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옥인-
dc.creator유옥인-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0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0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6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08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한국과 미국의 고등학교 미술과 시설·설비기준을 상호비교하여 한국 고등학교 미술과 시설·설비기준의 바람직한 개선방향 모색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의 내용은 한국과 미국의 현행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시설·설비기준, 교육재정 등을 상호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한국과 미국의 현행 교육과정, 미술과 시설 기준표, 교구설비기준표와 미국교사건축위원회에 의한 미술과 시설 기준 그리고 UNESCO에 의한 교육재정통계 등을 도구로 하였다. 한국은 중앙집중식의 획일성을 교육제도의 근간으로 삼고 있으나 미국은 지방자치 행정에 따른 교육의 다양성과 독자성을 교육제도의 특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미국의 여러 주 중에서 대표성을 고려하여 Washington, D.C.를 목적표출하여 각국의 특성을 대표하는 공식자료와 UNESCO 1990년 통계자료를 비교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영역별로 관점을 제시하고 표, 막대그래프 등을 이용하여 상호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과 미국 모두 미술교육을 통한 표현력 신장 및 창조성 계발을 미술과의 교과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교과 목표 달성을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적절한 시설·설비의 제공을 명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2. 미술과 시설·설비 기준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교육법령 미술과 시설·설비 기준에 미술실 최소면적의 규정이 없어 미술실 시설의 부족 및 낙후의 원인이 되고 있다. 3. 미술과 교구설비기준을 비교한 결과 미국은 학생 수에 적합한 교구 수량을 제시한 반면, 한국은 학생 수에 크게 못 미치는 규모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 미국이 다양한 품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교구기준은 품목도 다양하지 못하고 규격의 명시가 모호하거나 제시하지 않고 있다. 미국이 교육과정의 특성에 따른 교구 품목을 기준으로 삼고 있는 반면, 한국의 교구설비 기준은 교육과정의 특성과 무관한 것이었다. 4. 교육재정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미국에 비하여 고등학교 1인당 公敎育費가 크게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수행에 도움이 되는 고등학교 미술과 시설·설비를 갖추기 위해 현행 법령에 미술실 최소 필요면적을 학생 1인당 필요면적으로 정하여 명시하여야 하며 미술실 교구의 품목 수와 수량을 학생에게 고루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교구품목의 종류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s to get desirable facilities standard by comparing current standards of Korea and the USA's senior high school art room. The study compares two country's senior high school art curriculum, facilities standrad and educational finances. The study used as its basic study material the current educational procedures, art facilities standard tables, basic tables of teaching articles of the two countries, and the educational finance statistics by the UNESCO. In contrast to Korean education system of monocultural kind based on central authorit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American education system are its varieties and independency of many states. In account of this, the representative Washington, D.C. has been chosen as the object of the comparison with the 1990 UNESCO statistics, and other countries' official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are as follows. 1.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is the same in Korea and the USA. The aims of their art education are the expansion of expression a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Especially for the USA, offering appopriate facilities and teaching tools is the essential condition in achieving educational goals. 2. The USA is providing the proper facilities standards that are essential to get successful effects of art education. However, Korea has not defined the minimum standard causing the facilities' scarcity and backwardness. 3. The USA requires sufficient and appropriate minimum quantity for teaching tool standards. However, Korea's teaching tool standards are far below the absolute minimum quantity. The USA provides various tools of education. Moreover the standards are clear. The USA's teaching tool standards a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curriculum. Korea's teaching tool standards are unrelated to the curriculum characteristics. 4. Public educational expenses per one senior high school student of Korea is much less than that of the USA. In order to get desirable facilities standards for successful education, Korea should revise current senior high school art room facilities standard. The minimun standard per one student should be added to current facilities standard. Also it is necessary to supply art room articles to the students equally and to vary the teaching tool artic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와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2 C. 연구의 내용 = 3 D. 연구의 방법 = 3 Ⅱ. 고등학교 미술교육과 교육시설 = 5 A. 고등학교 미술교육 = 5 B. 교육환경 = 8 C. 교육시설 = 11 D. 교육시설 관련 법규와 역할 = 18 E. 교육시설과 교육재정 지원 = 19 Ⅲ. 고등학교 미술과 시설 · 설비기준 비교 = 21 A. 한국과 미국의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비교 = 21 B. 한국과 미국의 고등학교 미술과 시설 · 설비기준 비교 = 28 C. 한국, 미국의 학교시설에 대한 국가지원 비교 = 49 Ⅳ. 결론 = 55 참고문헌 = 59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162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미술과-
dc.subject시설기준-
dc.subject설비기준-
dc.title고등학교 미술과 시설·설비기준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FACILITIES STANDARD COMPARISON OF SENIOR HIGH SCHOOL ART ROOM-
dc.format.pagevii,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