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제

Title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on the Anti-Bias Education
Authors
박영자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유치원조직풍토교사 효능감직무스트레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who have an influence on building children' sense of values and identity understand about the Anti-Bias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some ideas of desirable management of the Anti-Bias education. According to this purpose, the main subjects of study are as follows. 1. How about the understanding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Anti-Bias education? 2. Is there any difference among the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ccording to their scholarship and career? 3. How about the parents' understanding about the Anti-Bias education? 4. Is there any difference among the awareness of parents according to their scholarship and the state of employment? 5.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of the Anti-Bias education? In order to pursue this purpose, I surveyed 5 kindergartens which are located in Seoul.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585 people in Seoul that are composed of 266 mothers of 5-year-old children and 319 teachers in kindergarten. The period of study was from 21th, Sep. 2001 to 5th, Oct. 2001. I made the questionnaire method through examinations of the preceding studies. The questionnaire for parents consisted of 44 questions and for teachers 46 question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bjects and problems of the Anti-Bias education. To analyze and verify data, a variety of data analysis and verification methods were used includ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T and F verifications,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x^(2)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one of the research data showed that, in case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at we needed the Anti-Bias education earnestly but they were not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fact. And they recognized that the objects of the Anti-Bias education were to respect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Moreover they pointed the problem of this education was the lack of material and supplement which were suitable to our condition. Almost of them have little experience of training and they used teacher's manual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r company when they planned their syllabus. There also existed differences of understanding whether the kindergarten teacher was excellent in scholarship and career or not. The more they had a great scholastic ability and career, the more they took an active part on the Anti-Bias Education. Second, in case of the parents, they also recognized that we needed the Anti-Bias education earnestly but they didn't know about the Anti-Bias education well. They pointed the objects of the Anti-Bias education was important. Moreover they presented the problems we had were discriminative atmosphere of our society and system on culture, gender, handicap, social position and so on. Almost of them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ir abilities and a solution of the problem in the educational respect and actual condition of bringing up children. The more the parents had a great scholastic ability, the more they took an active part on the Anti-Bias Education. However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of understanding whether the parents had a job or not. Third, there is no difference of the understanding in the Anti-Bias educa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In the respect of education, the kindergarten teacher were more active than parents. The other side, in the respect of teaching, parents had more difficulties than the kindergarten teachers. As a result of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on the Anti-Bia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lead the public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nti-Bias education through the teacher's training or instruction. Moreover we should develop and popularize the teaching material. Indeed, we should develop many teaching methods for parents in order to teach at home. In addition, we should study about the way how to integrate the Anti-Bias education to the curriculum of kindergarten and how to teach it to the children.;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가치관과 정체성 확립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제가 어떠한지 살펴 보는데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교사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제는 어떠한가? 2. 유치원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제에는 차이가 있는가? 3.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제는 어떠한가? 4. 어머니의 학력과 취업유무에 따라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제에는 차이가 있는가? 5. 유치원교사와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제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5곳의 유치원을 중심으로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266명과 현재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19명으로 총 58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Hall과 Rhomberg(1995)가 제시한 편견의 영역을 기초로 하고, 양미현(2000), 하숙현(2000), 김정희(1999)가 사용한 측정도구를 참고로 유아의 어머니용과 교사용 두가지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용은 크게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10문항과 양육실제 15문항, 실시 목표와 문제점에 관한 17문항 등 총 4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사용은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 10문항과 교육활동 15문항, 실시 목표와 문제점에 관한 19문항 등 총 4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유아교육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를 거친 후 설문지를 배부 및 수거하였고, 자료는 빈도 분석과 각 영역의 질문에 대해서 평균과 표준편차, 어머니와 교사의 변인별에 따른 차이는 일원변량분석, 어머니와 교사간의 차이는 χ^(2) 검증과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교사들은 반편견 교육에 대해 필요성은 높게 느끼고 있었으나 인식은 낮은 편이었고, 반편견 교육이 추구하는 목표로 공동체 속에서 서로를 존중하고 협동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반편견 교육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느끼는 어려움으로 교사들은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반편견 교육자료 및 참고자료의 부족을 들었으며, 반편견 교육에 대한 연수경험이 부족하였고 교육부나 교구사의 자료집을 반편견 교육활동을 계획할 때 주로 참고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편견 교육에 대한 교육 실제 및 교육활동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시행하고 있었으나 외모나 장애 등 인간의 능력 조건에 유아들이 민감하게 반응하기에 현장에서 그에 따른 교육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치원 교사들은 학력과 경력이 높을수록 반편견 교육에 대한 교육 실제나 교육활동이 활발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어머니들은 반편견 교육에 대해 필요성은 높게 느끼는 반면 인식은 낮은 편이었으며, 반편견 교육이 추구하는 목표에 중요성을 높게 부여하였고, 문화, 성, 장애, 사회적 지위 등에 대한 사회 전반의 차별적인 분위기나 제도를 반편견 교육을 지도하는데 어려운 점으로 보았다. 또한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양육 실제 및 교육활동에 대해서는 대응능력 및 문제해결에 중점을 두거나 장애와 외모 등 인간 개인의 외적인 능력에 관한 사항을 교육활동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이나 양육 활동이 활발하며,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활동의 차이는 통계상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유치원교사와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활동에서는 교사가 어머니보다 더 활발함을 보였고, 반편견 교육 지도시 어머니들이 교사보다 더 어려움을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반편견 교육활동을 위한 교사연수나 직전교육을 통해 반편견 교육에 대한 보다 깊은 인식과 지도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어머니들을 위하여 가정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는 반편견 교육의 효율적인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단일민족 국가내에서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유아교육과정에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와 교육과정 내에서 어떻게 통합하여 유아들에게 교육시킬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