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3 Download: 0

山 이미지의 기하학적 형태를 통한 도벽제작

Title
山 이미지의 기하학적 형태를 통한 도벽제작
Other Titles
(A) STUDY ON MANUFACTURING FOR PLASTERING WALL THROUGH GEOMETRIC FORM OF MOUNTAIN IMAGE
Authors
이성란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Keywords
기하학적 형태이미지도벽제작도자예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은 자연의 무한한 변화와 자연의 질서에서, 자연의 풍토와 그 속에서 영위되는 인간의 생활 속에서, 또 어떤 풍경속에 숨겨져 있는 조형적 美의 요소나 사계의 변화 그리고 구름과 노을과 같은 자연현상 가운데에서 자연을 대상으로 예술적 창작활동을 추구한다. 자연은 언제나 끊임없이 변화되고 반복되어 재현되므로 인간의 끊임없는 조형의지는 자연의 질서와 법칙속에서 무한한 조형요소를 유출하여 자연에서 받은 이미지와 미적 체험을 다양한 표현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산 이미지의 기하학적 형태를 통한 도벽제작" 이라는 주제를 설정하여 자연의 형상중에서 山의 형태를 기하학적인 형태에 도입하여 직선형·곡선형의 형태로 형상화하여 조형적인 분석을 도모하였다. 연구 방법은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표현된 山을 조형화하기 위해 먼저 山의 특성을 분석하고 기하학적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작품제작에 있어서 山이 가지는 이미지를 형상화하기 위해 직선형과 곡선형으로 나누었다. 직선형은 돌출한 암봉이나 깎아지른 절벽의 山을 표현하였으며, 곡선형은 山의 능선, 산맥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山의 형태를 기본으로 單純, 變形된 기하학적인 형태로 재구성하고자 노력하였다. 제작 방법은 자기질 점토를 사용하여 작품의 크기와 형태등 표현 방법에 따라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성형을 하였다. 본 연구는 작품제작과정에서 여러 시행착오를 통해 문제점을 직접 체득할 수 있고, 쉽게 접할 수 있는 山의 형태를 상기함으로서 도자예술에 있어서 다양한 조형성을 연구할 수 있었고, 연구자가 새롭고 폭넓은 도자예술의 조형성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본다.;Human being existing the the Prodivence of nature pursues the artistic creative activities of human being as the object of nature that exists in the boundless variation of nature and the order of nature, and in the human life shared in the climates, and amongest the elements of formative beauty hidden in a certain scenery or the varation of four distinctive seasons, the natural phenomena such as cloud and twillight. The beauty of nature among the harmony of the whole creation of the great nature consist of the harmony of the great nature as well as creating the common harmony in nature and arts, and thus it can be seen with the liberal creative process that conducts the activities to express the life force indwelled in the object of nature. This researcher, with establishing the theme entitled "The Manufacture of Plastering Walls through the Geometric form of Mountain Image," analyzed the image of mountain in the animating beauty of nature in a formative way through figur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into the forms of linealtype and curvilinear type in terms of visual aspect. The method of this study is intended to pursue a diversified formative reappearance of nature through representing the image obtained in the mountain of nature as its geometric form in this context. In the manufacture of works, and analysis was made on the mountain expressed as a solid body in order to figure the image of mountain with geometrical form, and along visual side through harmonizing the form of mountain with straight line and curved line, and rhythmical curved lines were mainly used in order to emphasize the softness and the mildness with laying a stress on the coldness and the conciseness of nature. The manufacturing method was devised with the remittent injective type used by plast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orks through using ceramic quality clay. With having versatile experiences through the manufacture of works in materializing the image of mountain, it is intended to expand its region by embodying the formative consciousness existed in the inner side of this researc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