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美英 .-
dc.creator金美英 .-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2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5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7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542-
dc.description.abstract일반적으로 디자인이 純粹美術과 區別되는 이유를 有用性 내지는 機能的 價値에다 그 기초를 둔 것이라고 한다면 디자인의 美的特質은 사실상 그 有用性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디자인에 있어서의 形態美는 단순한 형태미가 아니고 機能에 적합하거나 거기서 유래된 형태라야 할 것이며 따라서 생활용기로서의 食器의 디자인은 형식적인 機能과 內容的 機能의 두가지 측면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생활용기는 우리의 生活內容을 담은 것이어야 하며 食生活 습관에 적합한 것이라야 할 것이다. 이러한 觀點에서 本 硏究는 우리 食生活이 歷史的으로 어떠한 시점에 와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歷史的 배경을 食生活文化的 측면에서 조명하며 봄으로써 各 時代의 食生活과 食器와의 관계를 考察하였다. 時代的 區分은 先史時代에서 統一新羅時代까지를 土器, 高麗時代를 靑磁, 朝鮮時代를 분청사기와 백자, 近代化 이후를 産業陶磁器의 時代로 나누어 各 時代別로 食器의 특징적 器形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歷史의 흐름 속에서 오늘날 우리 食生活의 구조와 陶磁食器의 使用度,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說問調査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分析하여 얻은 실증적 자료와 문헌을 통하여 아침 식사의 유형과 특징을 알아 보았다. 특히 아침 식단을 택한 것은 서구 문물의 영향을 받아 변화된 식탁의 양상이 가장 잘 나타나 있기 대문이었고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작품 제작에 임하였다. 작품 제작은 대량 생산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하여 석고형을 사용한 이장주입성형으로 하였다.;The difference between design and pure art generally bases on the utility or the functional value. Therefor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design must be found in the utility in fact. And the form of design has not only the beautiful but also the functional suitability. I think that the design of a tableware satisfies both the function of form and matter. Today a tableware, as a living instrument, must express our living substance and suit our custom of dietary life. In this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dietary life and the tableware of each period is historically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e of the relation, consider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dietary life culture. The tablewares are divided as following according as the period, an earthenware in from the prehistoric age to Unified Shilla dynasty, a celadon porcelain in Koryo dynasty, a Bun Cheong Sa Gi and a white porcelain in Chosun dynasty, a industrial ceramic ware in after our moderniza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s tableware, especially in it's form, are studied. The anquete is executed to know the structure of our dietary life, the degree of use of ceramic tableware, the degree of interest of consumers about design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above studied. And the style and characteristic of our breakfast are analized through the positive materials attained from the results of the anquete and the literatures. Because the style of our breakfast has specially changed, being influenced from Western culture. My work production bases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design of work is intended to be possible it's mass production. The method of production in the slip casting used a gesso mou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xi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內容 및 方法 = 3 Ⅱ. 理論的 背景 = 5 A. 食生活환경과 食器의 歷史的 考察 = 5 1. 先史時代-統一新羅時代 = 6 2. 高麗時代 = 8 3. 朝鮮時代 = 10 4. 1910년 이후∼現在까지 = 15 B. 設問 調査 및 結果 分析 = 20 1. 調査의 目的과 方法 = 20 2. 結果分析 = 21 C. 아침 식사의 특성 = 32 Ⅲ. 作品製作 및 解釋 = 36 A. 디자인 計劃 = 36 B. 作品製作過程 = 43 C. 作品解釋 = 67 Ⅳ. 結論 = 85 參考文獻 = 99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756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도자-
dc.subject식기-
dc.subject아침식단-
dc.subject요업디자인-
dc.title陶磁食器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아침식단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eramic Tableware : Centering around the tableware for breakfast-
dc.format.page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