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吳虎英-
dc.creator吳虎英-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5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5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5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500-
dc.description.abstractMaps are the most important to the study of geography the middle school. The atlas contains maps, illustrations and graphs which are essential to geography, and so the atlas is very important in the classroom of geography. For this, only whe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have something to do with those of the atlas, the use of the atlas will be helpful. According to the 4th curriculum for the middle school education, there are five kinds of the atlas This attempted to study the content construction of its, and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content of the atlas has been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at of the 3rd curriculum. But it is more percentage of color-printed parts than before. 2. In the composition of color-printed parts, the ratio of world geography part is the most. The ratio of history parts is as much as that of geography of Korea.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geography of Korea corresponds with that of chapters of text-book. But five kinds of atlas dont t correspond in the composition of maps in the geography of Korea. 3. The atlas is composed of maps, illustrations and graphs, but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each atlas in case of the content. 4. If I classify the maps of geography of Korea parts into general maps and thematic maps, the content of thematic maps are much more than that of general maps. Furthermore, if I classify the maps into total maps and partial maps, there is the atlas with no partial maps. 5. The analysis of each chapter about thematic maps is classified into 'Provincial Lives', 'Natural Environments and Industrial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our Territory and Problems'. Compared with the textbook, some atlases have nothing to do with the text-book, so we should be careful to choose the atlas. 6. In case of place names, the place names in the atlas are five times as much as those in the text-book. And in all of five kinds of atlas some place names which are dealt in the text book are not dealt.;國土地理學習에서 가장 중요하고 중심을 이루는 資料는 地圖이다. 社會科附圖에는 國土地理의 基本內容을 視覺化한 地圖와 寫眞, 그래프 및 統計資料 등을 수록하고 있어 附圖가 地理授業의 敎育現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대단히 크다. 따라서, 바람직한 附圖의 活用은 敎科書와 附圖의 內容이 連繫가 잘될 때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附圖가 附圖로써의 技能을 다할 수 있다. 現行 中學校 社會科附圖의 問題를 파악하기 위하여 敎科書와의 連繫를 검토한 후, 앞으로 편집될 附圖의 內容에 필요한 參考資料를 제시하고자 한다. 第4次 敎育課程에 의한 現行 檢認定 附圖를 敎育現場에서 사용하며 발견한 문제를 중심으로 5種의 附圖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現行 附圖는 3次 敎育課程期의 附圖에 비하여 量的인 감소를 보였으나, 색도인쇄로 된 地圖面의 비중은 커져 視覺的인 敎材로써 附圖의 의미를 더해주고 있다. 2. 國土地理에 관한 附圖의 內容은 「사회1」敎科書의 單元構成과 일치하지만 單元別 紙面 構成은 附圖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3. 地圖面의 內容은 地圖와 寫眞,그래프로 구성되었는데 內容의 編輯과 構成에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中學校 敎材로써 附圖에 수록될 地圖나 寫眞. 그래프 등의 종류와 크기 및 적정수에 관해서는 계속 연구될 과제이다. 4. 國土地理分野에 수록된 地圖를 一般圖와 主題圖로 구분하면 主際圖가 훨씬 많다. 또한 地圖에 표현된 地域의 범위에 따라 總圖와 部分圖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우리 나라 각 지방에 해당되는 一般圖의 部分圖가 전혀 없는 附圖도 나타났다. 5. 主題圖에 대한 內容 分析은 敎科書의 單元別로 하였다. 附圖와 敎料書 內容의 連繫를 분석 비교한 결과 附圖의 內容 선정과 편집에 불균형 상태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敎育現場에서 검인정 附圖를 선택할 때 附圖의 內容 比較를 통하여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6. 地理敎育內容에 구체성을 주는 地名은 敎科書에 수록된 336개의 地名보다 附圖에 수록된 附綠의 索引 地名이 5배로 훨씬 많다. 그러나 5種의 附圖에는 敎科書에 실린 地名 漏落을 보이고 있다. 적어도 敎科書에 나온 地名만큼은 附圖에 제시되어야 한다. 附圖가 敎科書의 補助資料로써 技能을 다하려민 附圖의 內容이 敎科書와 連繫가 잘 되어야 한다. 또한 敎科書와 附圖를 따로 만들것이 아니라 같은 著者가 책임지고 집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ⅶ Ⅰ. 緖論 = 1 A. 問題의 提起,타 硏究目的 = 1 B. 硏究 範圍와 硏究 方法 = 3 Ⅱ. 社會敎科의 理論的 背景 = 5 A. 中學校 敎育課程開發 = 5 B. 社會科 地理敎育의 目的 = 8 C. 國土地理 領域의 目標 = 9 D. 地理의 基本槪念 = 10 E. 地理敎材로써의 社會科 附圖 = 11 Ⅲ. 社會科附圖의 比較 硏究 = 14 A. 體制와 構成 = 14 B. 國土地理分野의 構成 = 16 1. 紙諦 構成 = 16 2. 內容 構成 = 17 3. 地圖 構成 = 22 C. 單元別 分析 = 24 1. 향토의 생활 = 25 2. 우리나라 각 지방의 생활 = 30 3. 우리나라의 자연환경과 산업 활동 = 34 4. 국토 개발과 당면 과제 = 44 D. 地名 = 46 1. 敎科書의 地名과 附圖의 附綠 索引 地名 = 46 2. 敎科書의 地名 類度와 附圖 地名 = 51 Ⅳ. 結論 = 55 參考文獻 = 57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893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사회과부도-
dc.subject국토지리학습-
dc.subject지리교육-
dc.title中學校 社會科附圖의 比較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國土地理分野를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COMPARTIVE STUDY FOR SOCIAL STUDY'S ATLAS USING IN THE MIDDLE SCHOOL : PART OF KOREA-
dc.format.page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지리교육분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