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張徵順-
dc.creator張徵順-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2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4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5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489-
dc.description.abstractIt's true that My country has been called a cultural nation since old times and that the standard of culture is high. The culture includes a behavior pattern and a way of life, several human ability to be Learned which we can see all aspect of social life-art and science, religion and morality, law and custom. Among them, the art of a nation is a standard of value for the nation and reflect the spirit of the country people. The traditional Art is molded by the people they are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and it contains the straight life feeling of our people. Especially, since the folk dance is itself the art of life expressing the life feeling of the people, it is the special traditional culture which express the emotion, this view of value, the sense of our people well. Therefore, the Korean folk dance is an apt material for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Korean Image to inform the Korean culture. The Art of a nation manifests the sense of beauty held by the country people. This sense of beauty is the cultural product of a nation molded in the same climates, economic and social systems and the same thoughts, religious conditions during communal living. Accordingly, in these environments our people has made the renunciational optimism adapting to the realities and the natural, unartificial thoughts. And in these senses, we know that 'Being natural of adapting to the naturel', 'The Beauty of line', 'The Beauty of Liveliness (Strength)' and 'flavour' are the important sense of beauty in our country. This sense of beauty show the dance surrounding in the folk dance and the unartificial simple beauty of nature, the beauty of humour, the beauty of strength, the beauty of Line in the clothes and musical instrument. We know that this sense of beauty of humour is being disclosed over all our life and that the sense of beauty of Korean people is running as a consistent vein in the molding objects-the architectures , the ceramic wares, the industrial products. The sense of beauty exposed over all activity of Korean people is not the certain concrete objects, but the concept of sense included in the objects, that is, the Gestalt of Image Accordingly, something can be called a thing of Korean if it's endowed with the sense as we have said above. Therefore, I tried to put the sense into the culture poster , making the culture poster expressing the image of Korean As the way, I made use of the space construction with an un-filled space, the natural lines full of elegance, the original colors in the main current of black and white, the Korean let-ter in arranging the formative element visually. In consequence of this study, we can have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Image, only when the original sense included in the objects and the stream of our sense these days are on the par of the same concept as the present concept with eternity described by Lewin. And we can have the establishment of our unique expression with subjecthood, only when we try to ex-tract the things of Korean from the thing of orient, comparing the expression of the Korean Image with those of the West. Now that the world is being narrow and the tradition is being charged and lost , many graphic designer leading the visual culture have to study our culture from all viewpoints and connect the result of the studies with design. I finished my paper here, expecting that my study shall be of small service to this field.;예로부터 우리나라는 文化民族이라 불리어져 왔고 그 수준 또한 높은 것이 사실이다. 학문과 예술, 종교와 도덕, 법률과 관습 등 사회생할의 모든 측면에 나타나는 人間의 습득 가능한 여러가지 능력과 행동양식 및 생활방식은 文化의 범주에 속한다. 그 중에서도 한 나라의 예술은 그 나라의 가치척도가 되는 것이며, 藝術 속에는 그 나라 국민의 의식이 반영된다. 民俗藝術은 국민의 기층을 이루고 있는 民衆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 속에는 우리民族의 솔직한 생활감정이 응해되어 있다. 특히 民俗舞踊은 그 전체가 民族 生活感情의 표현인 生活藝術이기 때문에 그 속에는 우리민족의 정서, 가치관, 의식이 잘 나타나고 있는 고유한 傳統文化이다. 그러므로 한국 민속무용은 한국文化를 알리려는 '한국적 이미지 '의 視覺的 表現에 적합한 소계이다. 한 나라의 藝術은 그 나라 민족이 지니고 있는 미의식의 발현이다. 이러한 미의식은 같은 풍토, 경제, 사회제도, 사상 및 종교적 배경 속에서 공동생활을 하는 동안에 이루어진 한 民族의 文化的 소산이다. 따라서 우리 민족도 이러한 배경 속에서 현실순응의 체념적 낙천철학과 자연적인 것, 인공·인간 도피적 관념을 형성하였으며 이러한 의식 속에서 우리 한국인에게는 '자연순응의 자연스러움 ', '線의 美', '생명력 ( 힘 )의 美 ', ' 멋 '이 주요한 미의식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미의식은 민속무용에 있어서도 춤사위, 의상, 악기 등에 있어 작위적이지 않은 소박한 자연미, 해학미, 힘의 미, 선의 미로 나타나고 있다. 또 이러한 미의식은 생활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으며 건축, 도자기, 공예품 등 造形物에도 한국인의 미의식이 일관된 맥으로 흐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인의 모든 활동에 걸쳐 나타나는 이러한 미의식은 어떤 구체적 대상이 아니라 그 대상들에 담겨진 의식개념 즉 이미지의 게슈탈트인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적'인 것이란 위에서 살펴본 의식이 부여된 것이면, 한국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한국적인 이미지가 표출되는 文化 포스터를 제작함에 있어, 이러한 의식이 담겨지도록 노력하였다. 그 방법으로 포스터의 조형요소를 시각적으로 배열하는데 있어 여백이 있는 공간구성, 자연스러우면서도 氣韻이 넘치는 선의 사용, 흑백의 주조 속에 원색의 사용, 한글 문자의 사용 등으로 한국적인 이미지가 표현되는 포스터를 제작하려 하였다. 한국적인 이미지는 위와 같은 모든 조형요소의 결합이 한국인 의식의 표현이 될 때 가능하며, 또 그 표현은 서양과 비교하면서 東洋的인 것 속에서 한국적인 것을 확립해 나갈 때 우리 고유의 주체적인 표현이 확립되리라 생각된다. 세계가 급속히 좁아지고 전통의 변화·상실이 일어나고 있는 지금 한국의 視覺文化를 이끌어갈 많은 그래픽 디자이너들이 더 폭넓은 각도에서 우리의 文化를 연구하고 이를 시각표현과 연결시켜야 하겠으며, 본인의 연구가 이 분야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바라며 이 글을 마치려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ⅵ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범위 및 방법 = 2 Ⅱ. 理論的 背景 = 3 A. 民族-文化- 舞踊 = 3 1. 民族과 文化 = 4 2. 民俗文化와 舞踊 = 6 B. 韓國人에 있어 民俗舞隔 = 9 Ⅲ. 韓國人의 美意識 = 15 A. 韓國人의 美意識 형성요인 = 16 1. 風土的 背景 = 16 2. 經濟構造 = 19 3. 社會制叢 = 21 4. 思懲ㆍ宗敎的 배경 = 22 B. 韓國人의 美意識 = 28 1. 韓騷 民俗舞蹄에 나타난 美意識 = 28 2. 韓國人의 造形意識 = 37 Ⅳ. 作品 展開 및 表現 = 45 A. 作品 展開 = 45 B. 作品의 表現 = 52 Ⅴ. 要約 및 結論 = 62 參考文獻 = 64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846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민속무용-
dc.subject시각적 표현-
dc.subjectFOLK DANCE-
dc.subject전통예술-
dc.title韓國 民俗舞踊의 視覺的 表現-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VISUAL EXPRESSION OF THE KOREAN FOLK DANCE-
dc.format.page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광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