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자재장식 백화점 판매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자재장식 백화점 판매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Marketting Environments of the Material decoration department stores
Authors
김연희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자재장식백화점판매환경 디자인interior실내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and requested that the department store, which plays the major role in the domestic circulation system, should be itemized or specialized with the present on-going situations such as cutthroat competitions within corporations, various patterns of consumer's life, and a general tendency of individualization of consumer's desire. So the specialized department stores equipped with specialization of selling items and unique management strategy have been appeared and embodied. The word environments for the interior related goods are forcefully required. The paper shows how the specialized department store can give psychological satisfaction to consumer and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to the industry by providing the space for informations and new images of selling items rather than a conceptional space for selling, that is main object of a department store. The procedures of sales circumstance design for the specialized interior dempartment store has been studied as following ; THEORETICAL STUDY 1. After scrutinizing the general character of department store as one of circulation system, the functional aspects of department store as a physical factor of circumstance and the technical problem of its space design is theoretically examined. 2. Design criteria have been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decisive factors in sales circumstance of department store in psychological and marketting management aspects. ㆍ The improvement of the interior of department stores was thought to be required through the full understanding of conception of life style, personal behavior and the processing selecting a store in the psychological aspects. ㆍ The realization of total image i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maximization of profits in view of marketting management. The design criteria has been analyzed and established for that necessity. PRACTlCAL STUDY 3. Problems are listed by comparison and analysis d marketting area, managing format and sales circumstances through the site investigation of the domestic material department store. ㆍ Systematic and consistent management is necessary with the classification of the material into the architectual material and interior accessory material departments. ㆍ Specialization of department store should be urgently performed for the consumer in order to recognize easily the selling items through the name of the department store. ㆍ Visual display according to the Store Concept should be considered in space design as a marketting strategy beyond the space of simple exhibition gallery. 4. The design criteria have been determined based on the practical investigation and theoretical study and design concept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ales circumstances has been suggested.;국내유통업계의 중심이 되고 있는 백화점은 기업상호간의 치열한 경쟁과 소비자 생활패턴의 다양화, 소비자욕구의 개성화 추세에 따라 특색있는 백화점으로서의 차별화, 혹은 전문화의 경향을 띄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취급상품의 전문성과 독특한 경영전략에 의한 전문백화점들의 출현이 부각되어지고 있다. 'INTERIOR' 라는 용어 또한 많은 대중에게 친숙한 것이 되었으므로 이 분야도 독자성을 띈 전문적인 유통환경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인테리어 전문백화점의 근본적인 기능인 상품판매를 위한 단순한 공간개념을 넘어 고객에게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새로운 이미지를 제공하는 공간으로서, 시각적 체계를 통해서 소비자에게는 심리적 만족을 주고 기업측은 경영합리화를 이루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인테리어 전문백화점의 판매환경 디자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론적 연구로서 1. 유통환경 측면에서 백화점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백화점 판매환경을 통하여 물리적 환경요인으로서의 기능적 측면과 공간구성의 기술적인 문제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2. 백화점 판매환경의 기준이 되는 결정요인을 심리적인 측면과 경영마케팅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디자인 기준을 설정하였다. ㆍ 심리적 측면을 통하여 라이프 스타일의 개념과 소비자행동, 상점선택과 그 과정을 파악 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백화점 판매환경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ㆍ 경영마케팅적 측면을 살펴 봄으로써 이윤 극대화를 위한 통합 이미지 구현이 절대 필요한 것이며 그러한 맥락에서 디자인의 기준을 분석 종합하였다. 실제적인 연구로서 3. 국내 자재장식 백화점을 대상으로 그 현황을 조사하여 상권형성과 운영형태 및 판매환경을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와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ㆍ 자재장식 백화점은 건축자재 백화점과 인테리어 장식백화점으로 세분화시켜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운영이 필요하다. ㆍ 모든 판매나 고객서비스 및 상품에 대한 홍보는 백화점의 이름을 보고 이루어질 수 있는 백화점 전문화가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 ㆍ 단순한 전시장 형식에서 벗어나 판매전략의 일환으로서 스토아 컨셉(Store Concept)에 따른 시각적 연출이 고려되어져야 한다. 4. 이러한 이론적 고찰과 실제적인 조사 결과를 기초로 하여 디자인 기준을 정하고 백화점 판매환경의 질적가치를 향상시킨다는 측면에서 설정된 대상을 통하여 디자인안을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