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5 Download: 0

William Wordsworth의 자연관 및 인간관

Title
William Wordsworth의 자연관 및 인간관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iew of Nature and Man in Wordworth's Michael
Authors
한명희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Keywords
William Wordsworth자연관인간관Michael영어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illiam Wordsworth, who lived in unfortunate circumstances, wandered about the mountains and the fields. Communing with Nature, he could get much pleasure and consolation from the calm and beautiful Nature. He got his great inspiration from Nature too, the source of his imagination which led him to personal salvation. He believed that everything in nature-trees, plants, birds singing in the woods, flowers, the sky, clouds, even pebbles and worms - was alive. He looked at Nature itself objectively, and at the same time, he saw that Nature had Soul, and that the Soul of Nature stimulated the human Soul, and there was harmony between man and nature. Therefore, he thought man was a part of Nature. He tried to teach man moral instructions derived from Nature. He saw the reality of joy and the happiness of human life in Nature. But he could not accept death, so he regarded it as a state of sleep. Although all the glories of the world should vanish, he would not feel the sorrow. He was strong enough to live in hope of immortality. His immortality was not physical but spiritual. His paradoxical opinion was natural. There is a principle that a man born in Nature must finally return to Nature. Thus man can live eternally in a spiritual point of view. I did pick up Wordsworth as a story-teller and treated his Michael in detail to illustrate my theme. Michael is the most directly Biblical of Wordsworth's poems. It turns upon the symbol of a covenant between father and son, and its hero, though a poor shepherd, has a moral greatness that suggests the stories of the Patriarchs. But in Wordsworth's poem, the covenant is forever broken, and the old shepherd dies without the solace of the prodigal's return. As the results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external conflict between the country and the city exists here, but Wordsworth gives much more time to the psychological conflict of an old man, who must decide between giving up half his land and sending his son away to earn money. It seems to me that any critical study of the poem should first focus on that old man, not as suffering victim, but as a father who knowingly sacrifices his only son, and who ultimately make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something far more sinister than what Geoffrey Hartman labels the "occasional cause for the disaster.";Wordsworth는 어려서부터 불우한 환경에서 산과 들을 방황하면서 자연과의 영교를 통하여 큰 기쁨을 얻었고, 자연의 고요하고 아름다운 모습에서 큰 위안을 얻었으며, 자연으로 부터 민감한 상상력과 천성적인 시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영감을 받아 자연과의 영적교류를 통해 마음 속에서 우러나오는 끊임없는 강한 감정을 시로 표현했다. 그에게는 자연속에 존재하고 있는 모든 물체-나무 한 그루, 풀한포기, 숲속에서 지저귀는 새들, 꽃, 하늘, 구름은 물론 돌멩이 하나, 벌레 한 마리-모두가 살아있는 것이다. 그는 자연을 객관적으로 있는 그대로 보며, 동시에 자연에는 생명 혹은 영혼이 깃들여 있는 것으로 보고 대자연의 영혼과 인간의 영혼에는 조화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래서 그는 인간을 자연의 일부분으로 보고 자연의 모습에서 인간의 실재를 보고자 했고 그것을 그의 여러 시들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했던 것이다. 또한 그는 자연으로 부터 느낀 도덕적교훈을 인간들에게 가르치려고 노력하기도 했다. 그는 자기 자신이 신성한 시의 능력과 기능을 가지고 태어난 천성적인 시인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그가 관찰하지 않은 image는 하나도 없다고 말할만큼 자연에 대한 관찰을 통하여 평범한 인간의 생활을 평범한 인간의 언어로써 표현하는 것을 시작한 목표로 삼았다. Wordsworth는 탁월한 자연시인일 뿐만 아니라 인간시인이었다. 그는 사람들이 눈앞에 두고도 찾아내지 못하는 행복과 환희를 자연에서 찾아내어 그것을 사람들에게 읊어보였다. 이런 비범한 관찰은 자연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불우한 사람들을 대할 때마다 꾸밈없는 소박한 애정을 가지고 노래했던 것이다. 또한 죽음이라는 생각했으며, 그러므로 그는 이 세상의 모든 영광이 사라져 버린다 하더라도 슬퍼하지 않으며 영생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생활했던 것이다. 이러한 그의 영생은 육체적인 영생이 아닌 정신적인 것이며 유년시대를 거쳐 성장하여 어른이 된 후에는 다시 어린이가 되는 정신적 cycle이며, 이런 원리에서 "The child is father of the man"이라는 역설적인 그의 주장이 나오는 것이다. 이는 인간이 자연속에서 나서 살다가 죽어 자연으로 돌아가는 원리이며 인간이 영생하게 되는 원리인 것이다. Wordsworth의 많은 훌륭한 시들 중에서, Michael을 중심으로 상세히 논문의 주제를 설명해 보려고 한다. Michael은 그의 시들 중에서 가장 성서적이다. 비록 가난한 목동이지만, 아버지와 아들사이의 계약이 상징적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가장제도에서 엿보이는 도덕적교훈도 제시해 주고 있다. 계약은 영원히 깨어지고, 늙은 목동은 방탕한 아들이 돌아오는 것을 보지도 못한 채 죽는다. 프랑스혁명과 산업혁명의 결과로서, 도시와 시골사이의 외적인 갈등도 있지만 그는 땅을 포기해야 하는 것과 돈을 벌도록 아들을 도시로 보내야하는 노인의 심리적인 갈등을 묘사하고 있다. 비평적으로 보면, 노인은 고통을 당하는 희생자가 아니라 그의 유일한 아들의 희생을 이미 알고있는 아버지이며, 궁극적으로 배제할 수 없는 그 당시 지나치게 팽배하고 있던 산업사회에 회의를 품고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