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창숙-
dc.creator이창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4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4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9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449-
dc.description.abstract전통은 自然性이 내재된 토착문화로서 현대인들에게 끊임없는 정서적 감흥을 주어 인간성 회복이라는 현대디자인의 이념을 해결해 줄 수 있으며, 환경과의 맥락, 室內 · 外의 有機的 연관성으로 이해되는 실내디자인의 본질을 해결할 수 있는 요소가 된다. 실내공간은 인간이 존재함으로써 의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전통성의 표현은 物理的 요소의 모방에 그쳐서는 않되며, 전통적 공간이 지니고 있는 공간적 성격과 형태가 인간실존의 개념으로 분석되어 현대의 실생활에서의 적합성이 파악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통적 실내공간 中 朝鮮時代 上流住宅 대청의 공간적 성격 및 형태의 분석에 따른 공간적 특징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문헌고찰 및 현황조사로 진행시켰다. 연구의 내용은 Ⅱ장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朝鮮時代 上流住宅 대청이 先史時代의 高床式 건물에서 유래된 마루구조와 고구려時代에 유래된 온돌구조가 통일신라 후에 하나의 住宅으로 정형화 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구조로서, 한반도의 자연환경, 사회문화적 환경, 陰陽五行思想 등 사상적 요인을 배경으로 형성된 환경적 有機體임이 파악되었다. Ⅲ장의 현황조사를 통해 파악된 대청의 기능은 주택 內에서 마당-대청-방으로 이어지는 일상생활을 만족시키는 완충공간으로서 주변상황에 따라 변화되는 복합적 기능을 수용하며, 內部구조는 架構構造가 드러나는 천장, 개폐방식에 따라 공간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窓戶, 修粧材에 의해 분할되는 벽면, 우물마루 구조의 바닥으로 구성된다. Ⅳ장에서 분석된 대청의 공간적 특징은 첫째, 대청과 인접공간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동선관계로서 폐쇄성과 개방성 사이의 점진적인 多重的 공간성격이 파악되었으며 둘째, 視知覺 이론으로 분석된 형태의 특징은 ① 대청과 마당 사이의 반외부적 내부공간인 중간매개물에 의해 형성되는 力動的 方向性 緊張에 의해 대청의 內部와 外部가 視覺的으로 연장되며, ② 대청의 內部 物理的 요소들은 상호관계에 의해 개발적인 다양성과 전체적인 공간의 통일감을 형성한다.;The subject "Tradition", which is a vernacular culture with a sense of nature, emotionally endows the moderns with ceaseless pleasure. Therefore, it can be an element of modern design with such basic ideas as recovery of humanity, context with environment, and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inside' and 'outside'. Since the meaning of interior space is closely related to human existence, the successive use of the tradition in interior design may be maintained not by a copy of some physical elements but by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by the concept of human existence about the main floored hall(Dae-chung). Both literatures and photographs are reviewed for the research. The substance of this study shows following Chapter Ⅱ shows the findings by the review of literature. According to the upper close of the Chosun Dynasty is a hybrid between the floored room, which is originated from High-Floor-Building of the Primitive Age and the Ondol of the Kokuryo Age. After the United Silla Age, it had been affected by the process of its standardization. the natural environments of Korea, the Korean culture and social system, and the Oriental Positive-Negative theory. Chapter Ⅲ provides the findings of the review of photographs. According to the review of photographs, the upper class housing are composed by a systematic combination between interior space and yard(Ma-dang). Also, the importance of the yard(Ma-dang), main floored hall(Dae-chung) and room of the upper class is stressed in terms of essential places for our daily life. The main floored hall is the space which connects yard to room, and it has multi-functions to the various circumstances. Chapter Ⅳ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Dae-chung has multifunctions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Dae-chung and neighbor space may include both a feeling of open space and a feeling of closed space. Secondly, characteristics of phisical elements analyzed by visual perception are as follows : (1) A directed tension formed by a visual medium, which is between Dae-chung and Ma-dang visually makes an extention from the inside of Dae-chung to the outside of Dae-chung. (2) The physical elements of the inside of the Dae-chung provide varieties separately and an unity as a who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2 Ⅱ. 上流住宅 대청의 史的 고찰 = 3 A. 대청의 형성 = 3 B. 대청의 형성배경 = 8 Ⅲ. 上流住宅 대청의 기능 및 구조 = 15 A. 上流住宅의 공간구성 = 15 B. 대청의 기능 = 28 C. 대청의 구조 = 32 Ⅳ. 대청의 공간적 특징 분석 = 46 A. 분석을 위한 이론적 접근 = 46 B. 특징 분석 = 50 Ⅴ. 결론 = 58 참고문헌 = 60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261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조선시대-
dc.subject상류주택-
dc.subject대청-
dc.subject공간적특징-
dc.subject실내디자인-
dc.title朝鮮時代 上流住宅 大廳의 공간적 특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bout the main floored hall(Dae-Chung) of the upper class residences during Chosun Dynasty-
dc.format.page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