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郭玉子.-
dc.creator郭玉子.-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4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1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9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10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①야초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무기양분의 함량 차이에 따른 초지 생산의 차이, ②초지 토양의 비옥도와 식물체내의 무기성분 함량과의 관계, ③각 초종의 무기성분 함량 특징과 사료적 가치를 조사하여 축산 발전에 따르는 자연초지 개발 및 인공초지 조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의 청천리와 동군 증평읍의 연탄리, 탑선리 3개 지소 야초지를 대상으로 하여 1976년 5월부터 7월까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방법에 있어서 현존량을 Goodall(1952)과 Oosting(1956)의 방법에 따랐으며, 토양 단면 조사는 菅野(1953)의 "土壤 調査 法"을 참고로 하였고, 토양 분석은 농촌진흥퓨 농업기술연구소(1974)의 "土壞化學 分析法"을 참고로 하였다. 식물체내의 무기성분 분석은 농촌진흥퓨 식물환경연구소(1971)의 "士壞의 化學分析 方法"을 참고로 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청천리 초지의 총 구성은 29종으로 토끼풀(Trifolium repens Linne)이 우점종이고 현존량은 98.15~245.85 g/㎡, 연탄리 초지의 총 구성은 37종으로 김의털(Festuca ovina Linne)이 우점종이고 현존량은 115.17~222.79 g/㎡, 탑선리 초지의 종 구성은 새(Arundinella hirta Tanaka)가 우점종이고 현존량은 67.80~163.74 g/㎡ 이었다. 2. 일간생산량이 3.10 g/㎡로 가장 높은 청천리 초지는 혈암석에서 유래한 토양이어서 함수량, 전체질소, 양이온 치환능력 및 유효인산 함량이 높았다. 작열소실량이 커서 유기물 함량과, 양이온 치환능력이 높아 Zn,Cu,Mn,Fe함량이 많았으나 치환성 Ca와 Mg, 유효 K, 함량은 비교적 적었다. 토양의 전체질소가 많은 것은 콩과 식물의 질소 고정능력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3. 일간생산량이 2.66 g/㎡로 그 다음인 연탄리 초지는 안잔암질 - 의회암에서 유래된 토양으로 유기물, 함수량, 작열소실량, 전체질소, 양이온 치환능력, Zn,Cu,Mn,Fe 함량이 청천리 다음으로 높았고, 주위의 수목(Robinia Pseudacacia Linne, Quercus acutissima Carruthers)에 의한 수탈 때문에 K,Mg,Ca,P₂O_5등의 함량은 비교적 낮았다. 4. 일간생산량이 2.28 g/㎡로 가장 낮은 탑선리 초지는 화강암에서 유래된 砂質 토양이어서 용탈이 매우 커서 비옥도와 함수량이 낮았으므로 생산력도 가장 낮았다. 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초지 토양의 비옥도는 지형상 특징(경사도), 주위의 식생, 토양의 모암 등에 따라 큰 영향을 받으며, 그러한 요인에 따라 토양의 유효인산, 전체질소, 수분함량, 작열소실량, 양이온 치환능이 좌우되어 생산량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6. 초지 토양의 비옥도가 높은 곳의 초종이 무기성분 함량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7. 각 식물체의 무기성분 함량의 특징은 화본과 식물은 규산질, 콩과 식물은 질소의 함량이 다른 성분보다 높았다. 8. 무기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본 조사 지소의 화본과와 콩과 식물이 재배 목초보다 무기성분 함량이 높아서 자연 야초이면서도 사료적 가치가 충분히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This report is an attempt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and vegetation in native grasslands. The research was made out from May 1976 to July 1976. The results from it are as follows : 1. The grasslands in Cheongcheon-Ri, Yeontan-Ri, and Tabseon-Ri were composed of 29, 37, and 19 species respectively. 2. The grassland vegetation was dominated by Trifolium repens Linne in Cheongcheon-Ri, Festuca ovina Linne in Yeontan-Ri, and Arundinella hirta Tanaka in Tabseon-Ri. 3. The standing crop was 98.15 g/㎡ to 245.85 g/㎡ in Cheongcheon-Ri, 115.17 g/㎡ to 222.79 g/㎡ in Yeontan-Ri, and 67.80 g/㎡ to 163.74 g/㎡ in Tabseon-Ri, 4. The daily productivity in Cheongcheon-Ri showed 3.10 g/㎡, which was the highest of the three sites. The contents of total nitrogen, water, available phosphorus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in this area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sites because the soil of this area had been derived from Shale. The high content of organic matter of the soil was caused by much ignition loss; the high contents of Zn, Cu, Mn, and Fe were caused by much cation exchange capacity. But the contents of exchangeable Ca, Mg and available K were relatively low. It was considered that the nitrogen content of the soil was at a high level by virtue of the nitrogen fix capacity of Fabaceae. 5. The daily productivity in Yeontan-Ri was 2.66 g/㎡. The soil had been derived from Andesite-tuff. The contents of total nitrogen, ignition loss, water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were lower than those in Cheongcheon-Ri. The contents of Zn, Cu, Mn, and Fe were also lower than those in Cheongcheon-Ri. Due to the absorption of the trees nearby such as Robinia pseudacacia Linne and Quercus acutissima Carruthers, the contents of available K, P₂O_(5) and exchangeable Mg, Ca were at a low level relatively. 6. The daily productivity in Tabseon-Ri showed 2.28 g/㎡, which was the lowest of the three sites. The soil fertility and the water content in this area were much lower than those in the other sites because the sandy soil which had been derived from Granite had a lot of leaching. 7.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 the experiment revealed that soil fertility was closely related to topographical features(especially slope), the surrounding vegetation and mother rock. It was proved that, by dint of these factors, available phosphorus, total nitrogen, water content, ignition loss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of the soil influenced the productivity greatly. 8. Plants in fertile soil were apt to have more inorganic components than those in sterile soil. 9.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of inorganic components were as follow. The contents of Si0₂ in Poaceae and nitrogen in Fabaceae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other components. 10. Poaceae and Fabaceae in these sites, though they were native grasses, were considered that they had sufficient nutrient value for fodder because they had more inorganic components than cultured pasture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contents of inorganic compon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조사지의 개황 = 3 Ⅲ. 조사방법 = 5 Ⅳ. 결과 및 고찰 = 8 A. 현존량 = 8 B. 생산성 = 12 C. 토양 단면과 토양 특성 = 15 D. 토양 특성과 생산성과의 관계 = 20 E. 식물체의 무기성분 함량과 토양 특성과의 관계 = 21 1. 식물체 성분 함량에 미치는 토양의 비옥도 = 21 2. 각 식물체의 무기성분 함량의 특징과 사료적 가치 = 22 Ⅴ. 결론 = 30 참고문헌 = 32 ABSTRACT = 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262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충청북도-
dc.subject괴산군-
dc.subject야초지-
dc.subject토양-
dc.subject식생-
dc.title충청북도 괴산군 야초지의 토양과 식생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IES ON SOIL-VEGETATION RELATIONSHIP IN THE NATIVE GRASSLANDS OF GOESAN-GUN, CHUNGCHEONG BUK DO, KOREA-
dc.format.page38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생물교육분야-
dc.date.awarded197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