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백화점 Show window display에 관한 연구

Title
백화점 Show window display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isplay in the show window of Department store : Focus on the cases of Seoul City
Authors
박영순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백화점Show windowdisplay서울실내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852년 프랑스 파리에서 시작한 봉마르세( Bon btarche´ ) 백화점을 기원으로 하는 세계각국의 모든 백화점들은 많은 발전을 보였는데 그중 오늘에 이르기까지 미국에서 가장 활발하게 발전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34년 화신백화점을 필두로 하여 해방후 1969년 신세계백화점이 직영체로 바뀌면서 본격적인 백화점의 체계를 세우게 되었다. 백화점은 한 건물안에 의식주에 관련된 상품을 부문별로 조직 판매하는 대규모 소매상이다. 소비자의 의식이 향상되고 욕구가 다양화되어 그들의 생활양상(生活樣相)이 급격히 변화됨에 따라 단순한 물품구입장소 즉, 유통업적인 차원을 벗어나 의식(儀式) , 국제문화교류 각종 행사등을 가미한 쇼핑을 요구하는 장소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나 생활양상에 맞추어 나가야 함에 있어서 백화점의 경영에 있어서나 판매촉진면에서도 기본적인 역할을 하는 쇼윈도우 디스플레이가 중요한 위치로 대두되었다. 디스플레이도 생활태도나 기호와 구매심리에 입각한 상품의 정보적인 연출효과와 다른 백화점과도 이미지의 개성적 구별화에도 역점을 두게되어 도시의 예술적 환경조성 역할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상품판매연출로서 상품의 판매 촉진을 목적으로 고객의 구매심리를 충동하여 매출로 연결시키는 커뮤니케이션장소인 쇼윈도우 디스플레이의 기본적인 이론을 배경으로 VMD(Visual Merchandising)를 위한 기초적인 지식을 연구하기로 한다.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백화점과 쇼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관한 문헌적 조사로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한 소비자의 관심도 조사와 서울특별시내 백화점의 현황조사를 조사분석 하였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추출(抽出)하여 방안을 제시하였다. 서울특별시내 백화점의 현황과 소비자의 반응 · 소비자는 백화점의 쇼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관심을 가지며 구매의욕을 느낀다. · 백화점마다의 개성이 나타나 있지 않았다. · 쇼 윈도우 디스플레이된 상품이 의류에 치중하며 유명상표와 과대 선전으로 신용도가 떨어져 보인다. · 디스플레이에서 정보성을 요구하며, 테마와 소도구의 설정에서 현실감과 한국적인 이미지를 나타내었으면 한다. · 디스플레이 디자이너는 백화점의 건축 설계시 관련분야 사람들과 많은 협조를 얻어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융통성을 원한다. · 사회의 기여도에서는 도시의 문화, 정보성을 요구한다. 관계자들은 소비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연출과 백화점경영을 위한 디스플레이 연출을 위해 항상 반응조사 → 연구 → 표현 → 반응 조사를 거듭하여야 한다.;Every department stores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have been developed constantly since 1852 that the first department store of Bon Marche´ was established, and those in United States are more actively grown up till now. In our country, from Hwa Shin Department store down in 1934 and after the Liberation transforming the Shin Sea Gya Department store to the direct management in 1969, the fall-scale system of department store was established. The Department store is a large-scale retail trade which the goods by Dept. related to clothes, food and shelter are set up and merchandised in a building. With the rapid change of consumer's mode of life due to the improvement of consumer consciousness and the diversification of desires, the places that can accommodate the ceremony,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nd all sorts of events have come to be demanded, getting away from the place of purchasing goods as a marketing business simply. Therefore, according the change of consumer's desire and mode of life, the display in the show window that plays an basical role in the administration of department store and the encouragement of merchandising has been high-lighted importantly. The display based on the taste and attitude of life and consumer's psychology has come to be laid emphasis on the information effect of goods and the differentiated individual image from other department store. Also, it has an important role in preparation of artistic environment of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y the basic material for VMD (visual merchandise) , grounded on the primary theory of display in the show window as the place of communication which connected consumer's purchasing psychology to selling in order to encourage the merchandising goods. The methods and range of studying are as follow. The theoretical backgroundings are investigated through the records about the display in the show window and department store. And the consumer's concerning extent and the case study of department store located in Seoul through the questionnaire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lso, the abstracted points at these issue are to be presented and to be drawn up a plan. The present condition of department store in Seoul and the consumer's reaction. . The consumer is concerned about display in the show window of department store and it induces a consumer to buy. . There aren't characteristic traits in each department store. . The goods displayed in the show window are attached weight to clothes and they seems to injure their credit on account of an exaggerative advertisement focusing the famous brand. . The display as an information source is to be needed and it's theme and setting up props should show up in the sense for the real and the image of Korean style. . The display designer should have the flexibility to cooperate remarkably with the people who related to the design for department store. . It ought to render services to the society as the information desk of urban culture. The people concerned have to repeat this process of the investigation of reaction--> examining it --> the expression --> the investigation of reaction, in order to present the display that the consumer wish for and administrate the department sto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