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1 Download: 0

陶藝에서 Frit釉 응용에 관한 연구

Title
陶藝에서 Frit釉 응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practice Frit Glazes in Ceramics
Authors
이옥희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Keywords
도예Frit유프릿트안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人類文明의 발전과 더불어 古代의 단순했던 陶磁器에서 오늘날과 같이 복잡한 産業社會로 접어들게 됨에 따라 새로운 現代陶藝의 경향이 뚜렷해지기 시작했다. 現代陶藝家들은 보다 나은 예술작품을 위해 도예가의 個性과 그가 다루는 粘土. 材料, 釉藥등 재료의 속성에 따른 文化的 背景과 소성방법이 융합되어 아름다움을 형성하며, 여기에 陶磁器의 장식적 효과를 위해 형태, 질감, 釉藥등을 규명하는데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새로운 釉藥실험을 계속 시도하는 것이다. 프릿트釉藥은 生原料中에서 毒性을 가진 물질을 다른 원료와 함께 화학변화를 하게 함으로서 無毒性物質로 변화하게 하며, 또 수용성원료를 프릿트로 함으로서 물에 불용성으로 만들던지 숙성 가능한 온도범위를 넓게 함으로서 많은 종류의 素地에 사용할 수 있다. 이 釉藥은 일찌기 이집트의 페이스트 소지에서 잘 燒成된 것을 볼 수 있으며, 16C말 프랑스의 프릿트磁器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기 시작했고 16C말경의 日本의 Raku에서도 많이 사용되었다. 현재 프릿트는 광범위하게 商業的으로 사용되며, 또 親代陶藝家들에게도 잘 이용된다. 본 연구는 K-産業에서 구입한 타일에 사용하는 투명프릿트 (No. 605) 와 유백프릿트 (No. 747)를 사용하여 産業陶磁와 같은 생활도자기와 도예용 釉藥에 직접 응용하기 위해, 약 1,150 ~ 1,250℃의 中火度에 사용 가능한 프릿트釉를 얻고자 시도하였다. 먼저 단미의 투명프릿트와 유백프릿트에 장석과 Kaolin의 양을 변화시켜 조합한 프릿트釉를 실험하였고, 투명프릿트와 유백프릿트를 혼합하여 장석과 Kaolin의 양을 앞과 같이 첨가하여 보았으며, 이때 소성온도는 1,100℃, 1,150℃, 1,200℃, 1,250℃의 4단계로 실험하였다. 또 Emmanuel Cooper의 프릿트釉 응용실험으로 투명프릿트와 유백프릿트를 각각 적용하였고, TiO_(2)는 SnO_(2)로 대치시켜 실험하였다. 이외에 석회釉에도 프릿트를 첨가하여 釉의 용융상태와 투명도 등을 실험하였다. 프릿트에 장석과 Kaolin을 첨가한 프릿트釉 실험결과, 1,200℃에서 가장 상태가 양호한 투명프릿트釉의 6F-1번과 유백프릿트의 7F-7번을 선정하고, 더 높은 온도에서 안정된 유약을 얻기 위해 규석, 남석을 각각 첨가하여 용융상태와 외관상태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투명프린트釉의 6F-1번과 유백프릿트釉의 7F-7번에 발색제로 H-화학주식회사의 10종의 안료를 면화 첨가하여 그 呈色變化를 관찰하였으며, 또 Emmanuel Cooper 釉 조성을 응용 실험한 프릿트釉에도 앞서와 같은 안료를 첨가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작품에 응용한 결과, 프릿트釉는 다양한 발색과 질감표현으로 시각적인 美의 특성을 보여주며, 앞으로 現代陶藝에서 실용적이고 장식적인 효과를 크게 나타내어 폭 넓게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With the advance of human civilization a tendency toward new modern ceramics began to rise according to industrialization of society from ancient simple pottery. Modern potters are making their best efforts to find out shape, quality, ornament and glaze of ceramics and they are examining the property of clay, materials, glazes to have a beauty. They are also exposing their individuality for the better work of art. So they are trying to experiment of the new glazes continuously as one of these efforts. Frit glaze can be used for many sorts of clay because it removes the toxicity of underdone materials or makes an insoluble matter and it takes an extensive temperature for developed condition. Early this glaze is seen at the Egyption paste clay and it was studied enthusiastically at French fritted porcelain in the end of L6th century. It was found at Raku of ancient Japan, too. Frit is being used commercially where a lot of standard frit is used and it is for potters, too.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duce a frit which can be used for neutralization nearly at 1200℃-1250℃ by using a clear frit (605 frit) for pottery and a opacity one (747 frit) for tile to make a practical amplication for the glaze of ceramics, living pottery such as industrial one. In this experiment first I changed and compounded the quantity of feldspar and kaolin and put them to each clear frit and opacity frit and then I mixed the two frits. And I add each clear frit and opacity frit to Lime glaze so I examined them at plastic temperature 1100℃, 1150℃, 1200℃, 1250℃. After that I attempted to apply clear and opacity frit by each one to the frit glaze experiment of Emmanuel cooper. As the experiment of fundamental frit glaze I selected No. 6F-1 and No. 7F-7 which had a good condition at 1200℃ from clear frit and opacity frit. In order to get a stable glaze I absolved the melting and surface conditions by addition to silicon and pagodite. And I looked at the coloration of No. 6F-L & No. 7F-7 as change and addition to various color agent of Hanil Chemistry Co. Besides, I tried to observe the variation by addition to some colors put into clear and opacity frits that is amplication of Emmanuel Cooper's glaze. The result of amplication for frit to my wort with this experimental effect I can see an visual aesthetic feature of diverse color. And I consider it can be amplied widely in the future to express an ornamental effect in modern ceram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