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宋宣旼-
dc.creator宋宣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3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0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6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090-
dc.description.abstract평가는 학습에 대한 성취도를 측정하는 차원을 넘어서서 교육 과정의 유효도 자체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까지 한다. 그 만큼 교육 과정에서 차지하는 평가의 역할은 중요하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의 평가가 입시 위주의 교육 풍토 아래에서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그리하여 최근 실시되었던 국사과 학습 평가에 대한 현장 연구로 평가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학교 현장에서 실시되는 평가는 교육 과정에 제시된 교육 목표를 바탕으로 해야 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또한 교육 과정의 교육 목표를 바탕으로 한 수업목표는 내용과 행동의 두차원으로 진술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 · 경북지역의 10개 중학교에서 사용된 고려 시대 학습평가 문항을 대상으로 내용 분야와 행동 목표의 두차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용 측면에서 정치 영역과 사회 영역에 대한 평가 수준이 교육 과정이 제시하는 것 이상으로 치중된 반면 경제 영역과 문화 영역에 대한 평가 수준은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취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영역의 평가 수준과 교육 과정이 제시하는 평가의 적절 수준 사이에 나타나는 편차는 그다지 크지않기 때문에 수업 내용에서의 평가 경향은 비교적 적절하다. 2. 목표 측면에서 지식 영역에 대한 평가 수준이 교육 과정이 제시하는 것 이상으로 편중된 반면 기능 영역과 가치 · 태도 영역에 대한 평가 수준이 상대 2. 목표 측면에서 지식 영역에 대한 평가 수준이 교육 과정이 제시하는 것 이상으로 편중된 반면 기능 영역과 가치 · 태도 영역에 대한 평가 수준이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취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의 평가 수준과 교육 과정이 제시하는 적절 수준 사이에서 나타나는 편차는 내용 측면의 평가에서와는 달리 상당히 크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지식 영역 중에서도 사실 지식에 치중되었고 가치 · 태도 영역에 해당되는 문항은 없었다. 이러한 경향은 대도시와 읍 · 면 소재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학교 현장에서 나타나는 평가 경향의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 과정의 교육 목표를 내용과 행동의 두차원으로 상세화하여 학교 현장의 수업 목표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일이 시급하게 요청된다. 또한 지식 영역뿐만 아니라 기능과 가치 · 태도 영역에 대한 모범 평가 문항과 작성 방법에 대한 개발이 아울러 요구된다 하겠다.;Evaluation offers the data to be able to judge the effectiveness degree of curriculum itself, passing over the dimension to measure the achievement degree about the study. The role of evaluation to occupy in the curriculum is important as much as it. However, whether the evaluation in the school spot is performing the role well under the educational climate centering around the entrance examination is skeptical. So, the author tries to give help to preparing the improvement countermeasure, by grasping the problem on the evaluation, with the spot study on the study evaluation of the subject of national history which has been executed recently. The education to be executed in the school spot makes it a principle to have to be on the basis of the education goal presented in the curriculum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teaching goal on the basis of the education goal of the curriculum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must be stated in two dimensions of contents and action. So, the analysis was made in two dimensions of the contents field and action goal, by making the question item of study evaluation of Koryo era which was used in 10 middle schools at the areas of Taegu and Kyoungbook as the object.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1. In the side of teaching contents, while the evaluation standard on the politics field and society field was emphasized over what the curriculum presents, it emerged that the evaluation standard on economy field and culture field was treated relatively negligently. However, as the deviation to emerge between the evaluation standard of each field and the proper standard of evaluation that the curriculum presents is not so large, the evaluation tendency in the teaching contents is proper relatively. 2. In the side of teaching goal, while the evaluation standard on the knowledge field was emphasized over what the curriculum presents, it emerged that the evaluation standard on the function field and the field of value and attitude was treated negligently relatively. The deviation to emerge between the evaluation standard of each field and the proper standard that the curriculum presents is emerging large considerably other than the evaluation of the side of teaching contents. Especially, in the knowledge field, fact knowledge was emphasized, and there are not question items which correspond to the field of value and attitude. This tendency is only the difference about the largeness and smallness of deviation, and it is the phenomenon which is emerging at metropolis is and the location of Eub and Myon jointly, though the difference among areas emerges. For the improvement of problems of evaluation tendency to emerge at the school spot even a little bit, to do, so that the education goal of curriculum may be used as the teaching goal of school spot, by making it detailed with two dimensions of contents and action, is demanded urgently.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development on the question items of model evaluation about the field of function, value and attitude as well as the knowledge field and on the framing method of them is deman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선행 연구 = 2 C. 가설의 설정 = 3 D. 연구 방법 = 4 1. 연구 절차 = 4 2. 자료 분석 = 5 E. 연구의 제한점 = 7 Ⅱ. 국사과 교육 목표와 학습 평가 = 9 A. 역사 교육의 목적 = 9 B. 국사과의 교육 목표 = 11 C. 국사과의 학습 평가 = 16 Ⅲ. 분석 결과 및 해석 = 20 A. 고려 시대 단원의 교육 목표와 학습 평가 = 20 B. 내용면에서 본 학습 평가의 적절성 = 23 1. 정치 영역에 대한 학습 평가 = 23 2. 경제 영역에 대한 학습 평가 = 26 3. 사회 영역에 대한 학습 평가 = 28 4. 문화 영역에 대한 학습 평가 = 30 C. 목표면에서 본 학습 평가의 적절성 = 32 1. 지식 영역에 대한 학습 평가 = 32 2. 기능 영역에 대한 학습 평가 = 34 3. 가치ㆍ태도 영역에 대한 학습 평가 = 36 Ⅳ. 결론 = 39 參考文獻 = 42 부록 = 46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203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국사과-
dc.subject학습 평가-
dc.subject지필검사-
dc.title중학교 국사과 학습 평가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지필검사(Paper test)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Study Evaluation of the Subject of National history of Middle School : Centering around paper test-
dc.format.pagevi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