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8 Download: 0

중학교 영어 수업에서 교사의 영어와 모국어 사용 정도에 따른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비교

Title
중학교 영어 수업에서 교사의 영어와 모국어 사용 정도에 따른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비교
Other Titles
Research on Students' Achievements According to the Teacher's Use of English and Korean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Classroom
Authors
이석영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Keywords
중학교영어 수업영어교육학업 성취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tudies and research on effective English teaching methods in EFL classes have increased since 1950s. Since then, the concept that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has been taken for granted. In Korean EFL situations, students hardly have the chance to speak and listen to English outside the classroom. Because a large portion of the input given to students consists of classroom English, it would seem that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could provide students with much input and make the class more effective. But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only in class may be a cause for more anxiety and discomfort for beginning level students during clas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students' achievements of the four skills -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students' change in affective variables - attitude and confid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use of English and Korean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classroom. The subjects were 259 first grade students at a girls' middle school.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with an English textbook in Korean only, the experimental group I was taught in English only and the experimental group Ⅱ was taught in both Korean and English. After the experiment, the students' test score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with the two experimental groups, the contro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reading test. Second, the control group and two experimental groups improved in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But it was noticed that the two experimental groups had more natural pronunciation and responses to the teacher during the experiment. Third, comparing experimental group I with experimental group Ⅱ,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But experimental group I showed more improvement than experimental group Ⅱ in listening, speaking, and reading. Fourth, the lower level students' achievement in reading and speak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ow much the teacher used English and Korean. The lower level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improved more in reading and the lower 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improved more in speaking. Fifth, the students' attitude and confidence didn't display significant change but experimental group I showed a little more positive attitude and more confidence.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 The teacher should use English and Korean in classes depending on what skill he or she teaches because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re beginners in English learning, Especially, students may benefit from a teacher's using Korean properly in reading class for translations and the explanation of sentence structures can help students with reading comprehension.;영어가 모국어가 아닐 때 교실 수업에서 어떤 언어를 사용하여 가르쳐야 더 효과적일 것인가에 대해서는 교수법에 따라 견해를 달리한다. 일반적으로 영어 수업은 영어로 지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견해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진다. 특히, 한국과 같은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상황에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업 시간 외에는 영어를 접할 기회가 거의 없기 때문에 수업 시간에 영어를 사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면 학생들에게 많은 영어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영어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반면, 중학생과 같이 영어 능력이 초급단계인 학생들에게 영어 입력을 수업시간 내내 제공하게 되면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게 되어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 흥미와 학습 동기를 잃게 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영어 수업 시간에 교사가 영어를 어느 정도 쓰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리말로 수업을 진행한 집단을 통제집단으로, 영어만으로 수업을 진행한 집단을 실험집단 Ⅰ로, 영어와 우리말 사용을 병행한 집단을 실험집단 Ⅱ로 나누어 각 집단의 수업 방법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평가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영어와 영어 수업에 대한 태도 및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16주간 수업을 진행한 결과 첫 째,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Ⅰ, 실험집단 Ⅱ를 비교했을 때, 읽기 평가의 경우에는 통제집단이 실험집단 Ⅰ, 실험집단 Ⅱ보다 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즉, 우리말로 진행하는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모국어로 제시된 선다형 질문이 주가 되었던 읽기 평가에서 다른 두 실험집단보다 더 많은 향상을 보였다. 이는 학습자들에게 우리말로 수업을 진행한 것이 읽기 이해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둘째, 읽기를 제외한 듣기, 말하기, 쓰기 평가에서는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는 않았다. 단, 말하기 평가에서 실험집단 Ⅰ과 통제집단의 성취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p값이 .06으로 영어만을 사용했던 실험집단 Ⅰ이 우리말을 사용했던 통제집단보다 어느 정도 더 나은 성취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험집단 Ⅰ과 실험집단 Ⅱ의 4기능 평가 결과를 비교했을 때, 두 집단의 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즉, 수업 시간에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나 영어와 우리말을 병행하여 수업하는 경우나 학생들의 성취도에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집단별로 달리한 수업 방법이 각 집단의 상위권·중위권·하위권 학생들에게 미친 영향을 알아본 결과 상위권이나 중위권 학생들에게는 집단별 처치가 각 기능의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그러나 통제집단의 하위권 학생들의 경우 읽기에 있어서 실험집단의 하위권 학생들보다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실험집단 Ⅰ의 하위권 학생들의 경우에는 말하기에 있어 통제 집단이나 실험집단 Π의 하위권 학생들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다섯째, 학생들의 영어 및 영어 수업에 대한 태도와 영어에 대한 자신감은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고 학생들의 성취도와도 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까지의 실험 결과를 볼 때 현장교육에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영어를 가르칠 때 기능에 따라서는 영어와 모국어를 적절하게 이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읽기의 경우, 중학교 1학년과 같은 초급단계의 학습자들을 가르칠 때 우리말 사용을 병행하여 번역과 문법 설명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가르치게 되면 학습자들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하위권 학습자들의 경우 교사가 어떤 교수 언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른 학생들에 비해 성취도에서 더 큰 차이를 보였듯이, 말하기 능력 향상에 중점을 준 수업인 경우에는 영어로 수업을 하고, 읽기 능력 향상에 중범을 둔 수업인 경우 우리말로 수업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