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6 Download: 0

中學校 社會科 附圖의 地理分野에 대한 分析

Title
中學校 社會科 附圖의 地理分野에 대한 分析
Other Titles
(A) STUDY OF GEOGRAPHY PART IN THE MIDDLE SCHOOL ATLAS
Authors
양영숙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지리교육분야
Keywords
중학교사회과 부도지리분야지리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 The aim of study and scope The study attempts to analyze geography part of atlas which has been used in junior high school since 1979. It attempt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book and atlas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s. 2. Method of study The composition of atlas, quantity of every units, kind of maps, contents of geography and graphs have been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book and atlas find out through the content and place name. Also, an attempt has been made to find out the practical use of atlas by junior high school students. 3.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 1) In the composition of the atlas, the ratio of geography parts to history parts is comparatively high. 2) In the practical use of atlas at classroom, the male students were more active than the female students. But, as a whole, they were not active in common. 3) In the use of daily life, the atlas was doing its function comparatively well. 4) In the analysis of quantity of Korean and foreign unit, the Korean unit has been ignored mostly. 5) In kind of maps, the thematic maps are occupying most parts and in analysis of maps content, the industry and economy have high occupation especially in our country's nature and life. 6) The graphs are only found at unit of our country.;社會科 附圖는 地理敎科內容의 基本槪念을 視覺的으로 地圖化 한 유일한 基本圖書이다. 특히 현재 단일본으로 사용되고 있는 附圖는 學習活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러므로 1977年 敎育課程에 의해 1979年부터 현행 사용되고 있는 中學校 社會科 附圖를 가지고 附圖의 構成, 內容을 中心으로 社會科 目標와 地理 目標를 밝히고 地圖의 基本槪念과 附圖의 活用, 附圖의 地理分野에 대한 내용, 附圖의 聯關性 等을 分析 檢討하여 附圖에 內包된 問題點을 알아보려는 것이 本硏究의 目的이며, 基本圖書로서의 效果的 活用을 위한 問題點 解決의 일부를 補完하고자 시도해 본 것이다. 分析한 結果를 보면 첫째로, 社會科 地理 目標에 附合되고 있는바로, 附圖의 構成中 歷史보다 地理分野에 더 활당되어 있으며, 또 지리분야에, 할당된 面數에 비해 地圖數도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지명찾기에서는 세계편에 더 중점을 두고 있었는데, 이는 광범위한 세계의 자연과 생활을 이해시키기 위함이었으리라 생각된다. 둘째로 地圖의 基本槪念과 活用에서 敎室에서의 活用度를 알아보기 위하여 設問紙調査를 通해서 分析된 結果에 의하면 男, 女學生들間에 全體的으로 보아 附圖의 活用이 積極的이지 못한것으로 나타났고, 日常生活과의 關係에서는 新聞地名을 比較해 본 결과 대체로 일반용 지도책의 機能을 어느정도 담당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地理分野 內容分析中 單元別 分量에서 향토單元이 가장 적게 할당되어 地理的 槪念의 入門이라 할 수 있는 단원내용에 비해 다소 등한시 한것 같다. 地圖의 種類에는 主題圖가 가장 많으며 특히 凡例圖의 比重이 크다. 記號圖가 극히 적게 나타났다. 部分圖, 總圖에서는 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지도 中에는 縮尺이 누락된 部分도 있었다. 地圖內容을 單元別로 보면 우리나라의 자연과 생활에 대한 단원의 지도수가 많은데, 특히 산업경제면에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또 圖表를 살펴보면, 우리나라편에서만 23개로 나타났고 세계편에는 전혀 없었다. 단, 統計資料를 이용한 圖式中에는 자료의 출처, 統計年度가 누락된 것이 있었다. 넷째로, 附圖의 聯關性에서 부도나 교과서의 내용순서는 대체로 일치되고 있다. 또 교과서와 부도의 지명에 대한 有無를 검토 해 본 결과 누락된 지명이 地誌편에서의 比重이 더 높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