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0 Download: 0

우리나라 索引誌에 對한 硏究

Title
우리나라 索引誌에 對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INDEXES AND INDEXING IN KOREA
Authors
朴文子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Keywords
색인지2차자료도서관문헌정보학색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is an age in which enormous amount of information is flooded with the speed of geometrical progression. In this profusion of information, the use of secondary information sources through which one can find the necessary materials has become inevitable. Indexes and abstracts are the most important secondary information sources. They help the library users to identify the position of materials and to avoid studying over again on the subject which someone has already studied. In Korea, the indexing system still remains in the period of beginning stage. It started to appear in 1945 and gradually moved on in the 1960's. In this study, the writer has attempted to study the indexes and indexing in Korea. The chapter one states the definition of index, its significance, research method and the needs of study. Chapter two describes a brief history and method of indexing and the kinds of indexes. In chapter three, indexing systems in other countries are studied with respect to their scope and coverage, frequency, entry, arrangement and special features according to types: such as periodical indexes, newspaper indexes, book reviews, serial indexes, concordances, indexes of indexes, and nonbook material indexes. The indexing systems in Korea is studied in the chapter four, and a comparative study is given. In concluding the study, the writer has proposed the following 5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indexing system in Korea. 1. More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subject area of indexing. 2. The need of a cumulative index in the country is urgent. 3. The frequency of the national periodical index should be a monthly instead of a quarterly. 4. The national periodical index should be a general nature rather than a scholarly one. 5. International standard of indexing systems should be adopted.;오늘날에 있어서는 各種 情報資料의 幾何級數的인 增加로 인하여 知識情報가 폭발상태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은 情報의 洪水 상태 속에서 必要한 資料를 迅速하게 찾아내기 위하여 2次資料의 사용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索引은 硏究者나 學者에게 必要한 資料의 有無와 함께 出處를 提示해 주며 나아가서는 硏究의 重複도 防止하여 주므로 迅速한 學術硏究에 도움이 되는 圖書館 2次資料 中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索引은 解放 以後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나 本格的인 索引事業은 1960年代에 와서 시작되었다. 本 硏究에서 筆者는 우리나라의 索引事業에 對하여 考察하기 위하여 第1章에서는 硏究의 必要性, 索引의 定義, 硏究의 意義 및 硏究方法 등을 記述하였다. 第2章에서는 理論的 背景으로서 索引의 發達, 種類 및 作成法 등을 기술하였다. 第3章에서는 外國의 索引 現況을 考察하기 위하여 索引에 포함되는 資料의 形態에 따라서 雜誌記事索引, 新聞索引, 書評索引, 叢書全集索引, 要語索引, 索引의 索引 및 特殊資料에 對한 索引으로 나누어 各 索引의 收錄範圍, 刊行頻度, 索引項目의 記述과 排列方法 및 특징을 살펴 보았다. 第4章에서는 우리나라의 索引 現況을 比較 考察하여 問題點을 지적하였다. 第5章의 結論 부분에서는 우리나라와 外國의 索引 現況을 比較, 考察한 結果로서 앞으로의 우리나라 索引事業 發展에 도움이 되고져 다음과 같이 提言하였다. 첫째, 各 專門分野에 對한 主題別 索引을 發刊하여야 한다. 둘째, 累加索引의 發刊이 必要하다. 셋째, 정기간행물기사색인의 刊別을 月刊으로 하여야 한다. 넷째, 정기간행물기사색인은 學術的인 資料는 물론 一般的인 것까지도 索引에 포함시켜야 한다. 다섯째, 索引作成에 있어서 國際的인 基準을 따라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사서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