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민희-
dc.creator윤민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1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4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7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462-
dc.description.abstract20C에 이르러 현대미술은 전통적인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표현의 독창성과 다양한 표현형태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미술의 조류는 염색에 있어서도 다양한 소재의 개발과 표현방법으로 작가의 개성적인 표현이 중요시 되게 되었다. 본 연구자는 한국의 전통적인 문양인 瓦當에서의 이미지를 소재로 하여 재구성함으로써 조형세계의 표현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론적 배경으로는 예술과 人間, 표현과 대상에 대해 고찰해 보고 작품제작을 위한 방법으로 표현소재와 기법을 연구한 것을 토대로 6점 작품을 제작,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조형활동에 있어서 표현은 대상의 모방이나 재현이 아닌 작가의 주관에 의한 창조적 행위의 산물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와당에 시문된 문양의 공간적 재구성이 한국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데 적절한 소재였다고 생각되었다. 세째, 전사염료(Transfer Art Dyes)를 이용한 기법은 소박한 한국적 분위기를 표현하는데 알맞는 기법이었다고 생각되었다. 이와 같이 염색의 표현은 다양한 재료와 기법의 개발로 그의 가능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보아 본 연구자는 계속적인 연구와 작품활동으로 새로운 조형세계를 추구하고자 한다.;The contemporary fine arts in the 20th C. pursues: the expressional originality and various artistic forms casting off some fixed ideas of tradition. In this current of contemporary fine arts, the development of dyeing method and its subject matter has been considered as important for expressing the personality of an artist.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ages of the figures in Wadang, the traditional Korean antefix to search the possibility of original formative expression by reconstructing the images as a subject matter of dyeing. To accomplish such purpose, I have insp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man, expression and object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manufactured and analyzed six selected works based on the study of expressional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revealed that expression itself is not the imitation and representation of an object, but the production of the creative activity based on the artistls subjectivity. Secondly, the figures in Wadand have been turned out to be proper subject matters for expressing Korean images through the spacial reconstruction. Thirdly, the technique using transfer art dyes is an appropriate method for expressing the naive atmosphere peculiar to Korean people. Therefore, finding out the expression with dye could be expand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I am going to pursue a new field of formation through continuous studying and work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예술과 인간 = 3 B. 표현과 대상 = 5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8 A. 작품제작 = 8 1. 소재 및 형성 = 8 2. 재료 및 기법 = 10 B. 작품분석 = 16 Ⅳ. 결론 = 28 참고문헌 = 29 ABSTRACT = 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898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와당-
dc.subject문양-
dc.subject전사염료-
dc.subject염색-
dc.title와당 문양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작품제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TRADITIONAL FIGURES : Wadang-
dc.format.page3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염색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