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석희-
dc.creator장석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4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3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4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371-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은 항상 그들이 속해있는 세계속에서 자유로와지고 싶어했다. 또한 노력을 했고 그들을 세계속에서, 즉 그들이 만든 규범과 인습 문화 기계문명에서 해방시키고져 했으며 하나의 시대적 과제이기도 했다. 현대에 와서 대두되고 있는 인간의 비인간화, 인격간의 격리의 문제를 우리가 우선으로 시대적 과제로 꼽을때 마틴·부버의 "나와 너"의 사상은 이를 대표적으로 파악 방향제시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볼수 있다. 그는 "나와 너"의 관계의 사상에서 관계의 영역을 나와 너, 나와 그것, 그리고 나와 영원자 너로 나누었고 이 3영역을 통하여 인간은 응답과 대화를 하게 되고 그러므로서 "너"를 향해 자신을 나눌 수 있다고 했다. 그때 "만남"이 존재하고 그 만남을 갖는 순간의 기쁨은 어떠한 관념, 형태, 지식으로도 표현할 수 없는 것이 된다. 이러한 "만남"을 위한 교통(communion)의 한 방법으로 그는 "대화"를 말한다. 즉 관계의 3영역은 모두가 대화의 3영역으로써 그 안에서 교통을 하고 만남을 지향하고 있는 인간을 추구하고 있으며 인간의 노력하는 장소를 공동체(community)라고 한다. 이 공동체는 현대에 있어 개인주의와 집산주의로 나눌 수가 있는데 그는 자신의 제 3의 공동체이론, 즉 종교적 사회주의를 말함으로써 이 공동체의 issue를 "신에로의 수렴"을 하는 공동체의식을 갖아야 한다고 본다. 공동체 교육을 하는데 있어서 "아동에 있어서의 창조력의 개발"과 "성격교육"이라는 그의 논문 통해서 아동의 교육을 보면, 다음과 같은 것을 알 수 있다. 아동에게의 교사의 태도는 강제도 아니고 결정적인 자유만도 아닌 그 아동에 있어서의 창시자 본능(Schoo¨tinstickt)의 가능성을 일깨워주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성격교육은 아동에게 지식이나 기술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그 아동의 전체를 그대로 받아들임으로써 가능케 된다. 결코 교사가 성격의 형성을 할 수는 없는 것이고 다만 규범이나 명칭이 아닌 자발성과 솔직성으로써 아동을 대하여 그들이 스스로 교사에게 자신을 개방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공동체의 교육의 방향은 공동체안에서 신을 중심으로한 관계의 생활을 갖게 하는 것이다. 그로 말미암아 인격은 내적 통일을 기하고 따라서 전체 구조적인 평화를 갖을 수 있다. 즉 그들이 공동체를 형성하는 군중속에서 "나"의 독특한 존재성을 잃지 않으면서 "너"와의 대화 속에서 "관계, 만남"을 갖을 수 있는 인격적인 존재임을 알게 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인간에게 본질적으로 있는 공동체에로의 욕구를 잘 인도하여 그들이 그들의 소속집단에서 생명력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그들이 공동체안에서 상호간에 교통이 가능할 수 있도록 인격적인 관계에서의 대화, 신과의 대화, 자연과의 대화를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폭넓은 "교통"에로의 지향만이 만남을 갖게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그 공동체의 기능을 위하여서 공동체 안에서 사랑을 통하여 "너"를 인식하고 도울 수 있는 예수와 같은 내적지도력을 지닌 인격으로 성장시키어야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4가지 측면에서 공동체를 보고 또 교육을 할 때 마틴·부버의 "만남"의 사상에 부합되는 이상적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It is the human nature that has tendency to always feel free and want to bel free form the world to which human beings belongs. In other words, it os one of his main eagernesses not to be restricted by norms and standards, customs, cultures, and machin civilization which have been made by himself. If dehumanization and segregation in character is regarded as today's main social problem, it is safe to say that the idea and thought of Martin Buber, that of 'I and Thou' can help us with easier understanding and grasping, and with more practicable suggestion for the solution of this significant problem that every human beings confronted with. In his thought of the relation between 'I and Thou', the field of the relation is devided into three areas, 'I and Thou', 'I and It', and 'I and Eternal Thou', through which human beings can have encounter and dialogue for the establishment of his existance and substance towards 'Three'. It is the meeting that is mire delightful than any others human beings has and can not easily expressed by any kind of concept, figure and knowledge. Dialogue, he insists, is one of the measures in the area of communication through which human beings encounters each other. Therefore the above mentioned three areas of relation can be ones identical with those of dialogue. With those dialogue human beings has built up his community in the desire of communication and meeting. At the present age the community can be divided in to two concepts, Individualism and Socialism, however, Martein Buber set up the third community theory by asserting his own idea of religious socialism. In his theory, he persists that human beings should have a kind of community is that 'Everything is centered in to the God.'. In his theses of "The development of the creature powers in the child" and "Education of character", his following ideas and concepts can be easily grapsed and be helpful for children's religious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teacher in the education to acknowledge that children should to be compulsively restricted from their freedom and not to have infinite and decisive freedom, but to have the possibility of being made themselves as 'Originator Instinct'. Also he remembers that he should place great emphasis in character education not only on the pure injection of knowledge and technical knowledge but also on the acceptance of children's intrinsic value itself and also should know he cannot change children's character as he desired. Thus, to know children's real intention and thought can be done not by the regulations, rules or teacher's orders but by his voluntary, initiative and openhearted postures and attitudes towards them. Thus the direction of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laid in the place of making human beings' life to be related each other but centered in to the God. With this related and centered life, he can enjoy his intrinsic unification and peace in mind. Say again, it is the destination of the education that helps him to not lose the 'I' in the community, but to know in the dialogue with Thee that they can be personal being capable of enjoying relation and meeting, and but to give him the vitali-zation in his spirit with greatness which can be done by being guided his innated desire towards the community. And the other is that it should provide human beings with the opportunity of the dialogue in the field of character, of the God, and of the nature contributing for his easier communication in the society. It is the tendency towards the broadening communication that can be consistent and accorded with the meeting. Finally, the aim of the education is to make him to be the man like Jesus Christ with intrinsic leadership, recognizing 'Thee' by the love in the community. Idealistic community accorded with Martin Buber's thought of the meeting shall be formed when the above suggested four specifications can be utilized in the religious education in the commun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마틴ㆍ부버의 사상 = 4 A. 하시디즘 = 4 B. 나와 너 = 8 C. 대화 = 13 D. 마틴ㆍ부버의 신, 인간 및 공동체 이해 = 16 Ⅲ. 마틴ㆍ부버의 사상과 공동체교육 = 24 A. 창조력의 개발 = 24 B. 성경 교육 = 30 C. 공동체 교육 = 34 Ⅳ. 기독교교육과 공동체교육 = 39 A. 현대의 기독교교육 = 39 B. 공동체사상과 기독교교육의 만남 = 55 Ⅴ. 결론 = 62 참고문헌 = 64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114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마틴·부버-
dc.subject공동체사상-
dc.subject공동체교육-
dc.subject종교교육-
dc.title틴·부버의 공동체사상과 공동체교육-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ARTIN BUBER'S THOUGHT AND EDUCATION FOR COMMUNITY-
dc.format.pagev,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종교교육분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