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0 Download: 0

「고등학교 역사부도」의 비교 분석

Title
「고등학교 역사부도」의 비교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APPENDED BOOK TO HISTORY IN SENIOR HIGH SCHOOL
Authors
朴志硏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역사교육분야
Keywords
역사부도고등학교국사분야역사지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appended book to history is a material available most easily other than the textbook. Use of learning material can make a help to an accomplishment of historical thinking and attitude escaped from fragmentary education. The content of learning material, therefore, as the required primary term, should be made appropriate to the history-educational purpose. This study, chiefly concerned about the historical maps of the appended book to senior high school history classified into 7 species by the current 5th curriculum, dealt with both external and content analyses. For th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and to the educational role of learn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into and then a concrete analysis of the appended book to history was made, first, characteristics of constitution and composition were compared to each other through a synthetic analysis of the appended book to history. Also, by means of an external analysis of the appended book to history, its adaptability as learning material was judged, and, for content analysis, several themes - goals pursued by history eduation, namely, fact understanding, raising up historical thinking ability, variation in value and attitude, world-historic understanding etc. - were selected to point out problems that might be there. Upon this procedur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structure as learning material of the history maps in the appended book to history was studied, and it was confirmed whother the appended book to history which was separated from the appended book to sociology first in the 5th curriculum has played its role satisfacterily, so as to suggest an correct production orientation of it. As the result,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gravity given to old history, dynamic composition of the maps for raising up thinking ability, collection of maps for world-history related larning etc. were seen, but required are the deeper discretion when selecting just kinds of appended book in educational spots, for there are problems such as miswriting of historical chronology or the confusion emerged due to so much collection of informations within one map. If this point is corrected and the appended book to history is made proper to the history - educational purpose, it will become an educationl material easy to access in every class of schools and avilable substantially. May this study, though has shortcomings enlarge the sphere of texbook researches and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the appended books to senior high school history of the 6th curriculum.;「역사부도」는 교과서 이외에 가장 손쉽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이다. 학습자료의 이용은 단편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역사적 사고와 태도의 함양 등의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학습자료의 내용은 역사교육 목적에 적합하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 우선 조건이다. 본 논문은 현행 제5차 교육과정에 의해 구분된 7종 「고등학교 역사부도」의 역사지도를 중심으로 외적 분석과 내용 분석을 겸하였다. 이를 위해 역사교육의 목적과 학습자료의 교육적 역할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역사부도의 구체적인 분석을 하였다. 우선은 역사부도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체제와 구성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또한 역사지도의 외적 분석을 통해 학습자료로서의 적합성을 파악하고, 내용분석에서는 몇 가지 주제를 선정하여 사실 이해, 역사적 사고력의 육성, 가치 태도의 변화, 세계사적 이해 등의 역사교육에서 추구하는 목적에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역사부도의 역사지도가 가지는 학습자료로서의 특징과 내용 구성을 고찰하고 제5차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사회과부도로부터 분리된 역사부도가 그 역할을 다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올바른 제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 고대사의 높은 비중도, 사고력 육성을 위한 지도의 동적인 구성, 세계사적 관련 학습을 위한 지도의 수록 등의 특징이 보이나 연대의 오기, 한 지도안에 많은 정보의 수록으로 인한 혼란 등의 문제점으로 교육 현장에서 부도 선택의 신중함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이 시정되어 역사부도가 역사교육의 목적에 부합하게 된다면 역사부도는 각급 학교에서 손쉽고,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교육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가 미흡하나마 교재연구의 영역을 넓히고, 제6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역사부도」의 제작에 도움을 주리라고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