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건물 내부를 위한 도예벽장식에 관한 연구

Title
건물 내부를 위한 도예벽장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eramic Wall Decoration for the Building Interior : Based on Texture Contrast and Area Contrast
Authors
노혜경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Keywords
건물내부도예벽장식질감대비면적대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人間은 누구나 쾌적한 공간을 創造하고 그 안에서 생활하고자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욕구는 現代美術에 있어서 環境改善의 側面을 强調하여 環境藝術을 대두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이러한 환경예술에 대한 관심은 陶藝分野에도 影響을 주어 이제까지의 工藝的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 주위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하고 인간의 정서함양에 도움을 주는 환경공예로서의 도예 벽장식의 製作을 활발하게 하였다. 최근, 이러한 도예 벽장식은 지하철, 은행, 호텔 등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대중공간 속에 널리 퍼져 있으며 삭막하고 획일화된 콘크리트벽의 도시공간에서 생활하는 現代人들의 無味乾燥한 情緖에 活力을 줄 수 있는 환경 예술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본 硏究者의 硏究目的은, 물질문명이 極에 달하고 생활이 복잡해짐에 따라 現代에 人間이 生活하는 가장 밀접한 전물 내부공간의 壁을 꾸미기 위한 도예 벽장식을, 造形活動에 있어서 구성원리중의 하나인 對比를 통해 보다 視覺的, 心理的으로 造形美를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러한 硏究 目的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예벽장식의 一般的인 考察을 통해 東西洋의 도예벽장식의 歷史的背景을 알아보았고 건물 내부벽면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對比의 槪念및 種類를 알아보고 그 중 質感에 의한 對比와 面積에 의한 대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질감대비와 면적 대비가 표현된 도시 생활 속에서의 도예벽장식의 實例를 살펴보고, 美國, 日本, 韓國의 現代에 製作된 도예 벽장식의 類型을 圖板사진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도예벽장식의 유형은 表面 裝飾技法에 따라 크게 平面形과 浮彫形으로 분류하였고 平面形은 모자이크형과 평면타일형으로, 浮彫形은 유약을 입히지 않은 테라코타형과 나머지 모든 부조형을 高浮彫形과 低浮彫形으로 나누었다. 作品製作온 幾何學的 形態에 質感의 對比와 面積의 對比를 각각 表現한 Unit를 基本形으로 하고 이에 높낮이에 變化를 주어 對比의 視覺的 效果를 强調하고자 하였다. 作品의 製作方法은 백색자기토를 사용하고, 석고 원형틀을 이용한 이장주입성형을 選擇하여 한가지 形態를 여러 개 만들어 配列할수 있도록 하였고 질감과 면적의 대비적 效果를 强調하기 위하여 白 매트유로 담금시유하여 색상을 單純하게 하였으며 1.5루베 가스가마에서 1250℃까지 10시간에 걸쳐 산화소성하였다. 위와 같이 연구한 결과, 첫째, 도예벽장식은 일반 대중에게 정서적 안정을 주고 건물내부의 조형미를 풍부하게 표현해주며, 둘째, 디자인에 있어 대비효과는 작품에 변화를 주어 이를 보는 사람들에게 흥미를 갖게 하고 삶의 활력을 불어넣어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세째, 조형작품에서 서로 다른 질감을 대비시켰을 때 서로의 특성이 명확하게 강조되었고 다양한 변화를 느낄 수 있었으며, 큰 면적과 작은 면적을 대비시켰을 때 반대, 대립, 변화 등으로 인한 극적인 즐거움을 주었다. 네째, 질감대비와 면적대비를 시킨 도예벽장식에 높낮이의 변화를 준 unit를 제작하여 배열한 결과 더욱 입체적인 다양한 변화와, 흥미를 자극하는 다이나믹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다섯째, 대비는 예술작품에 있어서 변화와 활력을 얻기 위한 중요한 요소임이 틀림없으며, 대비감각은 우리들의 감각을 더욱 새로운 감각으로 이끄는 하나의 종합감각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이끌어 내게 되었다. 이들 대비가 갖는 獨特한 性格과 藝術的 價値를 도예 벽장식에 이용함으로서 이러한 도예 벽장식이 室內環境造成에 寄與함과 同時에 현대의 單調롭고 劃一化된 건물 내부공간에서 人間의 精神的, 肉體的 休息을 돕고 삶의 活力을 주는 役活을 擔當할 수 있기를 바란다.;Every man has a desire to create a comfortable life and live there. This desire in modern art has manifested an aspect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managing a momentum to bring fored an environmental art. Also, this interest in environmental art has made some impact on the field of ceramic art, thus making it active to have 'ceramic wall decoration' created as an environmental industrial art that could help enhancing the more comfortable surrounding and the better man's health escaped from the restricted concept about in till now. This ceramic well decoration currently can be easily seen at subways, banks, hotels and so on, which implies that it has already been widespred in our public spheres and playing a role as environmental art capable to bring forth vitality to the routine emotion of the contemporaries who have lived desolate lives in their gray urban spaces within the concrete wall. The purpose this study, thereform, is to have the ceramic wall decoration, for it to be worthwhile as such in connection with the final part, that is the wall, of the building interior which is most close to the larges part of time of the urban citizens, so as to be expressed abundantly with visual, psychological formative beauty through 'comparison', one of important constituent principles in formative activity. To accomplish this aim, the Eastern and Western historical background for ceramic wall design was investigated through general literature and also characteristics of the wall faces of the building interior were studied. Concepts and species of comparison were also examined. Foci were given to contrast by texture and contrast by area. Further, actual examples of ceramic wall decoration in urban life were illuminated through a survey upon states of contrast ceramic wall decoration. And collected through plate photographs were modern ceramic wall decorations or those decorations, manufactured in the modern tim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Japan and Korea, which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hose of plain form and those of relief from according to their surface-decorative techniques. And, the plain forms were sub-divided into mosaic forms and plain tile forms, and the relief forms, into terra-cotta forms and all the others (i.e. high relief forms and low relief forms). Work making attempted to emphasize the visual effect of contrast by having the unit that expressed contrasts in texture and area as the required basic pattern and making it again varied in height. White ceramic soil was used and the method of trans-induction modelling by the plaster frame was chosen to have multiple products and arrays of the smae pattern. And also to emphasize the contrast effect between texture and areas, colors were made simple through tempering by white-mat glazes. May this ceramic wall decoration, conclusively, by making use of the unique character and artistic value of the contrast into it,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the interior environment, and, at the same time, help man's mental and physical rest, giving vitality of life to the monotonous and unified building interior spaces of the modern tim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