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미자-
dc.creator홍미자-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1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8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8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870-
dc.description.abstract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difficulties in communicative interaction. Script-based intervention and peer-mediated intervention have been suggested as effective methods to enhanc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ript-based peer intervention by peers with disabilities on the acquisition of communicative functions of target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ree pai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across subjects multiple-baseline design, the percentages of communicative functions of the target children were measured. During training sessions, peers with disabilities were trained to use four peer intervention strategies. Prompts and reinforcements were provided to peers with disabilities and not to target children. Treatment was comprised of two scripted routines. 2 generalized session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ization effect to new routines. To examine maintenance of achievement, 3 follow-up data collections were implemented after 4 weeks in termination of interven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Script-based peer intervention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reased the percentages of communicative functions of target children with disabilities. 2. Targe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quired requesting objects and acceptances faster than approval and offering information. 3. The percentages of communicative functions of target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this intervention was generalized to other situation. 4. The percentages of communicative functions of target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this intervention was maintained to four week follows up. Thes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peer intervention strategies training to peers with disabilities prompted us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that script-based peer intervention by peers with disabilities effected on the acquisition of communicative functions of target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script-based peer intervention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effective for the acquisition of communicative functions.;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은 주요 발달 영역으로 다른 영역, 특히 사회성 발달과 연결되어 있다. 즉,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은 사회적 수용 및 또래와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장애아동들은 의사소통 결함으로 인해 또래와의 적절한 상호작용적 의사소통을 시작하고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 이러한 장애아동들을 위한 언어 중재로 또래 주도 중재와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중재의 효과가 연구되어 왔다. 특히 선행 연구 결과 비장애아동뿐 아니라 경도장애아동도 훈련을 통해 효과적인 또래중재자로서 기능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또래장애아동과 대상장애아동 모두에게서 중재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장애아동간의 또래중재가 대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습득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만 6-7세의 경도장애아동을 또래아동으로, 또래아동보다 의사소통과 언어 능력이 지체된 만 4-5세의 장애아동을 대상아동으로 하여 3쌍의 짝을 구성하였다. 실험은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이후 또래장애아동에 대한 또래중재 전략 훈련과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또래중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재 결과에 대한 일반화와 중재 종결 4주 후 유지 검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장애아동간의 또래중재는 대상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수행율을 증가시켰다. 2.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장애아동간의 또래중재를 통해 대상 장애아동은 의사소통 기능에 따라 수행 정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즉, 사물 요구하기와 수용의 수행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3.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장애아동간의 또래중재를 통해 증가된 대상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수행율은 다른 활동에서도 일반화되었다. 4.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장애아동간의 또래중재를 통해 증가된 대상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수행율은 중재가 종결된 4주 후에도 대상 장애아동 1과 3은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대상 장애아동은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장애아동간의 또래중재를 통해 의사소통 기능을 습득할 수 있었다. 즉,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또래장애아동의 중재 전략 사용은 대상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습득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애아동들도 통합 환경에서 긍정적인 또래 관계를 형성하고 의미 있는 또래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또래중재의 절차와 내용이 더 체계적으로 구조화되어야 하며, 보다 다양한 중재 전략과 의사소통 기능들에 미치는 효과와 또래아동과 대상아동 모두에 대한 다양한 대상과 활동에서의 일반화 효과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8 A.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및 특성 = 8 B. 장애아동의 상호작용적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중재 = 13 1. 또래 주도(peer-mediated) 중재 = 13 1) 또래 주도 중재의 특징 = 13 2) 또래 주도 중재 전략 = 18 2. 스크립트(script) 활동을 이용한 언어 중재 = 19 Ⅲ. 연구 방법 = 23 A. 연구 대상 = 23 B. 실험 기간 = 28 C. 실험 환경 = 28 D. 실험 설계 및 절차 = 30 E. 자료 관찰 및 수집 = 34 F. 관찰자간 신뢰도 = 35 Ⅳ. 연구 결과 = 38 A. 대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습득 = 38 B. 대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능별 수행율 및 상대적 수행 비율 = 42 Ⅴ. 논의 및 제언 = 47 A. 논의 = 47 B. 제한점 = 64 C. 제 언 = 65 참고문헌 = 67 부록 = 77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165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스크립트활동-
dc.subject장애아동-
dc.subject또래중재-
dc.subject의사소통-
dc.title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장애아동간의 또래중재가 의사소통 기능 습득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cript-based peer intervention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acquisition of communicative functions-
dc.format.pageviii, 91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