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效率的인 學習環境으로서의 學校圖書館 計劃

Title
效率的인 學習環境으로서의 學校圖書館 計劃
Other Titles
(A) Study for the problems of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school library : with the emphasis on the school library facilities as a media center
Authors
朴嬉
Issue Date
197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Keywords
학습환경학교도서관고등학교 도서관시설계획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Ever since the first school library was set up in Korea about 30 years ago, there have been plenty of developments in school library history as a result of great efforts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library by the authorities concerned. It is assumed that the field of school library ranks first in this country purely in terms of its numbers established. However, given the fact that such an increasing number of school libraries in this country cannot be said necessarity to represent an advancement of its quality, much more concern for the enrichment of its content is considered pressing. We have winessed a great deal of progress made in our society, and the rapid growth in the field of publication makes it possible for us to enjoy abundant amount of printed materials The fact that we have too much publication, if not much for the younger generation, means a close-knit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kinds of library system. So, providing that the school library of high school may benefit from financial assistance by some kind of association, there'll be no difficulty in the service of school library for the students with its reading materials. Thus some school libraries already initiated an active campaign to facilitate reading skills on the part of the students. In 1978, they started to establish a reading course as a part of school curriculum, the purpose of which is to enable young students to imbibe tender sentiment and retrieve impaired human nature in our study through their improved reading skills. The function of school library is the most desirable of its services. Bu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a convenient and comfortable reading environment seems to have been given no detailed discussions among the school authorities, though completely not in its kind. In fact such fundamental requirements as school librarie's minimum facility standards have been proposed, but failed to attract proper concerns. Presently nearly all school libraries are being converted into somewhat degraded places mainly for the preparation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work. - this sad situation, runs counter to the spirit of school library's service. It is required of us, the librarians, to induce the young students to make best use of the school library by putting fundamental school library environment in good order rather than merely giving instruction of how to use school library. Today instruction materials in school library does not fulfills its function only through the collection of books in shelves. The current international trend of the educational reformation movement places strong emphasis on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by way of best using the individual characters of students while providing them with ample opportunities to carry on their own independent school assignments with the help of various sources of library collection. This trend recommends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n the basis of free choice of learning materials and means, and rejects the traditional cramming method in teaching. Modern school library already experienced its renaming from the "school library to" the media center in the early 1960s. Here the term "center" means convergence or concentration, and "media" is interpreted as comprehensive and synthetic covering of materials, which involve whatever sources that are required by all students as well as teachers. Of course, this changing context of the present world-wide school library system doesn't fit our nation's educational reality, but we can not turn our back from its prevailing influences any more. The compatibi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s determined by the degree of efficient learning and teaching environment. The term "environment in general is often misunderstood as a physical condition, but it should be rather considered as involving in its term both soci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The learning environment is a synthetic organization which constitutes external