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애진-
dc.creator임애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6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9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8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920-
dc.description.abstract기존의 예술 표현양식과 표현관념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현대 대중문화를 특징짓는 팝 아트(Pop Art)는 의상에서도 광범위하고 영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최근까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의상의 팝 아트적 특징은 현대 의상에서 연구의 의미와 가치가 높다. 본 논문은 기존의 양식을 부정하지만 새로운 차원을 해석하며, 대중 소비사회의 요소들을 주제로 하여 현대 예술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팝 아트의 특징을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을 응용하여 조형미를 강조함과 동시에 대중에게 어필할 수 있는 의상으로 확대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와 참고작품을 표집하여 팝 아트의 발생, 팝 아트의 주제와 기법 및 형식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을 팝 아트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팝 아트의 영향을 받은 타 분야와 기타 장신구, 실용품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팝 아트가 현대 의상에 끼친 영향을 영 패션(young fashion), 에로티즘과 시각적 효과로 구분지어 각 특징을 문헌과 작품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이상에서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작품 제작을 하였다. 작품은 총8점으로 본 논문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 대중에게 접근되었던 이미지를 기하학적으로 도안화하고, 화려한 색채와 의상의 형태로 팝 아트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둘째, 현대사회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이미지를 모티브로 활용하여 의상에 흔히 도입되지 않던 일상의 이미지 도입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문자, 낙서기법을 응용하여 팝 아트의 기법을 다양한 각도로 의상에 구체화 시켰다. 세째, 대중 소비사회의 흔하고 값 싼 오브제를 의상에 도입시켜 오브제의 다양한 제시를 통해 선입견을 버리고 모든 사물이 동격으로 조형화될 수 있음을 부여하였다. 네째, 기본의 의상 형태를 변화시켜 의상의 고유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새로운 구조적 경험과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팝 아트의 특징이 여러가지 표현양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의미로 의상에 표현되어 예술과 의상의 조화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대중에게 가깝게 접근하면서 훌륭한 감각(good taste)을 지닌 의상은 현대 의상 디자이너들의 중요한 임무이다. 따라서 조형미를 갖춤과 동시에 실용성을 추구한 의상은 현대 의상의 질적 향상에 큰 비중을 차지하며, 더욱 많은 발전이 기대된다.;Dress fashion has been widely and continuously affected by Pop Art, which escaping boldly from the existing expressional modes and concepts of art, characterize the modern public culture. The pop artistic character of dress which appear in various modes up to the recent has a significant value or meaning of study in the contemporary dress. This study makes denial of the past, but stands on a positive interpretation of it; and is of a pop-artistic character that has a gravity as contemporary art on a theme of the elements of popular consumers' society. Thus, it may be said that it started from a wish to emphasize the figurative beauty of something applied this character, and, at the same time, to extend it toward a state in which it may appeal to the public. As for the method of study, themes of the popular art, and the characteristies of it, which may be seen in the themes, techniques and forms, were inquired into through the works of popular artists, together with a process of literary research. Also, such modern architecture, fabric, advertisements and other accessories or practical apparatus that were influenced by the popular art were observed. Then, the effects of the popular art on the contemporary dress were studied based on a process of actual working in pieces classified by 'young fashion,' 'eroticism, visual effects.' And, total 8pieces of work was made up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results from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shapes already accessed to the public could be expressed, showing a pop-artistic character, in simple dresses of brilliant color by designing them geometrically. Second, as introduction of the images that do not often made use of was made possible on a motive of the images that may be easily seen in the popular society; and, such pop-artistic characteristics as scripture and acribbing techniques were employed to be concretly embodied on clothes from diverse aspects. Third, objects common and cheap in the popular consumer's society were introduced into dress, representing through a diverse presentation of them that every object can be formed in same. Fourth newer structual experience and meanings were paid to the works within the range and scop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intrinsic nature of dress but changes the basic dress forms. Like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r art could be shaped in various forms and meanings according to the different expressional modes of teh applied dresses, and more potential possibilities were suggested through the actual work-making process. As important duty of a dress designer, incidentally, is to provide the public eith the dresses more accessible and having good tastes. Therefore, should be pointed that figurative beauty emphasizing but practical oriented dresses take great gravity in the contemporary dress, and that there will be more prosper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2 Ⅱ. 팝 아트에 대한 이론적 고찰 = 3 A. 팝 아트의 발생 및 특징 = 3 B. 팝 아트의 응용 = 15 Ⅲ. 팝 아트가 현대 의상에 미친 영향 = 27 A. 영 패션 (Young Fashion) = 28 B. 에로티시즘과 시각적 효과 = 30 Ⅳ. 작품제작 및 분석 = 44 A. 작품제작 의도 = 44 B. 작품설명 = 46 Ⅴ. 결론 = 79 참고문헌 = 81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103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팝아트-
dc.subject의상디자인-
dc.subjectPop Art-
dc.title팝 아트(Pop Art)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FASHION DESIGN APPLIED POP ART-
dc.format.pageix, 86 p. : 도판(일부채색).-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