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3 Download: 0

어린이를 위한 전문 백화점의 실내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어린이를 위한 전문 백화점의 실내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lan of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Children's Speciality Department Store
Authors
오진영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어린이전문백화점실내환경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ith the distributive structure at home being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rapid expansion of economical society, the percapita national income became more than US$ 5,000 and therefore, the consumptive pattern of people is daily changing. In response to newly developing improvement of the level of living and change in the people's view of value, the distributive world is characterized wi th a trend to be resembled wi th the consumptive structure of some developed countries and therefore, it is felt that breaking from the conventional spatial concept of the existing department stores where only sales of goods are mainly concerned, value as for the public, cultural space for the supply of specialty goods, enjoyment of seeing, hearing, resting, etc. is required to be delivered to consumers. Also, for a strategy of sales promotion, in order to give some characteristics differed from that of existing department stores, mojor classes of customers should be newly established and as a department store characterized somewhat, a more efficient method of establishing the structure of consumers is required. In the meantime, with the change of lifestyle in accordance with the economical structure of each unit of a newclear family which is centered on by couples and children, people's concern on their delivery of children, health of infants, eduction of children, etc. is being heightened,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shopping for children is increasing, and therefore, most of parents enjoy to make a shopping with their children. In that point of view, the present thesis has its aim or purpose to derive a sound, desirable design that on the side of consumers, not only the sales of infant goods but aid of delivery guidance, even the problem of shopping for the school ins children who are in the stage of forming their human nature and their exclusive culture of leisure can be solved, and rather than suggesting a traditionally complicated scale of mammoth department 1ike the supermarket, the sales places can be suggested where consumer need should be met as well as purchasing convenience be intended so that consumers behave affirmatively and be satisfied in such sales places. Summarized process of the progression of the 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are as follows: 1. In the study, the purpose and scope were regulated and restricted in response to newly developing social structure and to be applied in that structure, and their methods were described. 2. By inspecting and analyzing characteristic states wi th regard to the growing development of babies or infants, then applying those results to the aspects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store and its function, a designing scheme for not only rational, efficient sales promotion but also for the forming of the harmony of the cultured space for children was suggested. 3. In a dimension of distributive business, determinants for the standards of the environmental design of the department store were analyzed and with scientific systemization being established, the framework of designing process was refined and aligned. * As social and cultural factors being studied, consumer's purchasing patters and their pursuing cultural requirements could be understood and resultantly the staging of any specialized department store was required. *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sychology and materials were studied, based on the composition of a structue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behavior of the subject of space, human adults, and various character of children so that the structure can give emotional satisfaction and comfortable environment to the users of the structure. * For the ultimate purpose of business management and marketing, the maximizaion of sales and profits, the realization of synthetic image was an absolute requisite, and in such context, the standards of design were analytically synthesized. 4. Basing the derived problem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xamined questionnaires and documents, and concretizing and specializing them, and through the buildings in the objective area optionally selected, an optimum disigning scheme was suggested.;국내의 유통구조도 경제사회의 급속한 팽창에 따라 더욱 다양해지며 1인당 국민소득이 6천달러를 넘게되어 생활자의 소비패턴이 나날이 변하여 가고 있다. 새롭게 발전해 가는 생활 수준의 향상과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유통업계는 선진국 소비구조의 경향을 띠게되며 기존 백화점의 상품을 판매하는 공간개념을 벗어나 전문적인 상품의 제공을 비롯, 보고 듣고 휴식하며 즐길 수 있는 대중 문화적 공간으로서 소비자들에게 전달이 되어져야만 하는 필요성을 느끼게 하고 있다. 또한 판매 촉진 전리도 기존 백화점과의 차별화를 위해 주대상 고객층을 설정, 특색있는 백화점으로서 보다 나은 효율적 소구방법의 모색이 요구되어 져야만 한다. 한편, 부부와 자녀 중심의 핵가족 단위의 경제구조에 따른 생활양식의 변화에 출산과 육아의 건강 또는 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 감으로서 자녀를 위한 쇼핑의 비중이 커지며 대부분의 경우 자녀와 함께 쇼핑을 즐기게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대상고객의 측면에서 한국경제, 사회구조의 'LIFE STYLE'이 변화하는 과정으로 대두되는 핵가족 문화의 특색을 반영한 공간으로서 복합적 규모의 대형 백화점 보다는 소비자의 욕구(need)에 부합되고, 구매편리를 도모하여 출생직후의 유아 용품 판매 뿐만 아니라 출산 가이드와 유아 교육 상담의 역활도 도와주며 기본 인성이 형성되는 취학 아동기를 위한 쇼핑과 어린이 전용 레져 문화까지도 해결해 줄 수 있는 핵가족 문화의 특색을 반영한 공간으로서 긍정적 행위와 심리적 만족을 얻을 수 있고자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을 두어 디자인을 도출 하였다. 본 논문의 진행 과정 및 디자인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는 새롭게 발전해 나아가는 사회적 구조의 틀에 맞추어 그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2. 영아, 유아의 성장 발달에 따른 특징 상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백화점의 전반적인 특징과 기능적인 측면에 적응함으로써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판촉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을 위한 문화적 공간으로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 방안을 제시 하였다. 3. 유통업적인 차원에서 백화점 환경디자인의 기준이 되는 결정요인들을 분석하여 학문적 체계화를 이룸으로서 디자인 과정의 틀을 정립하였다. · 사회와 문화적 요인을 고찰함으로서 소비자의 구매패턴과 추구하는 새로운 문화적 세태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전문 백화점의 등장이 요구되었다. · 공간의 주체인 인간행동과 어린이들의 다양한 성격과의 관계를 고려한 건물의 구성으로 이용자에게 정서적 만족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심리적·물리적 환경요인율 고찰하였다. · 경영, 마케팅의 궁극적 목적인 매출과 이윤의 극대화를 친해 통합 이미지의 구현이 절대적인 필요조건이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디자인의 기준을 분석 종합하였다. 4. 조사된 설문자료와 문헌자료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도출된 문제점을 기초로 하여 구체화, 전문화 시킴으로서 임의로 설정된 대상 지역의 건물을 통해 최적의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5. 어린이를 위한 전문 백화점의 디자인 과정은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이 시대에 부응하는 소비 생활 환경의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접근 하였으며 어린이만을 위한 새로운 문화적 공간의 제시로서 그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