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7 Download: 0

공간에서 사신도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Title
공간에서 사신도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construction of Sashin do in Spatial Dimensions : with focus on work Piece Production
Authors
김미영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염색디자인전공
Keywords
공간사신도재구성염색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Expression in plastic arts in one of man's self-expression which enables expression in the least sense by "drawing" on "two-dimensional surface" materials . The world of plastic arts reflects on how one percieves and experiences its subjects and desires for expression of self rooted on human lives. In such a world of plastic arts, organic combination of many elements in needed, but above all construction of space is of never-ending challenge to artists. Spatial exploration from pre-historic cave wall-painting differed from one era to the next. How to create spatial forms is still a challenge to artists of present era. In this study, with the aim to pursue space as a plastic structure employed Sashin Do of Kogurue tomb wall-painting as the element of expression. Much effort was placed on overcoming limitations placed by ancient tomb-wall representation and also endeavored to reconstruct anew on drawing surface by selecting symbolism and significance in plastic space. Theoretical exploration and literary survey starting from spatial perception principles to new space construction. And such a discovery of space was expressed by dye-work production.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creation of essential surface space may be had through continuous process of verification to given stimulus rather than simple recreation of what the eyes percieve. Second, visual organization delivers the essence of emotion and feelings. Third, reexpressing of already expressed subject (Sashin Do) was found possible and therefore recreating them in new plastic arts dimensions by techniques tomb-space limitations. Fourth , by techniques of air-brush and silk-screen conform the possibility of uarious methods of expression in dye arts. In the making process salt is used to spot for the purpose of search for the image of ancient wall-paintings. I try to seek continual dyeings, materials, technics, characteristics and the possibilities of creative expressions by appling use of dissimilar methods such as spots with salt, air-brush, silk-screen experimentaly.;조형 예술의 표현은 인간의 자기표현으로 평면이라는 성질에 그린다로 그 최소한의 의미 전달이 가능하다. 이 조형 예술의 세계는 인간의 삶을 근거로 한 자기확장(自認擴張)을 위한 욕망과 그 대상을 어떻게 지각하며 체험하는가에 대한 반영이다. 이러한 조형 예술의 세계는 여러 요소들의 유기적 결합이 필요하지만 끊임없는 과제로 제시되는 것은 특히 공간의 형성이다. 공간 탐구는 인간의 역사(歷史) 이전 (以前) 동굴의 벽화이래로부터 삶이 투영된 고구려 벽화등 시대에 따라 달랐다. 현재에도 어떻게 조형 공간을 창조할 것인가는 과제로 제시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조형 구조로써 공간의 추구에 목적을 두고, 그 표현의 요소로는 고구려 고분 벽화에 등장한 사신도를 설정하였다. 고분 벽면이라는 제한적 상황을 극복하고 조형 공간에서 상징성과 의미성을 선택하여 화면에서 새롭게 재구성하고자 한다. 이를위해 공간 지각 원리로부터 새로운 공간 형성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탐색했으며, 염색 작품 제작으로 탐구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표현하였다. 이와같은 과정에서 얻은 결론으로, 첫째, 눈으로 본 것을 단순히 재현한다는 것이 아닌, 주어진 자극에 대한 끊임없는 검증 과정 속에서 본질적인 화면 공간을 창출할 할 수 있었다. 둘째, 시각적인 조직화가 감정의 결정체를 전달하도록 하였다. 세째, 이미 과거에 표현된 대상물(사신도)도 새로운 조형 공간에서 이미 주어진 제약성을 극복하고, 재 표현(창조)될 수 있는 가능성 을 발견하였다. 네째, air-brush와 silk-screen등의 기법에 의해 염색 공예도 다양한 표현 방법의 시도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제작 과정에서 고대 벽화의 이미지를 추구하려는 의도로 소금을 사용한 얼룩을 남겼다. 소금에 의한 얼룩이나 air-brush, silk-screen등의 이질적인 방법의 사용은, 실험적인 자세로 소재와 기법을 응용함으로써 지속적인 염색의 재료, 기법, 특성 및 창의적인 표현 가능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