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2 Download: 0

조선 왕조 흉배에 나타난 문양의 조형성 분석

Title
조선 왕조 흉배에 나타난 문양의 조형성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Formativeness of Appearances on Thoraces in Yi Dynasty
Authors
김숙영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의상디자인전공
Keywords
조선왕조흉배문양조형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Promote the superiority of Korean beauty through the harmony between the Korean tradition and the modern perception. The pursuit of beauty has been applied to the appearances of the officials' uniforms, and is focused on the thoraces worn in Yi Dynasty of official's uniforms, for it is meaningful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ormative elements building the specific formative beauty with rich colors and embroidered patches to be applied to the modern fashion design for the creation. Various documents related and research works already made have been used as references. For the transi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oraces, the discussion was made while the King Sejong was in throne; however, the actual practice was in the 2nd year Danjong (1454) applying the principle of Two Grades Down originated from Myung Dynasty in China. The independent designs were briefly used for grade one through nine in the llth year Yeonsan tun (1505), and in simple and convenient way the cranes were used for the thoraces of civil officials and tigers for military, with twins for high ranking and single for low since Yeoungjo and Jeongjo in the latter part of Yi Dynasty. It has built up the independent and specific formative beauty through the gradual transitions in patterns and colors. Next, the research has been made on the symbolic meanings classified by rank and pattern based on "the great Collections of Portraits of the Famous Koreans" covering comparatively accurate and realistic portraits of the of officials in Yeoungjo and Jeongjo period, using cranes and tigers on thoraces for main and auxiliary Patterns o be compared and analyzed for the formal transition processes. The photographic pictures of a total of nine actual works with illustrations have been presented with a view to seeking the simple creating design development augmented by the modern perception and supported by the research work.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s of thoraces Proved by this research work are as follows: First, Thoraces are composed of main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nd auxiliary patterns to the background. And the cloud, the sun, and the long Life pattern if any, are to be connected to the crane, the never-get-old plant, the tiger, and the Taegeuk pattern. Secorld , All the patterns used have the good meanings, such as the five fortunes available while alive in this world, the descendents prospering. Third, Great contribution has been rendered to not only the main objectives to indicate grades, but also the media of visual elements to provide simple uniforms with full energy.;본 연구논문은 전통과 현대의 조화속에서 한국적인 美의 우수성을 드높이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미적추구는 인체에 입혀진 관복이라는 복식에 사용되었다는 공통성에 입각하여 조선시대 백관복에 부착된 흉배에 촛점을 맞추었는데 화려한 색채와 자수문양으로 특유의 조형미를 연출하는 그 조형적 요소들을 비교·분석하여 현대의상에 응용하고 창조·구성해 나아감은 의의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여러가지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된 이론을 통하여 먼저 흉배의 변천과 특성을 알아 보았는데 최초의 여론은 세종때였으나 단종 2년(1454)에 처음으로 제정되었으며 이때는 明의 2등체강 원칙하에 이루어진 것이지만 연산군 11년(1505)에는 잠시나마 독자적인 무늬를 1품에서 9품까지 모두 사용하게 했으나 조선시대 후기인 영·정조이후에는 간편한 방법으로 문관은 학흉배, 무관은 호흉배로서 당상 당하관을 각각 쌍·단으로 구분하여 사용했다. 무늬와 색채에서도 점점 변화를 주어 독자적이면서도 특유의 조형미를 나타내었다. 그 다음으로 두가지 측면인 직위와 취재된 무늬별로 각각 분류하여 그 상징적 의미를 조사하였으며 사용된 연구자료중 「한국명인초 상대감」에서는 비교적 정확하고 사실적인 영·정조시대 관리의 초상화만을 추려서 주로 사용된 학과 호흉배를 중심으로 主문양과 副문양으로 나누어 그 구도와 조형성을 비교·분석하고 양식화된 변천과정을 그림으로 살펴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현대감각이 가미되어 심플하고 창조적인 디자인 개발을 모색하여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과 실물작품 총9점을 제작하여 사진으로 제시하였다. 이상에서의 고참결과에 나타난 흉배 문양의 공통된 특징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흉배의 구성은 주제되는 主문양과 배경을 이루는 副문양으로 되어 있으며 구름·태양 장생문을 따로 두면 학과 불로초, 호와 태극문으로 연결된다. 둘째, 사용된 무늬는 모두 현세에서 오복을 누리고 자손이 번성하기를 바라는 길상적 의미를 지녔다. 셋째, 관복의 1차적 목적인 품계와 등위를 가리는 외에도 시각적 요소의 매개체로서 단순한 복식에 활력을 주는 디자인 요소로서의 일익을 담당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