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승희.-
dc.creator오승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1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5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8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535-
dc.description.abstract인간들이 생활함에 있어, 의상은 우리를 타인들에게 인지시켜주는 단서가 되어, 그것은 사회안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타인에게 전달하는 무언의 메세지이고, 평가기준이 됨과 동시에 이 때 나타나는 의상의 시각적 효과는 사회적인면 뿐 아니라, 그로 인한 인간의 심리상에의 효과도 수반하게 된다. 의상의 미적가치와 예술성에 관한 연구는 미적가치의 발생, 동기, 결과를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미학적으로 그가치를 확인하는 것 뿐 아니라 변화하는 현대인의 의식구조과 정신세계, 생활감각을 표현하는 가장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패션이 추구하는 과정을 통하여 찾을수 있는 인간의 새로운 가치와 정신세계에 보다 확실히 접근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의상의 미의 탐구와 디자인 방향의 모색에 앞서, 의상의 시각적 효과를 좀더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탐색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본 연구는 의상의 시각적 요소를 형태, 그 중에서도 문양에 나타난 형태들이 의상에 부가됨으로서, 그것을 보는 인간들에게 정서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의상이 인간들에게 미치는 영향의 일부분을 알고, 올바르고 바람직한 디자인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이루어졌다. 즉, 본 연구는 디자인 요소의 시각적 효과를 찾아내고, 그 효과를 인간의 사회생활에 결부시킴으로써 알맞는 의상 디자인의 제안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우리가 자주 의상의 표면에서 찾을수 있는 표준화된 다양한 추상적 문양 카드를 마련하고, 인간이 의상에서 느낄수 있는 13가지의 정서를 11단계의 척도로 구별하여 질문지를 만들고, 이런 SD법에 따른 이미지 척도를 이용하여 각 문양에의 느낌을 알아보았다. 이의 실시는 127명의 피험자들을 성별, 집단별, 전공별로 표집하고, 카드와 질문지를 동시에 제시하여 그 느낌을 11단계로 평가하도록 하는 방법을 썼다. 이의 결과분석은 Package SPSS통계처리에 따른 자료를 보고, 각 카드별 결과 분석. 각 문항별 각 카드의 위치 확인, 각 그룹별 차이의 유의도로 나눠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의 실험이 실제 의상의 해석에 있어,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키위해, 사람이 각 옷을 착장한 상태의 그림검사를 동형검사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보면, 각 Card의 문양들을 확실히 서로 다르게 정서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각각의 정서들이 몇몇의 짝을 이루고 느껴진다는 점을 알수있었으며. 각각의 Card별 다양한 정서에의 영향은 결과및 분석에 구체적으로 수록되어있다. 1. 각각의 문양을 서로 다른 정서에의 영향을 미친다. 2. 각 모티브의 형태에 따라, 각 모티브의 크기에 따라 다른 정서를 느낀다. 3. 모티브의 배열상태에 따라 다른 정서를 느낀다. 4. 공간 즉, 배경의 크기 또는, 배경의 흑백여부에 따라 다른 정서를 느낀다. 5. 문양을 지각함에 있어, 선험적인 고정관념이 관여하는 듯하다.;In our everyday life, costumes are one of the clues to have us recognized to others, a unspoken message to tell our social position. In addition, as they are sometimes the standards of estimation of persons who wear them, the visual effects of costumes are likely to extend to not only social atmosphere but also individual emotions. Therefore, it needs to look into the visual effects of costumes more correctly and concretely before we can find a proper direction of the costume design and its beauty.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some aspects of the effect of costumes on men and suggest desirable designs for their costumes by reviewing the visual effects of costumes on the basis of their shapes, especially their patterns appearing on them and grasping their effects on men, In other words, the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visual effects of design elements and then applying their effects to our daily life to provide proper and basic designs for costumes. To do so, varied standard pattern cards which can be easily found on most costumes are prepared and a questionnaire in which thirteen kinds of emotions we may have when seeing costumes are classified into eleven scales is set up. With this image measurement in accordance with SD method, every feeling for each pattern is looked into. And 78 subjects are collected by sex, class, and specialization. They are given cards and the questionnaire at a time and requested to answer their feelings through eleven stages. The findings of this experiment are analyzed for every answer for the pattern cards, the position confirmation of every card by items, and the significance difference among each group according to the data from the statistical process of the Package SPSS. The findings of the study clearly suggest that every pattern of those card takes effect on every one's emotion differently. And also each emotion is likely to be revealed with other ones simultaneously. Every various effect of cards on emotion answered is noted in detail in its own result and analysis. 1. Every pattern takes effect on emotion differently 2. Emotion is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its own motif. 3. The different arrangement and size of motif also give rise to different emotion. 4. Emotions can be different form one another owing to such space elements as the space of background and white or black background 5. Transcendentally fixed ideas seem to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recognition of patter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國文秒錄 = ⅰ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3 C. 연구의 한계성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디자인 측면에서의 의상 = 5 1. 의상의 시각적 효과와 그 요인 = 5 2. 시 지각의 기제와 형태지각 = 6 3. 의상 디자인 = 9 B. 사회심리학적인 측면에서의 의상 = 11 1. 인상형성 = 13 2. 성격과의 관계 = 15 3. 정서 = 16 C. 문양의 특징 = 17 1. 개념 = 17 2. 문양의 분류 = 19 3. 의상에 나타난 문양과 추상적 문양 = 20 4. 심리적 효과 = 28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0 A. 측정 도구 = 30 1. 표준화된 도안카드 : 검사 Ⅰ = 30 2. 질문지 작성 = 32 3. 표준화된 그림검사(동형 검사) : 검사 Ⅱ = 32 B. 실험대상 및 실험방법 = 33 C. 자료 분석 방법 = 34 Ⅳ. 결과 및 분석 = 43 A. 각 문양별 결과 및 분석 = 43 B. 각 문항별 결과 및 분석 = 67 C. 성별, 집단별, 전공별 반응의 차이의 유의도 : (부록Ⅱ참고, 그림 16~30참고) = 79 Ⅴ. 결론 및 제언 = 83 참고문헌 = 87 부록 = 91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537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의상-
dc.subject문양-
dc.subject인간정서-
dc.subject추상적 문양-
dc.title의상에 나타난 문양이 인간정서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추상적 문양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 of Costume Patterns On Emotion-
dc.format.pageii,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