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호진-
dc.creator정호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4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5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8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540-
dc.description.abstract人類가 불을 發見하고 흙을 素材로 그릇을 구어온 이래 現在에 이르기까지 도자기는 文明의 變化와 더불어 變遷해왔다. 도자기중 식기의 變化는 그 時代의 食生活文化의 變遷過程을 說明해주고 있으며 初創期 生存을 위한 1차적 욕구에서 소득수준의 향상과 기호품의 등장으로 눈으로 즐기며 입으로 飮味하는 새로운 食生活 패턴이 형성되었다. 특히 현대의 식생활에서 後食의 중요성이 커졌으며 이와 더불어 後食器에 대한 관심도 점차 높아졌다. 또한 음식을 담는 溶器로써의 식기에 만족하지 못하고 變化하는 식생활 패턴과 인간의 심미적 욕구까지도 충족시키는 새로운 도자식기 개발을 요구하게 된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후식용 도자식기 개발을 위해 우리나라의 시대별 식생활문화의 特性을 고찰하여 앞으로 開發해 나가야할 식기연구의 자료로 삼았고 우리나라와 서양의 후식의 特性을 살펴 그 기능에 적합한 식기개발을 하였다. 또한 서양식기의 모방성에서 벗어난 새로운 디자인 개발을 위해 인류와 친근한 소재인 물의 다양한 성질을 주제로 그 표면효과에 따른 特性을 디자인으로 變形하여 표현되는 과정에 앞서 물의 형태를 작가의 조형의지에 따라 표현하여 재구성된 작품과 산업도자기의 디자인으로 활용된 예를 고찰하여 작품제작에 참고로 삼았다. 또한 물의 形態를 表面장력에 의한 물방울의 形態와 正常流, 層流, 亂流, 소용돌이인 물의 흐름상태로 나누어 造形化하였다. 作品製作過程에서는 變化하는 食生活 文化가 要求하는 食器改發을 위해 機能상의 效率性과 審美的 機態을 만족시키는 디자인 개발을 摸索하였다. 作品의 製作方法은 석고원형틀을 利用한 이장주입성형을 하였고 유약은 食器인 점에 有意하여 全體的으로 밝은 파스텔톤으로 시유하였으며 전기가마에서 燒成하였다. 結果的으로 本 硏究에서는 陶瓷食器의 機能的인 合目的性에 附合되면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美的인 機能을 調和하여 그 時代가 要求하는 食器改發은 앞으로 繼續해서 硏究되어야 할 課題임을 깨닫게 되었다.;The ceramics has been changed with the changes of the culture since the human beings found the fire and made the container with soil. The change of tableware among the ceramics explains the changing process of the dietary life in each periods and the new dietary patterns which entertains the foods with eyes and tastes those things with mouths was made according to the improvements of income standard and the coming of the favorites from the basic desire of simply solving hunger for existence at the begining.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dessert in modern dietary life was impressed and the interest concerned about the dessert ware was getting higher with it. Also we need the new ceramics to satisfy the chainging dietary patterns and the human being's asthetic desire even though we did not satisfy the ceramics as the container to fill foods in. From this point of view, I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dietary culture in each periods in Korea to develope the ceramics for dessert and used those characteristics as the information for the study of the container to be developed and developed the sutable containers to fit to the functions as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desset in Korea and western nations. In order to develop new design to exuclude the imitative nature of western ceramics, I used the variable properties of water which is familiar with the hamam beings as the subject. Before I designed the properties on the surface effects, I studied and referred to the works which changed and reorganized the shape of water by the artist's image intention and the samples used in design of industrial ceramics. During works producing process, I developed the design to satisfy the efficiency on function and asthetic capability to develop the ceramics which the changing dietary culture needs. I selected "Slip Casting" method using plaster for processing the works, and sprayed enamel carefully with bright pastel tone because the works are the ceramic tablewares. In order to express the atmosphere of water scattered in the water stream, I mixed the oatmeal with works. Also I chose the matt oil as basic one for expressing artistic nature of the works even if those are tablewares, and formed the works in the electric furnace to colorize the dies equally. As a result in this study, I realized the development of the ceramic tableware which the period needs should be kept going by combining asthetic function to pursuit the beauty with functional goal of the ceramic tablewa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ii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및 방법 = 2 Ⅱ. 이론적배경 = 3 A. 물 = 3 a. 물의 개념 = 3 b. 물의 표면특성 = 5 B. 도자식기의 고찰 = 7 a. 우리나라 식기의 고찰 = 8 b. 서양식기의 고찰 = 12 Ⅲ. 물형태의 조형 고찰 = 16 A. 현대도자에 나타난 물형태의 조형표현 = 16 B. 산업도자기에 나타난 물형태의 조형표현 = 18 Ⅳ. 작품 제작 과정 = 29 A. 디자인 계획 = 29 B. 작품제작 과정 = 36 C. 작품 해석 = 65 결론 = 85 참고문헌 = 87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439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도자후식기-
dc.subject-
dc.subject조형성-
dc.subject도자식기-
dc.title도자후식기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물의 조형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DEVELOPMENT ON THE CERAMIC TABLEWARE FOR DESSERT : Focusing on Forming Process of Water-
dc.format.pagexiii, 91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