마시기 위한 용기로 Coffee-Set의 수요도 증가하여 우리나라 산업도자 생산량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기능적인면에서 보다 편리하고 미적인면에서 보다 아름답고 심미성이 강조된 Coffee-Set을 추구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성과 심미성을 겸비한 Coffee-Set을 제작하는데 있어 우리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고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디자인 개선에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Coffee-Set의 역사적인 고찰과 Coffee-Set의 종류와 기능적 특성을 파악하고, 심미적인 특성을 시중에 나와있는 제품을 중심으로 조사, 분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역사적 고찰의 결과 사회, 경제, 문화가 발달할수록 새로운 형태와 미적 기능이 강조된 Coffee-Set의 생산이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Coffee-Set의 종류와 기능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그 일반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Coffee-Set을 구성하는 각각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하여 디자인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셋째, 심미적인 특성을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제품을 국내와 외국업체별로 조사, 분류한 결과 형태에 있어 기능성과 시각적 안정성에 중점을 두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결론에 따라 실용적이고 심미성이 강조된 디자인의 Coffee-Set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작품제작 방법은 이장(slip)을 이용한 석고원형틀에 의한 주입식 성형(Slip Casting) 방법과 압축식 주입성형(Solid Casting)방법을 택하여 대량생산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작품의 마무리는 디자인에 따라 전사지와 7가지의 유약으로 시유하여 형태, 색채, 장식을 서로 보완시켜 주어 현대적이고 산뜻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Since the end of Chosun dynasty, when coffee was primarily introduced to us, it become very popular as the time went by. And, the need of tools as coffee-container is markedly growing with increasing consumption of coffee as a fancy tasty food item in' present-day life. As a result, coffee-set takes a great deal of percentages in present Korean industrial ceramic production, and people pursuit coffee-set emphasized on convenience and esthetic beauty in functional aspect. This article is to be focused on improving coffee-set designing which satisfies our artistic desire and the need of convenience in everyday life. To fullil the purpose of this study, author reviewed historical background, functional property and esthetic caracteristics of coffee-sets available in present open-market, which lea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more developed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status increase the production of better esthetic property. Second, the essential elements of designing is to understand general property and to consider each and every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offee-sets being made. Third, the major elements determining the share of each set are functioning and balanc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of many different kinds of coffee sets made in and out of our country. Therefore, it is a natural conclusion that practicality and esthetic sense should be accentuated in designing each coffee-se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Coffee-Set 의 역사적 고찰 = 3 B. Coffee-Set 의 종류 및 기능적 특성 = 5 1. 커피잔, 접시 (잔받침) = 6 2. 설탕기, 프림기 = 7 3. 과자접시 = 7 C. Coffee-Set 의 심미적 특성 = 8 1. 형태별 분석 = 8 2. 표면장식 기법 = 10 Ⅲ. 작품제작 및 해석 = 20 A. 디자인 계획 = 20 B. 작품제작 과정 = 22 C. 작품해석 = 41 Ⅳ. 결론 = 61 참고문헌 = 63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179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Coffee-set-
dc.subject디자인-
dc.subject용기디자인-
dc.titleCoffee-set 디자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SIGN OF COFFEE-SET-
dc.format.pagex, 66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