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0 Download: 0

꽃의 Image의 형상화에 관한 연구

Title
꽃의 Image의 형상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IGURATION OF FLOWER'S IMAGE
Authors
김문실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염색디자인전공
Keywords
Image형상화염색공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예술가들이 자연에 대한 끊임없는 동경과 열망을 가지고 관찰하면서 그 자연의 미를 여러 가지 방법과 양식으로 표현해 왔으며, 자연은 예술에 있어서 가장 많은 관심과 표현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러한 조형활동은 작가가 자연을 보는 시각적인 척도나 미의식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하는 것이 현대미술의 추세이며, 오늘날 염색공예에서도 실용성은 물론 조형성을 추구하는 조형예술의 한 영역으로서 그 위치를 굳혀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공간의 창(窓)밖에 보이는 꽃의 이미지 (Image)를 재구성함으로써 염색공예에서의 조형적 표현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에서는 표현과 대상, 표현과 양식에 대해 문헌을 통해 고찰해 보고 작품제작을 위해 표현소재, 재료와 기법. 작품의 형성을 연구하며, 이러한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작품제작과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조형예술의 대상이 되어온 자연에 대한 연구는 의식의 변천과 함께 다각적인 측면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작가 나름대로의 미의식에 따라 변형 표현함을 알게 되었다. 둘째, 꽃의 이미지를 연구자의 주관적 체험에 따라 변형하며 초방염법으로 표현하는데 적절한 소재였다고 생각된다. 셋째, 염료와 섬유의 특성파악이나 형태의 변천과정에서의 어려움이 따르지만 염색공예만이 지닐 수 있는 독특한 기법상의 표현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작품제작 과정에서 소재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즘 더 폭넓은 감각적인 세계를 표현하지 못한 데 대한 아쉬움과 색조의 배색에서 오는 단조로움을 느꼈으나 앞으로의 계속적인 연구로 보다 나은 염색 공예로의 조형세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Artists have been observing the "nature" with their longings and eagerness toward the "nature" and they have been expressing the beauty of "nature", with various methods and styles. As far as the "art" is concerned, the "nature" has been the greatest concern to us and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of our expressions. In the field formative arts, the current trend of the modern art is that artists express the nature variously, according to their visual cirterion or aesthetic perception, and today also in the field of dying arts, its position as one field of formative arts, which pursues formativeness as well as practicality, becomes firm and assured. Accordingly in this study, through restructuring the image of flowers which can be seen outside the windows of urban spaces, I tried to figure out the possibility of formative expressions in the field of dying art. As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study, expressions and targets and expressions and styles have been observed and examined through literatures, and for the production of works, expression-materials, materials & method and formation of works have been studied.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ies as mentioned above, and through the production & analysis of the works,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Firstly, the study on the nature, which has been the objective of formative arts, is being made from various angl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perceptions, and it becomes expressed after being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aesthetic perception of the artists. Secondly, the image of flowers has been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s, and it was thought to be an appropriate material to be expressed through the "Chobang" dying method. Thirdly, even if there existe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r in the form-changing process of dying materials & babrics, there was an expression-possibility through a unique method, which only the dying art could have. I regret that during the process of work-production, more thorough studies on the materials & wider range of expressions about the sensuous world could have been passible and I felt a sense of monotony coming from the arrangement of colors, however, I will try every effort possible to construct a better, formative world of dying art, through continuous and further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