and stimulative variables with the ultimate instructional influences on an individual. Therefore the facilities of school library with its emotional surroundings in mind will inspire library utilization mentality into young students in their early development stages, and a genuiwine experience of the school library will be surely a life-long impression in their way of life. So the importance of good environment of school library of high school in particular, along with a great store of library materials as the sources of its basic service can not be too over-emphasized. Now, the ultimate goal of my research paper centers around the problems deriving from school library facilities - the scene of education with a number variables which consists of (1) educational process, (2) curriculum, (3) teaching method (4) learing material, (5) and, last but not least, financial means. At present, we are confronted with unexpected challenges that threatens the above mentioned educational factors, that is none other than the widening gap of scholastic ability of students after high school leveling policy enactment took its effect in the late 1960. With this present partly bad result of the school standardization in mind. I tried to present some solution of it by placing emphasis on improving our school library facilities and its environment.;우리나라 최초의 학교도서관이 설립된지 약 30년 동안 관계자나 관계기관의 노력의 결과로 많은 학교도서관이 설립 되었고 발전 하였다. 한국도서관 협회의 통계를 보더라도 전국적으로 도서관수가 제일 많은 분야가 학교 도서관이다. 이러한 양적인 증가가 질적인 발전과 반드시 정비례 하지 않으며 앞으로는 그 숫자가 내용의 충실에 중점을 두어 학교도서관의 발전을 기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동안 우리나라가 각분야가 기능별로 많은 발전을 거듭하였으며 또한 출판분야의 발전으로 많은 책들이 간행되어 나오고 있다. 그중에서 청소년만을 염두에 두고 기획, 간행된 책은 많지 않다고 하더라도, 출판량이 많다는 사실은 각종 도서관의 발전과도 긴밀한 관계가 있다. 그러므로 어느정도 재정적인 보조만 있다면 고등학교 도서관에서 학생들에게 도서자료를 구비하여 비교적 적극적인 독서지도를 하고 있다. 1978년 부터는 문교부 장학방침중에 독서의 장을 넣어 단계적으로 각학교에서 교과시간표에 독서시간을 설정하여 전국적으로 독서에 의하여, 청소년들의 정서를 함양하고 기계화된 사회구조 속에서 인간성의 회복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독서운동을 추진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의 독서기능이야 말로 가장 바람직한 봉사기능이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청소년의 독서지도나 독서자료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논의와 안건의 제시되었지마는 도서관 환경 즉 시설문제에 대해서는 크게 논의된바 없으며, 물론 학교도서관의 해당 기관에서는 학교도서관 시설기준과 같은 기본적인 조건은 제시하였지마는, 현재 고등학교 도서관은 완전히 시험공부 준비장소와 같은 용도로 쓰이며 본래의 도서관봉사의 목적에 맞는 시설을 갖춘 학교는 거의 없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학교도서관을 이용함에 있어 백번의 도서관 이용교육지도 보다도 그들의 학습하고 독서할 수 있는 학교도서관 본래의 시설환경을 정비하여 그들의 도서관이용을 촉진시켜야 한다. 또한 학교도서관의 학습자료는 이제 도서자료 만으로는 부족한 시대에 이르고 있으며 특히 세계의 현대교육개혁의 사조는 학생들이 개성을 강조하는 학습방법의 개선과 그에 따르는 학습자료의 다양성을 들어 학생 개인차에 따라 스스로 연구할 줄 아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지상의 과제로 삼고 있다. 그리고 교사가 중심의 되는 학습방법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자기 인성에 맞는 교육자료와 방법을 스스로 선택하여 연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 학교도서관의 명칭은 이미 1960년대 초에 school library에 media center로 바뀌어 졌다. 여기에서 「center」라 함은 한곳으로 모인다는 뜻을 가지며 「Media」는 학교도서관의 자료가 종래에는 도서(인쇄매체)를 의미하였지마는 이제는 그 자료가 다양하여 졌음을 뜻하며, 학생들이 어떤 원리를 추구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의 되는 모든 학습자료를 말한다. 물론 이러한 학교도서관의 변화는 우리나라의 실정에는 맞지 않는다고 하더라고 세계적인 추세는 그러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우리도 이를 묵과할 수는 없다. 교수-학습활동은 학습장면 또는 학습환경의 적부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며, 학습환경의 적부에 따라 교수-학습의 효과가 좌우된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환경이라고 하면 물리적 조건을 지칭하는 수가 많으며, 개인의 타고난 인성이외의 외적조건으로서 환경은 심리적, 사회적인 제조건이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학습환경은 학생의 학습에 영향을 주는 학생외적 모든 조건이라 할 수 있으며 학습환경은 학습활동을 촉진시켜주는 것이어야함은 말할것도 없다. 교육환경은 개인에게 교육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외적조건 및 자극의 총합적인 구조와 작용이다. 그러므로 학교도서관의 시설과 정서적인 환경은 청소년들에게 도서관 이용심리를 자극시키며 청소년 시기의 바른 도서관 경험은 한 학생의 일생동안 도서관 이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도서관의 환경과 시설이 도서관자료와 더불어 중요한 봉사의 요인이 되며, 효율적인 도서관 봉사를 위한 도서관 시설문제에는 근본적으로 교육과정, 교과과정, 학습방법, 학습자료, 재정의 지원 등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위주로 하여 학교도서관계획에 관하여, 특히 시설(환경)문제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고찰이 절실하다고 느껴지는 것은 고등학교 평준화 이후 학생들의 학력차이 때문에 일선교사들은 애로는 겪고 있으며, 특히 각학교 도서관의 이용자 통계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학습지진의 상태를 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길을 연구하여야 하며, 이에따라 학교도서관의 자료와 시설이 개선되어야 함이 요구된다. 세계적인 새로운 교육의 사조는 학생들이 학습이 점점 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바뀌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우리나라의 현시점에서 살피고 연구하여 보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사서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