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8 Download: 0

청암 어린이집 유아들의 판게임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Title
청암 어린이집 유아들의 판게임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Other Titles
(An) Enthnographic study on the board game of children in Chungam day care center
Authors
이경선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청암어린이집유아판게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만 4·5세 유아들의 판게임 참여형태와 유아들의 역할 그리고 판게임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행동특성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하여 문화기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가 설정되었다. 1. 청암 어린이집 다람쥐반 유아들의 판게임 참여형태는 어떠한가? 2. 다람쥐반 판게임에서 유아들의 역할은 어떠한가? 3. 다람쥐반 판게임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행동특성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수원시에 위치한 대학 부속 위탁 교육 기관인 청암 어린이집의 만 4·5세 유아 28명과 교사 2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01년 6월 23일부터 2001년 9월 24일까지 였다. 이 기간 동안 총 30회의 참여관찰과 교사와의 2회의 형식적 면담, 비 형식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현장약기, 문서자료수집, 비디오 촬영, 사진 촬영, 녹음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한 자료를 기초로 현장노트와 면담 전사본을 만들었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n(1991)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판 게임을 하는 유아들의 참여형태는 단독 게임, 집단 게임, 상상 놀이화된 게임으로 나타났다. 단독 게임은 유아가 판게임 자료로 혼자 게임하는 참여형태로 유아는 자료와 방법을 탐색하며 게임 방법을 익히고 전략을 계획하는 의미있는 과정이었다. 집단 게임은 유아들이 함께 모여 판게임을 하는 형태인데 게임의 절차는 순서 정하기와 게임하기, 승부 가리기, 끝마치기, 정리하기였다. 마지막으로 상상 놀이화된 게임은 판게임 자료를 이용하여 놀이하는 참여형태이다. 놀이화된 게임은 게임하기 어려운 유아에게는 게임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나타났으며, 게임이 익숙한 유아에게는 게임 속에 숨겨진 상황이 유아들을 자극하여 나온 주제를 유아들의 합의에 따라 놀이하며 나타났다. 둘째, 게임 진행과정에서 유아는 진행요원으로서, 선수로서, 관객으로의 역할이 나타났다. 진행요원은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유아들에게 도움을 주고 게임을 진행하였으며 갈등이나 문제 상황에서 심판의 역할을 하며 판결하였다. 선수는 게임의 참여자로서 서로 경쟁과 협력하는 역할을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관객은 선수의 게임을 관찰하고 자신의 게임에 반영하였으며 게임의 분위기를 바꾸는 응원하는 역할도 수행하였다. 유아들이 판게임에서 보여준 각 역할들은 분리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여러 역할이 수행되었다. 셋째, 다람쥐반 판게임에서 나타난 유아의 행동특성은 경쟁, 도전, 협동, 탐구, 학습이었다. 유아들의 승부에 대한 관심은 경쟁으로 나타났으며 승리를 위하여 다양한 전략을 세우고 부정적인 전략에 대하여 유아들은 대응전략을 세웠다. 유아는 판게임 활동에 흥미를 갖고 전략이 적중하거나 승리하면 성취감과 기쁨을 느끼며 새로운 게임에 도전하였다. 판게임 활동은 경쟁만이 아니라 협동의 기회도 부여하였다. 유아들은 게임하기 위해 설명, 시범, 비계설정을 하며 서로 돕는 협조의 분위기에서 명시적 규칙과 잠재적 규칙을 자율적으로 지키며 협동하였다. 판게임 활동에서 유아들은 관찰과 탐색, 반복하며 탐구하였으며 게임에 대한 이해와 범위를 넓혀 나가고 결과를 다른 유아와 함께 공유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들은 판게임 활동을 통하여 유치원 교육과정의 5개 생활영역의 부분적인 내용을 또래 교수에 의해 학습하였다.;This ethnographic study was to examine participation type, their roles and their behavior characteristics of four-and five-year-old children in the group game. For these purpose,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were set up in this study. 1. What was the children's participation type in the board game in Daramgi Class of Chungam Day Care Center? 2. What was the children's role in board game in the Class? 3. What was the children's behavior characteristics in the board game in the Clas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 four-and five-year-old children and 2 teachers of Chungam Day Care Center which is an entrusted educational institute attached to the university in Suwon city.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form Jun. 23, 2001 to Sep. 24, 2001. For this period, total 30 times of participating observation, and 2 times of formal interview and informal interview with teachers were carried out. Datas were collected by outlining in the field, collecting document data, photographing a video, taking photographs, and recording sounds. And a field note and duplicate of interview note were mad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coded, categoriz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Bogdan and Biklen(1991).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view of children's participation types in the board game, in was divided into single game, grouping game, and playlike game. In a single game, children participated in a game alone with board game. This game enables them to examine material and method, to develop a game method, and to plan a strategy by themselves. In a grouping game, children played the board game together. This game was progressed in designating their order, playing a game, deciding a winner, finishing the game, and arranging in order. Finally, in a playing game, children played with board game material. This type appeared in trying a game for incompetent children while in appeared in playing a game with a subject acquired from stimulation by veiled situations in the game for competent children. Second, children played roles in games as a management person, player and viewer. A management person helped them for smooth progress of the game and made progress the game. And a management person judged conflict or problems. A player competed and cooperated with other children as a player of game. Finally, a viewer observed the game and reflected it on his own game. And a viewer changed the mood of game. These roles of children in the board game appeared not individually but totally. Third,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t the board game in the Class were competition, challenge, collaboration, and investigation and learning. Interests of children on winning appeared in the from of competition and they established various strategies for winning. And, they prepared a countermeasure for a negative strategy. Board game activities gave interests to children; they felt achieved and glad at their strategies they won, while they challenged new game otherwise. Board game activities also gave an opportunity of collaboration as well as competition. Children collaborated and followed clear rules and potential rules autonomously by explaining a game, demonstrating, and scaffoling for the game under the mutual assistance. Board game activities gave on opportunity of investigation for observation, investigation, and repetition, and they could expand the range of understanding for games and share the results with other children. The board game provided an opportunity to learn the contents of 5 Are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by peer group teach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