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敬銀-
dc.creator金敬銀-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4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9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6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947-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paper I dealt with the world of Naong Hae-Keun's zen Poems, considering the recent studies of the Zen Poetry of the Korea dynasty. Hae-keun was a Zen monk in the late Korea dynasty who exerted himself to maintain and revive the Korea Buddhism which was declining due to challenge of the Sung-Li-Hak and the contradiction of itself. And he is well known to us as the first writer of the Ka-Sa Mun Hak. But his Zen Poems has been studied only fragmentarily So, I intended to study his poems as a whole, classifying them in three categories; First, the poems which imaged his inner world showed the self-discovery, the spiritual awakening as a monk, and the Zen's view of world, by using the words from the Zen theory or thought and by expressing paradoxically in order to image the supermun-dane world. Second, the poems which accepted and described the nature reflected the Zen monk's unique nature-consciousness, that came from the zenic awakening and recognition of the nature as it is in impassive state of mind. On the contrary, in the ordinary literary men's Chinese poems, the nature was described empathically, on which their emotions or everyday notions were projected. Third, the poems for the education of people were various in manner: some of which were simple like the prose and some of which were difficult due to metaphors or symbols. In conclusion, Hae-Keun's poems always reflected his thought and view of world so that there were no exceptions which did not contain the Zen truth. But in his poems, there were also many expressions of his personal impressions and experience, which, I think, was due to his Zen thought. And he changed his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readers' individuality or ability. Therefore I could not find the stereotyped expression which is common when the thought is expressed in the Literature, and I think his Zen thought rather increased the depth of the literary expression. After the analysis of his poems, O dealt with the contact between the monks including Hae-Keun and the persons of high birth, Sa-Dae-Bu, in the late Korea dynaty and their tendency to the Zen. Though the persons dealt with in this paper were only those who had some contacts with Hae-Keun directly or indirectly, their love of the Zen was far deeper than which was generally known, and they exchanged poems with most of the Zen monks who were also poet monks. So the deep influence of the Zen poetry to the Sa-Dae-Bu literature was able to be inferred from the above facts. Consequently, the Zen poetry can be a clue for finding the traditional basis of Buddhistic thought in our poetic literature extending to the modern poems of Midang SEO, Jung-Ju or JO, Jee-Hoon. I think it is a future subject to study how the Zen poetry has influenced to the Sa-Dae-Bu Literature, and it will be helpful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the Zen poetry in our poetic literature/s history.;本 稿는 최근에 활발해진 高麗의 禪詩 硏究에 힘입어 懶翁 慧勤의 詩世界를 고찰하였다. 慧勤은 性理學의 도전과 自體內의 모순으로 쇠퇴일로를 걷던 高麗 佛敎의 명맥을 유지하고 復興시키고자 노력했던 高麗末 禪宗系 僧侶로, 우리에게는 歌辭來學의 효시로 더욱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禪詩에 대해서는 단편적으로 연구되어 있을 뿐이어서 작품 전체를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慧勤의 詩 전체를, 內面世界를 形象化한 詩, 自然을 受容, 表出한 詩, 大衆敎化의 詩로 大別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內面世界를 形象化한 詩群은 自我의 發見, 修道者의 覺의 境地, 그리고 禪의 世界觀을 表現한 것으로, 禪理論과 思想에서 원용한 단어로 인해서 詩語의 상징이 돋보이고 깊이 있는 容을 드러내었다. 또한 超俗的 世界를 그려내기 위해서 逆說的인 표현을 사용하여 강렬한 느낌을 주었다. 둘째, 自然을 受容, 表出한 詩는 一般文士들의 漢詩에서 나타나는 자연이 情緖나 人間事의 想念이 移入되어 표현된 것과 달리, 無念의 상태에서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감각하여 禪的 開悟를 얻는 禪僧들의 독특한 自然意識을 반영하고 있었다. 셋째, 大衆敎化의 詩는 산문을 줄여놓은듯한 평이한 詩로부터 고도의 비유나 상징을 사용한 詩에 이르기까지 다양함을 보였는데 이것은 詩를 읽는 사람을 고려했기 때문인듯 하였다. 詩世界 고찰 결과, 慧勤의 詩는 단순한 美的 形象化가 아니라, 그의 思想과 世界觀의 表現인 고로 禪理가 내포되어있지 않은 경우는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修行者, 學人들의 個性과 능력에 따라 수행 방법을 달리하는 慧勤의 禪思想의 반영인 듯 그의 詩에는 個人的인 感動과 體驗의 表現이 많다. 따라서 종래 佛敎文學의 論議에서 우려되었던 점, 즉, 思想이 文學으로 表出됨으로석 초래되기 쉬운 고정적이고 상투적인 表現은 찾아볼 수 없었으며, 오히려 그의 詩에서 禪思想은 文學的인 表現의 深度를 강화시켰다. 詩分析에 이어서 慧勤을 中心으로 한 禪僧과 麗末 士大夫의 交遊와 그들의 禪趣向을 살펴보았다. 그 대상이 慧勤과 직접, 간접적으로 연결지워지는 士大夫에 限定되기는 하였지만 그들의 禪愛好는 일반적인 생각보다는 훨씬 깊은 경지에 있었고 그들과 交遊했던 禪僧들은 대부분 詩僧들로서 상호간 時文의 교류가 있었다는 사실로 士大夫 文學에 禪詩의 파급과 영향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禪詩는 現代의 미당 서정주나 조지훈의 詩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詩文學에 배태되어온 佛敎思想의 傳統的 脈絡을 찾는데 하나의 단서가 될 수 있다고 본다. 禪詩의 영향이 士大夫 文學에 어떠한 결과를 가져왔는지 그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며 이것을 통해 詩文學에 있어 禪詩의 의의를 확고히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硏究目的 = 1 B. 資料槪觀 = 6 Ⅱ. 懶翁 慧勤의 生涯와 思想 = 7 A. 生涯 = 7 B. 思想의 形成 = 12 1. 指空과 平山의 영향 = 13 2. 臨濟禪의 受容 = 18 Ⅲ. 懶翁 慧勤의 詩世界 = 23 A. 內面世界의 形象化 = 26 1. 自我發見의 詩 = 26 2. 깨달음의 詩 = 36 3. 超越의 詩 = 44 B. 自然의 受容과 表出 = 52 1. 禪僧의 自然意識 = 52 2. 自然의 表現 = 61 C. 大衆敎化 = 72 Ⅳ. 慧勤과 麗末 士大夫文學과의 관련양상 = 81 A. 麗末 士大夫의 佛敎受容 = 84 B. 慧勤과 麗末 士大夫의 禪趣向 = 94 1. 이녑을 위시한 麗末 士大夫 = 95 2. 益齋 李齋賢 = 100 3. 牧隙 李穡 = 108 4. 陶隱 李崇仁 = 116 Ⅴ. 結論 = 125 參考文獻 = 128 ABSTRACT = 1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601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나옹-
dc.subject혜근-
dc.subject한국시-
dc.title懶翁 慧勤의 詩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Naong Hae-Keun's Zen Peoms-
dc.format.pagevi,14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